$\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LDC 모터 기반 동력 의족의 구성과 토크 추정을 활용한 유각기의 임피던스 제어
The Structure of a Powered Knee Prosthesis based on a BLDC Motor and Impedance Control using Torque Estimation on Free Swing 원문보기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v.21 no.5, 2015년, pp.407 - 412  

경기영 (인하대학교 전기과) ,  김진걸 (인하대학교 전기과) ,  이영삼 (인하대학교 전기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of a lab-built powered knee prosthesis based on a BLDC motor, a sensored impedance control using a force sensor, and a sensorless impedance control through torque estimation. Firstly, we describe the structure of the lab-built powered knee prosthesis and its limit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향후 연구의 방향은 추정된 토크의 상 지연 현상을 해소함으로써 토크 추정을 활용한 임피던스 제어의 정확도를 높이고, 동력 의족을 활용한 보행에 적용한다. 또한, 제약이 완화된 기구부의 설계와 정상인 착용 어댑터의 개선을 통하여 무게중심에 대한 안정도를 높이고 폭 넓은 임상시험을 실시하여 동력 의족의 동작을 다양화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연구실에서 개발한 BLDC 모터 기반의 동력의족에 대해 소개하고, 보행의 구분 및 동력 의족의 제어를 위치 제어와 임피던스 제어의 혼용을 통해 구현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기구부의 로드셀을 이용해 측정된 무릎의 토크와 BLDC 모터의 전류, 무릎의 각속도 및 각 가속도를 활용하여 추정된 무릎의 토크를 비교하여 활용 가능성을 제기하고, 센서리스 제어를 통해 유각기의 낮은 임피던스를 구현함으로써, 로드셀이 제거된 기구부의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 능동형 동력 의족은 정상인의 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해 외력에 대한 자연스러운 움직임은 임피던스 제어를 통한 보상으로 구현하며, 목적이 있는 움직임에 대해 무릎 각도의 평형점을 사용한 위치 제어를 혼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12]. 본 논문에서도 위치 기반 임피던스 제어기와 1자유도의 동력 의족을 이용하여 정상인의 평지 보행을 구현하는 것을 다룬다.
  • 이 논문에서는 BLDC 기반의 동력 의족의 구성과 정상인 보행의 세분화를 통한 제어 방법에 대해 서술하고, 기구부의 제약을 완화하기 위해 로드셀의 측정값을 대체하는 토크 추정을 제안하여, 임피던스 제어에 대한 선행 실험을 실시하였다.
  • 해외의 선행 연구 및 개발 사례를 살펴보면 의족은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는 동력원이 없는 수동형 의족으로, 상대적 저렴한 가격을 통해 보급률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그러나 동력원의 부재는 착용자에게 보행 시 환측에 더 많은 부하를 요구하며, 이는 신체의 불균형을 유발하기 때문에 에너지 저장형 구조를 통해 신체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연구되고 있다[2].
  • 셋째는 동력원을 활용하여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의족이다. 환부 손실된 근육에 대해 유사도 높은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절단 환자의 신체 불균형을 최소화하고, 단순 보행 이외의 환경에서도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해외에서는 여러 가지 구조의 동력 의족에 대한 개발과 다양한 보행 환경에 대한 적용에 대해 연구한 사례가 있다[4,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상인의 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해 능동형 동력 의족은 어떻게 설계 되는가?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 정상인의 움직임을 면밀히 분석하고 유사한 패턴을 구현해 낼 수 있어야 한다. 능동형 동력 의족은 정상인의 동작들을 구현하기 위해 외력에 대한 자연스러운 움직임은 임피던스 제어를 통한 보상으로 구현하며, 목적이 있는 움직임에 대해 무릎 각도의 평형점을 사용한 위치 제어를 혼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12]. 본 논문에서도 위치 기반 임피던스 제어기와 1자유도의 동력 의족을 이용하여 정상인의 평지 보행을 구현하는 것을 다룬다.
능동형 동력 의족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무엇인가? 능동형 동력 의족의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보행 혹은 다양한 동작들을 세분화하고, 동력원을 이용하여 정상인의 동작에 대해 유사성 있게 구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능동형 동력 의족의 개발은 두 가지 주제를 가진다.
동력원을 활용하여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의족이 개발된 이유는 무엇인가? 셋째는 동력원을 활용하여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의족이다. 환부 손실된 근육에 대해 유사도 높은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절단 환자의 신체 불균형을 최소화하고, 단순 보행 이외의 환경에서도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해외에서는 여러 가지 구조의 동력 의족에 대한 개발과 다양한 보행 환경에 대한 적용에 대해 연구한 사례가 있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 E. Lawson, H. A. Varol, A. Huff, E. Erdemir, and M. Goldfarb, "Control of stair ascent and descent with a powered transfemoral prosthesis," IEEE Trans. of Rehabilitation Engineering, vol. 21, no. 3, pp. 446-473, May 2013. 

