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감자 12품종의 내염성 비교를 위하여 NaCl 0, 75, 150, 225 mM을 처리한 MS배지에서 줄기 단일절편을 기내 배양하여 신초길이와 무게, 근길이 및 proline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NaCl 처리에 따른 신초와 근생장의 품종 간 비교에 적정한 NaCl 처리농도는 75 mM이었다. NaCl 150 mM과 225 mM 처리에서는 신초의 로제트화 및 엽의 백화현상이 심하여 품종 간 비교가 어려웠다. 신초의 길이와 무게는 '대지', '수미', '자영', '하령'이 양호하였으며, '고운', '대서', '홍영' 등은 불량하였다. 근길이는 '서홍', '수미', '하령' 등이 양호하였던 반면, '고운', '대서', '대지', '조원', '추백' 등은 극히 미미하였다. Proline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NaCl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그 증가량은 신초와 근생장이 양호했던 품종들이 불량했던 품종보다 더 낮은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수미'와 '하령'이 NaCl 처리배지에서 신초와 근생장 모두 양호하여 내염성이 강한 품종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들 품종들을 활용한 추가 포장시험을 통하여 국내 간척지 등 염류화 토양에서도 감자재배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compare salt tolerance among potato cultivars (Solanum tuberosum L.), in vitro plants of each cultivar were cultured on the Murashige and Skoog's medium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NaCl (0, 75, 150, and 225 mM). The suitable level of NaCl for a comparison of the shoot and root growth ...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배양용기 당 단일 절편을 5개체씩 3반복하여 횡으로 치상하였으며, 배양실의 조건은 온도 23±2°C, 광 4200 lux, 일장 16시간이었다. 45일간 배양 후에 신초길이, 신초무게, 근 길이를 조사하였으며, 대조구(NaCl 0 mM 처리구)에 대한 백분율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 (1973)의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NaCl 처리배지에서 45일 동안 배양한 묘의 엽 1 g 씩을 채취한 후, sulfosalicylic acid 용액(3%, w/v) 10 mL를 가한 다음 막자사발을 이용 하여 마쇄하였다. 마쇄액은 두 겹의 filter paper(Whatman No.
  • 2013) 외에는 찾아보기가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주요 감자품종을 대상으로 NaCl 농도를 달리한 MS배지에서 마디배양을 통해 각 품종의 생육반응을 조사하여 품종간 내염성 정도를 기내평가 하였으며 proline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 배양용기 당 단일 절편을 5개체씩 3반복하여 횡으로 치상하였으며, 배양실의 조건은 온도 23±2°C, 광 4200 lux, 일장 16시간이었다.
  • 여기에 한천 7 g/L를 넣고 가열하여 충분히 녹인 후, 배양병(100×40 mm, SPL, Korea)에 각각 50 ml씩 배지를 분주한 다음, 121°C와 1.5기압에서 20분간 멸균하였다.
  • 농촌진흥청의 감자 조직배양방법(RDA 2011)에 따라 각 품종의 건전한 기내 배양묘를 육성하였으며, 기내 식물체의 줄기 중간부위 3~4마디에서 세력이 균일한 단일절편(Single node)를 채취하여 본 시험에 사용하였다. 채취한 단일 절편은 NaCl 0, 75, 150, 225 mM을 각각의 농도 별로 혼용하여 조제한 MS기본배지(Murashige and Skoog 1962)에 치상하여 배양하였다. 배지의 조제는 MS powder 4.

대상 데이터

  • 농촌진흥청의 감자 조직배양방법(RDA 2011)에 따라 각 품종의 건전한 기내 배양묘를 육성하였으며, 기내 식물체의 줄기 중간부위 3~4마디에서 세력이 균일한 단일절편(Single node)를 채취하여 본 시험에 사용하였다. 채취한 단일 절편은 NaCl 0, 75, 150, 225 mM을 각각의 농도 별로 혼용하여 조제한 MS기본배지(Murashige and Skoog 1962)에 치상하여 배양하였다.
  • 본 시험에서는 우리나라의 국가장려품종으로 지정된 감자인 ‘고운’(Goun), ‘대서’(Atlantic), ‘대지’(Dejima), ‘서홍’ (Seohong), ‘수미’(Superior), ‘자영’(Jayoung), ‘조원’(Jowon), ‘추백’(Chuback), ‘하령’(Haryeong), ‘홍영’(Hongyoung)과 유럽산 감자인 ‘데지레’(Desiree), ‘산테’(Sante) 등 12품종을 이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본 실험의 통계분석은 SAS enterprise guide 4.3 프로그램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을 이용하여 ANOVA (Analysis of variance)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Duncan’s Multiple Range Test (DMRT)로 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이론/모형

