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도(Vitis vinifera L.) 중 Pyrimethanil 및 Methoxyfenozide의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 설정
Establishment of Pre-Harvest Residue Limit for Pyrimethanil and Methoxyfenozide during Cultivation of grape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9 no.2, 2015년, pp.81 - 87  

김지윤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자원환경학과, 강원대학교 친환경농산물안전성센터) ,  우민지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자원환경학과, 강원대학교 친환경농산물안전성센터) ,  허경진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자원환경학과, 강원대학교 친환경농산물안전성센터) ,  마노하란 사라바난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자원환경학과, 강원대학교 친환경농산물안전성센터) ,  권찬혁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기준과) ,  허장현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자원환경학과, 강원대학교 친환경농산물안전성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포도에 대한 pyrimethanil과 methoxyfenozide의 잔류량 변화를 측정하여 약제별 잔류특성을 파악하고, 잔류량 감소추이를 산출함으로써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Pre-Harvest Residue Limit, PHRL)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Pyrimethanil 및 methoxyfenozide 농약을 안전사용기준에 준하여 각각 포장 1, 포장 2 지역으로 나누어 기준량 처리하였으며, 약제처리 2시간 후를 0일차로 하여 0, 1, 2, 3, 5, 7, 10일차에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두 약제 모두 HPLC/DA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정량한계(Method Limit of Quantitation, MLOQ)는 $0.01mg\;kg^{-1}$이었다. 분석결과, 분석법의 회수율은 80.6~102.5%이었으며, 표준편차는 모두 10% 미만이었다. 포도 중 각 농약에 대한 생물학적 반감기는 pyrimethanil의 경우 7.7일(포장 1), 7.4일(포장 2)이었으며, methoxyfenozide의 경우 5.1일(포장 1), 6.1일(포장 2)이었다. 잔류회귀감소식을 이용한 pyrimethanil과 methoxyfenozide의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은 각각 수확 10일 전 8.90과 $5.51mg\;kg^{-1}$으로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predict the pre-harvest residue limits (PHRLs) of pyrimethanil (fungicide) and methoxyfenozide (insecticide) in grape, and to estimate their biological half-lives and residual characteristics. The pesticides were sprayed once on grape in two different fields 10 days 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포도 생산단계 중 pyrimethanil 및 methoxyfenozide의 잔류량을 분석하여 약제별 잔류 특성 및 반감기 산출을 통해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 설정에 기여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약이란 무엇인가? 농약은 병해충 및 잡초로부터 농산물을 보호하고 생산량 증대와 품질 향상에 기여하는 중요한 농자재이다. 살포된 농약은 수확시기까지 분해 및 소실되어 작물에 잔류하지 않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여러 형태의 화학구조를 가지고 있는 특성상 사용이 끝난 후에도 농작물이나 환경 중에 잔류되는 경우가 있다(Kim et al.
유통단계 중 시행되는 잔류농약검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국가에서 설정한 기준은 무엇인가? 그러나 유통단계 중 시행되는 잔류농약검사는 잔류량이 최대잔류허용기준량을 초과할 경우 이미 유통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농산물의 회수가 어려우며, 부적합 농산물은 용도전환 또는 폐기처분되어 농민들에게 경제적 손실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고, 생산단계 농산물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국가에서는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Pre-harvest Residue Limit, PHRL)을 설정하였다.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은 생산단계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수확 전 일정 시점의 기간 동안 농약의 잔류량을 조사하고,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여 수확 시 잔류량을 예측함으로써 MRL을 초과할 가능성이 있는 부적합 농산물의 유통을 사전에 차단하는 데 목적이 있다(농림수산식품부, 2009).
농산물에서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을 사용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고, 생산단계 농산물의 안전관리를 위하여 국가에서는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Pre-harvest Residue Limit, PHRL)을 설정하였다. 생산단계 잔류허용기준은 생산단계 농산물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수확 전 일정 시점의 기간 동안 농약의 잔류량을 조사하고,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하여 수확 시 잔류량을 예측함으로써 MRL을 초과할 가능성이 있는 부적합 농산물의 유통을 사전에 차단하는 데 목적이 있다(농림수산식품부,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Tomlin, C. D. S (2009) The Pesticide Manual. British Crop Production Council, UK. pp. 993-994 

  2. Tomlin, C. D. S (2009) The Pesticide Manual. British Crop Production Council, UK. pp. 764-765. 

  3.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012) 2012 Guideline of Pesticides Use.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4. Kim, J. H., S. K. Choi, Y. S. Yu, K. S. Yoon and J. S. Seo (2012) Phys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Grapevine Leaves at Growth Stages. The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44(6):772-778. 

  5. Kim, S. W., E. M. Lee, Y. Lin, H. W. Park, H. R. Lee, M, J. Riu, Y. R. Na, J. E. Noh, Y. S. Keum, H. H. Song and J. H. Kim (2009) Establishment of pre-harvest residue limit(PHRL) of insecticide bifenthrin during cultivation of grape,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3(4):241-248. 

  6. Han, S. S., S. C. Lo, W. J. Kim, P. J. Park and I. K. Kim (2003) Residual Characteristics of Etofenprox and Methoxyfenozide in Chinese Cabbage.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16(1):70-71. 

  7. Lee, D. Y., Y. J. Kim, S. J. Lee, K. S. Cho, S. G. Kim, M. H. Park and K. Y. Kang (2012) Establishment of Pre-Harvest Residue Limit of Fungicides Pyrimethanil and Trifloxystrobin during Cultivation of Persimm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1(1):45-51. 

  8. Lee, E. Y., H. H. Noh, Y. S. Park, K. Y. Kang, J. K. Kim, Y. D. Jin, S. S. Yun, C. W. Jin, S. K. Han and K. S. Kyung (2009) Residual Characteristics of Etofenprox and Methoxyfenozide in Chinese Cabbage.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13(1):13-20. 

  9. Lo, S. C., C. H. Hwang, M. S. Kim, S. Y. Ma and S. S. Han (2004) Residue analysis of insecicide thiodicarb in sweet persimmon and its safety evaluation.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8(3):184-188. 

  1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Toxic substances residue standard such as pre-harvest agricultural product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