  2. K. H. Kim, Y. H. Kim, S. K. Kim, G. T. Yang, and M. S. Mum, "Development of transfemoral prostheses and its gait analysis," Proc. of the Conf. KSME 1996, vol. 2, no. 1, pp. 303-308, Jan. 1996. 

  3. B. G. A. Lambrecht and H. Kazerooni, "Design of a Semi-Active Knee Prosthesis," Proc. of the Conf.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Kobe, Japan, pp. 639-645, May 2009. 

  4. K. H. Ha, H. A. Varol, and M. Goldfarb, "Volitional Control of a Prosthetic Knee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vol. 58, no. 1, Jan. 2011. 

  5. E. C. Martinez-Villalpando and H. Herr, "Agonist-antagonist active knee prosthesis: a preliminary study in level-ground walking,"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 Development, vol. 46, no. 3, pp. 361-374, 2009. 

  6. L. J. Hargrove, A. M. Simon, A. J. Young, R. D. Lipschutz, S. B. Finucane, D. G. Smith, and T. A. Kuiken, "Robotic leg control with EMG decoding in an amputee with nerve transfers," N Engl J of Medicine, 369;13, pp. 1237-1242, Sep. 2013. 

  7. T. N. Hung, and Y. S. Suh, "Step length estimation on a slope using accelerometers and barometer,"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 (in Korean), vol. 19, no. 4, pp. 334-340, Apr. 2013. 

  8. W. S. Kim, S. Y. Kim, and Y. S. Lee, "Development of a powered knee prosthesis using a DC motor,"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in Korean), vol. 20, no. 2, pp. 193-199, Feb. 2014. 

  9. T. Murakami, F. Yu, and K. Ohnishi, "Torque sensorless control in multidegree-of-freedom manipulator," IEEE Trans. of Industrial Electronics, vol. 40, no. 2, pp. 259-265, Apr. 1993. 

  10. C. D. Hoover, G. D. Fulk, and K. B. Fite, "The design and initial experimental validation of an active myoelectric transfemoral prosthesis," Journal of Medical Devices, vol. 6, no. 1, 011005 pp. 1-12, Mar. 2012. 

  11. Y. S. Lee, J. H. Yang, S. Y. Kim, W. S. Kim, and O. K. Kwon, "Development of a rapid control prototyping system based on Matlab and USB DAQ boards,"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in Korean), vol. 18, no. 10, pp. 912-920, Oct. 2012. 

  12. B. E. Lawson, J. E. Mitchell, D. Truex, A. Shultz, E. Ledoux, and M. Goldfarb, "A robotic leg prosthesis," IEEE Robotics & Automation Magazine, pp. 2-13, Dec. 2014. 

  13. J. H. Kim and J. H. Oh, "Control of an above-knee prosthesis using MR damper," Proc. of the Conf. KACC 2000 (in Korean), vol. 1 pp. 112-115, Oct. 2000. 

  14. F. S. Sup, A. Bohara, and M. Goldfarb, "Design and control of a powered knee and ankle prosthesis," Proc. of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obotics and Automation 2007, Roma, Italy, pp. 4134-4139 Apr. 2007. 

  15. D. J. Moon, J. Y. Kim, H. D. Jung, S. C. Noh, and H. H. Choi, "A study on extract in gait pattern characteristic using a tilt sensor and EMG,"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vol. 7, no. 2, pp. 75-84, Dec. 2013. 

  16. J. Perry and J. R. Davids, Gait Analysis: Normal and Pathological Function, 2rd Ed., SLACK, Incorporated, 2010. 

  17. R. M. Alexander, "Energy-saving mechanisms in walking and running," J. Exp. Biol. 106, pp. 55-69, Oct.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