  • 내염성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추정되는 proline은 Bates et al. (1973)의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NaCl 처리배지에서 45일 동안 배양한 묘의 엽 1 g 씩을 채취한 후, sulfosalicylic acid 용액(3%, w/v) 10 mL를 가한 다음 막자사발을 이용 하여 마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이란? 염(鹽, Salt)은 토양 내 근권부의 삼투압을 낮추어 근의 수분흡수를 방해함으로써 작물의 생장과 수량성을 제한하는 대표적인 비생물적 스트레스이다(Asish and Anath 2005; Yun 2005). 최근, 전 세계적으로 가뭄과 건조에 의한 경작지의 염류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주요 식량 작물에 대한 내염성 개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Rhoades and Loveday 1990).
감자의 내염성은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1993). 감자의 내염성은 씨감자의 서령 (Levy et al. 1993)이나 염에 조우되는 생육시기(Bruns and Caesar 1990), 염수에 접촉되는 식물체 부위(Maas 1985)에 따라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유전적 소질에 따른 차이가 지배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Martinez et al.
감자가 염에 약한 작물이라는 연구결과는? 특히, 옥수수, 밀 등과 더불어 세계 4대 식량작물에 속하는 감자는 염에 약한 작물로 알려져 있다(FAOSTAT 2012; Maas and Hoffman 1977). 감자는 낮은 농도(EC 1-2 dS/m)의 염수(鹽水) 처리로도 수량에 영향을 받으며, EC 5.9 dS/m의 염수처리에 의해 37%의 수량 감소가 보고되기도 하였다(Paliwal and Yadav 1980; van Hoorn et al.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Amira MS, Abdul Q (2011) Effect of salt stress on plant growth and metabolism of bean plant Vicia faba (L.). J Saudi Soc Agricul Sci 10:7-15 

  2. Arvin MJ, Donnelly DJ (2008) Screening potato cultivars and wild species to abiotic stresses using an electrolyte leakage bioassay. J Agric Sci Technol 10:33-42 

  3. Asish KP, Anath BD (2005) Salt tolerance and salinity effects on plants: a review. Ecotox Environ Safety 60:324-349 

  4. Bates LS, Waldren RP, Teare ED (1973) Rapid determination of free proline for water stress studies. Plant Soil 39:205-207 

  5. Bilski JJ, Nelson DC, Conlon RL (1988) The response of four potato cultivars to chloride and sulfate salinity. Am Potato J 65:85-90 

  6. Bruns S, Caesar K (1990) Shoot development and tuber yield of several potato cultivars under high salt concentrations at different stages of development. Potato Res 33:23-32 

  7. Burgutin AB, Butenko RG, Kaurov BA, Iddagoda N (1996) In vitro selection of potato for tolerance to sodium chloride. Russ J Plant Physio 143:524-531 

  8. Cano EA, Perez-Alfocea F, Moreno V, Bolarin MC (1996) Responses to NaCl sress of cultivated and wild tomato species and their hybrids in callus cultures. Plant Cell Rep 15:791-794 

  9. Delauney AJ, Verma DPS (1993) Proline biosynthesis and osmoregulation in plants. Plant J 4:215-223 

  10. FAOSTAT (2012) http://faostat.fao.org/site/339/default.aspx 

  11. Feitosa De Lacerta C, Cambraia J, Cano MAO, Ruiz HA (2001) Plant growth and solute accumulation and distribution in two sorghum genotypes under NaCl stress. Braz J Plant Physiol 13:270-284 

  12. Fukutaku Y, Yamada Y (1984) Sources of proline nitrogen in water-stressed soybean II. Fate of 5N-labeled protein. Plant Physiol 61:622-628 

  13. Gulati A, Pawan KJ (1993) In vitro selection of salt-resistant Vigna radiata (L.) Wilczek plants by adventitious shoot formation from cultured cotyledon explants. J Plant Physiol 142:99-102 

  14. Hasegawa PM, Bressa RA, Zhu JK, Bohnert H (2000) Plant cellular and molecular responses to high salinity. Annu Rev Plant Physiol Plant Mol Biol 51:463-499 

  15. Hmida-Sayari A, Gargouri-Bouzid R, Bidani A, Jaoua L, Savoure A, Jaoua S (2005) Overexpression of Delta(1)-pyrroline-5-carboxylate synthetase increases proline production and confers salt tolerance in transgenic potato plants. Plant Sci 169:746-752 

  16. Jaarsma R, de Vries RSM, de Boer AH (2013) Effect of salt stress on growth, Na+ accumulation and proline metabolism in potato (Solanum tuberosum). PLoS ONE 8:e60183 

  17. Jefferies RA (1996) Evaluation of seedling selection for salinity tolerance in potato (Solanum tuberosum L.). Euphytica 88:207-213 

  18. Khavarinejad RA, Mostofi Y (1998) Effects of NaCl on photosynthetic pigments, saccharides, and chloroplast ultrastructure in leaves of tomato cultivars. Photosynthetica 35:151-154 

  19. Khrais T, Leclerc Y, Donnelly DJ (1998) Relative salinity tolerance of potato cultivars assessed by in vitro screening. Amer J of Potato Res 75:207-210 

  20. Kim HS, Heung JJ, Joung YH, Joung H (1995) In vitro selection of salt-resistant Solanum tuberosum L. varieties. J Kor Soc Hort Sci 36:172-178 

