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차원 유한요소해석에 의한 필 댐의 3가지 단면 형상을 고려한 지진해석
Dynamic Analysis of 3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of a Fill Dam using 3D FEM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16 no.8, 2015년, pp.37 - 43  

최병일 (Korea Infrastructure Safety Corpor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댐 유지관리 측면에서 계측기를 통해 실시간 댐 거동을 파악하고 있으나 노후 댐의 경우 댐 축조 시 설치한 계측기가 오작동하거나 작동되지 않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1종 국가시설물인 댐은 정밀안전진단을 통해 주기적으로 댐의 상태를 파악하고 있으며, 정밀안전진단 시 댐체의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댐 안정성평가 시 가장 큰 단면을 대표단면으로 적용해 2차원 수치해석으로 결론을 도출하고 있으나 최근 많은 연구자들이 3차원 수치해석 프로그램 기술 발달에 기인해 댐 형상, 주변지형 및 댐 하부지형 형상을 정확히 반영한 3차원 수치해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에 대한 댐 안정성 평가를 위해 지반공학 범용 FEM 해석 프로그램인 PLAXIS 3D를 이용하여 존별 형상을 모두 반영한 댐체의 지진 특성과 댐체를 사력존 하나로 가정한 경우, 댐체를 사력존 및 코어존으로 가정한 경우와 수치해석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존별 형상에 따른 지진파 영향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am movements are identified in real-time with measuring instruments for dam maintenance. However, for dams that have aged, the measuring instruments that were installed during the dam construction are frequently malfunctioning or completely failing altogether. Precision safety diagnosis is being e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댐체의 보다 정확한 안정성 평가를 위해 실제 존재하는 존별 구성을 최대한 현실적으로 반영한 경우와 존을 단순하게 반영한 경우에 대하여 내진 해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값 비교를 통해 필 댐의 3D 해석을 통한 내진성능 평가 시 고려할 사항에 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안동에 있는 다목적 A 댐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주로 3차원 해석 시 매쉬반영의 어려움으로 인해 사력존으로만 가정한 형태 혹은 사력존과 코어존의 형태만 반영한 해석과 달리 Zone별 형상, 계곡부 형상, 댐체 주변지형 및 하부 지층 등을 축조된 형태와 유사하게 3차원으로 모델링 후 지역에 해당하는 인공지진파를 생성하여 댐체에 적용하고 변위특성 및 가속도 증폭 특성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3차원 해석에 적용된 Mesh 중 Case 1의 경우 30,461개의 Element와 44,374개의 node로 구성되었으며 본 해석에 적용된 물성치는 Table 1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수치해석 대상 범위는 X축으로 482.6m, Y축으로 730m, Z축으로는 댐 사면 높이를 고려한 바닥면(EL.22m)에서 172m를 적용하였으며, X, Y축은 지진파의 반사 영향을 제외하기 위해 Viscous Boundary를 이용한 반무한사면 형태를 가정하였다. Viscous Boundary는 경계면을 고정하는 대신 Damper 역할을 하는 조건으로 경계면에 응력을 증가시켜 지진파의 반사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간 발생하는 규모 3.5 이상의 지진 횟수는? 지진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사람들이 느낄 수 있는 규모 3.5 이상의 지진은 연간 37,000회 정도이고 건물 등 상당한 피해를 입히는 규모인 규모 6.2 이상의 지진은 연간 100회 이상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1978년부터 2004년까지 27년간 규모 3.
댐 건설 시 확인해야 하는 조건은? 0 이상의 지진이 641회 관측되는 등 최근 지진발생 빈도가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댐 건설 시 지반조건, 댐체 재료의 구성, 수치해석 결과 및 주변 환경요건 등 여러 가지 조건을 반영해 축조하지만건설 후 댐 안정성 평가는 댐체 내부 대표 단면을 이용한 2차원 수치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2차원 해석으로는 댐체 내・외부조건 및 하부 지반의 계곡 형상 등을 정확히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어 일부 연구자들은 3차원 해석을 적용하여 보다 정확한 댐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댐체 내부 대표 단면을 이용한 2차원 수치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댐 안정성을 평가할 때 나타나는 한계는? 댐 건설 시 지반조건, 댐체 재료의 구성, 수치해석 결과 및 주변 환경요건 등 여러 가지 조건을 반영해 축조하지만건설 후 댐 안정성 평가는 댐체 내부 대표 단면을 이용한 2차원 수치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2차원 해석으로는 댐체 내・외부조건 및 하부 지반의 계곡 형상 등을 정확히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어 일부 연구자들은 3차원 해석을 적용하여 보다 정확한 댐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국토해양부 (2011), 댐 설계기준, pp. 216-218. 

  2. 한국시설안전공단 (2004), 국내 내진성능평가, pp. 26-48, pp. 162-165. 

  3. Akhtarpour, A. and Khodaii, A. (2012), 2d&3d nonlinear dynamic analysis of asphaltic concrete core rockfill dam (a Case study),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Dams for a changing world, paper No. 237. 

  4. Chakraborty, D. and Choudhury, D. (2011), Seismic behavior of tailings dam using flac3d, Proceedings of Geo-Frontiers 2011, pp. 3138-3147. 

  5. Ha, I. S., Lee, J. W. and Oh, B. H. (2009a),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dam acceleration response by 2-d and 3-d dynamic analysis, Proceedings of Korean Geo-Environmental Conference 2009, KGES, Incheon, pp. 247-253 (in Korean). 

  6. Ha, I. S., Lee, J. W. and Oh, B. H. (2009b), Characteristics of response of rockfill dam by 3-d Seismic response analysis, Proceedings of 35th Annual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Hoengseong, pp. 2886-2889 (in Korean). 

  7. Lysmer, J. and Kuhlmeyer, R. L. (1969), Finite dynamic model for infinite media, Journal of the Engineering Mechanics Division, Vol. 95, No. 4, pp. 859-878. 

  8. Park, D. S. (2014), A study on the seismic resistance of fill-dams by newmark-type deformation analysis, The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ol. 18, No. 4, pp. 161-170 (in Korean). 

  9. Park, I. J., Kim, S. W., Jang, W. H., Kim, H. T. and Yoo, C. H. (2006), Evaluation of aseismic performance for reservoir dam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al Society, Vol. 7, No. 6, pp. 89-100 (in Korean). 

  10. Wieland, M. (2012), Seismic design and performance criteria for large storage dams, 15th World Conference on Earthquake Engineering Lisboa, Vol. 638, pp. 24-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