  21. Kim S, Yang CH, Jeong JH, Choi WY, Lee KS, Kim SJ (2013) Physiological response of potato variety to soil salinity. Kor J Crop Sci 58:85-90 

  22. Levy D, Fogelman E, Ytzhak Y (1993) Influence of water and soil salinity on emergence and early development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cultivars and effect of physiological age of seed tubers. Potato Res 36:335-340 

  23. Levy D, Veilleux RE (2007) Adaptation of potato to high temperatures and salinity-a review. Potato Res 84:487-506 

  24. Maas EV (1985) Crop tolerance to saline sprinkling water. Plant Soil 89:273-284 

  25. Maas EV, Hoffman GJ (1977) Crop salt tolerance-current assessment. J Irrig Drain Div Proc Am Soc Civil Eng 103:115-134 

  26. Mansour MMF (1998) Protection of plasma membrane of onion epidermal cells by glycine betaine and proline against NaCl stress. Plant Physiol Biochem 36:767-772 

  27. Martinez CA, Maestri M, Lani EG (1996) In vitro salt tolerance and proline accumulation in Andean potato (Solanum spp.) differing in frost resistance. Plant Sci 116:177-184 

  28. Morpurgo R (1991) Correlation between potato clones grown in vivo and in vitro under sodium chloride stress conditions. Plant Breed 107:80-82 

  29. Murashige T, Skoog F (1962) A revised medium for rapid growth and bioassays with tobacco tissue cultures. Physiol plantarum 15:473-497 

  30. Naik PS, Widholm JM (1993) Comparison of tissue culture and whole plant responses to salinity in potato. Plant Cell Tissue and Organ Culture 33:273-280 

  31. Nanjo T, Kobayashi M, Yoshiba Y, Wada K, Tsukaya H, Kakaubari Y, Yamaguchi-shinozaki K, Shinozaki K (1999) Biological functions of proline in morphogenesis and osmotolerance revealed in antisense transgenic Arabidopsis thaliana. Plant J 18:185-193 

  32. Paleg LG, Steward GR, Bradbeer JW (1984) Proline and glycine betaine influence protein solvation. Plant Physiol 75:974-978 

  33. Paliwal KV, Yadav BR (1980) Effect of saline irrigation water on the yield of potato. Indian J Agricultural Sci 50:1-33 

  34. Queiros F, Fidalgo F, Santos I, Salema R (2007) In vitro selection of salt tolerant cell lines in Solanum tuberosum L. Biologia Plantarum 51:728-734 

  35. Rahnama H, Ebrahimzadeh H (2004) The effect of NaCl on proline accumulation in potato seedlings and calli. Acta Physiol Plantarum 26:263-270 

  36. Rains DW, Croughan SS, Croughan TP (1986)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utant cell lines and plants: salt tolerance. I.K. Vasil (Ed.), Cell Culture and Somatic Cell Genetics of Plants, Academic Press Inc, Orlando pp 537-547 

  37. Rhoades JD, Loveday J (1990) Salinity in irrigated agriculture. In: Stewart BA, Nielsen DR, (eds.), Irrigation of Agricultural Crops,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Madison, Wisconsin, pp 1089-1142 

  38. Ruiz Carrasco KB, Baroni Fornasiero R, Tassoni A, Bagni N (2007) Identification of two phenotypes of Arabidopsis thaliana under in vitro salt stress conditions. Biologia Plantarum 51:436-442 

  3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1) The potato. RDA, Suwon, Korea, pp 208-209 

  40. Silva JAB, Otoni WC, Martinez CA, Dias LM, Silva MAP (2001) Microtuberization of Andean potato species (Solanum spp.) as affected by salinity. Scientia Horticulturae 89:91-101 

  41. Steward CR, Lee JA (1974) The rate of proline accumulation in halophytes. Planta 120:279-289 

  42. Szabados L, Savoure A (2010) Proline: a multifunctional amino acid. Trends in Plant Sci 15:89-97 

  43. Tai M (1984) Physiological genetics of salt resistance in higher plants: studies on the level of the whole plant and isolated organs, tissues and cells. R.C. Staples, G.H. Toenniessen (Eds.), Salinity Tolerance in Plants, Strategies for Crop Improvement, Wiley, New York, pp 301-320 

  44. Tang L, Kwon SY, Kwak SS, Sung CK, Lee HS (2003) Susceptibility of two potato cultivars to various environmental stresses. Korean J Plant Biotechnol 30:405-410 

  45. van Hoorn JW, Katerji N, Hamdy A, Mastrorilli M (1993) Effect of saline water on soil salinity and on water stress, growth, and yield of wheat and potatoes. Agric Water Mgmt 23:247-265 

  46. Werner JE, Finkelstein RR (1995) Arabidopsis mutants with reduced response to NaCl and osmostic stress. Physiol Plantarum 93:659-666 

  47. Yun DJ (2005) Molecular mechanism of plant adaption to high salinity. Korean J Plant Biotechnol 32:1-14 

  48. Zidan M, Azaizeh H, Neumann PM (1990) Does salinity reduce growth in maize root epidermal cells by inhibiting their capacity for cell wall acidification. Plant Physiol 93:7-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