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대역 마하수 비행을 위한 극초음속 엔진 흡입구의 가변형상 설계
Variable Inlet Design for Hypersonic Engines with a Wide Range of Flight Mach Numbers 원문보기

한국추진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v.19 no.3, 2015년, pp.65 - 72  

강상훈 (Department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Sejo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이중램제트 엔진 및 로켓/터빈 기반 복합사이클 엔진에의 활용을 위해 Mach 3에서부터 Mach 8까지 넓은 마하수 영역에서 적용이 가능한 초음속흡입구의 형상설계를 수행하고 그 설계방법론에 대해 고찰하였다. 축대칭 가변흡입구를 기본 개념으로 중심콘 각도 및 경사충격파 각도를 이용한 기하학적 관계식으로부터 흡입구 형상을 설계하였으며, 100%에 준하는 포획면적비를 갖도록 하였다. 또한 전산해석결과로부터 Mach 3~8까지 조건에서 흡입구 중심콘에서 발생한 충격파가 올바르게 배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present study, a supersonic inlet for dual mode ramjets or RBCC/TBCC engines with a wide range of flight Mach numbers is designed. A conical variable inlet configuration is chosen for the inlet design. Geometric relations with angles of compression cones and conical shock waves are used for the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중램제트 엔진 및 로켓/터빈 기반 복합사이클 엔진에의 활용을 위해, Mach 3에서부터 Mach 8까지 넓은 마하수 영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초음속 흡입구의 형상 초안설정의 예시를 제시하고, 형상설계방법론에 대해 고찰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고찰영역은 종말충격파 상류의 중심콘 형상설계 및 충격파 배치로 제한하고, 흡입구 시동성능 및 연소실 압력 한계를 고려한 흡입구 내부 유로 및 목면적 설계 방법에 대한 고찰은 별도의 연구로 진행하기로 한다.
  • 본 연구를 통하여 Mach 3~8까지 넓은 마하수 영역에서 적용이 가능한 흡입구의 형상설계를 수행하고 그 설계방법론에 대해 고찰하였다.

가설 설정

  • 전산해석은 상용해석코드 ANSYS Fluent를 이용하여 수행하였고, Density based solver를 적용하였다. 현 설계단계에서의 주된 관심사는 흡입구 가변형상에 따른 경사충격파의 올바른 배치 여부이므로, 비점성 유동 가정을 통해 단순화하여 해석하였다. 또한, 동일한 이유로 전산해석 영역의 입구조건은 임의의 값으로 설정하여 정압력 10 kPa, 정온도 300 K로 두었으며, 비행마하수 조건을 3, 5, 8로 달리하여 해석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속추진기관의 복합사이클엔진은 어떻게 나뉘는가? 고속추진기관의 복합사이클엔진은 정지상태의 추력을 발생시키는 구성품이 무엇인가에 따라 터빈기반 복합사이클과 로켓기반 복합사이클로 나뉘어지지만, Mach 3 이상의 고속구간에서는 램제트 모드와 스크램제트 모드로 운영된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1-3].
공기흡입식 고속추진기관이 기존의 고가의 로켓추진기관을 대체할 차세대 추진기관으로 주목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공기흡입식 고속추진기관은 유료하중적재용량이 크고 비추력 성능이 높기 때문에 기존의 고가의 로켓추진기관을 대체할 차세대 추진기관으로 주목받으며 세계적으로도 오랜 기간 동안 다양한 기술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고속비행 특성이 우수한 램제트, 스크램제트엔진은 정지상태에서 추력을 발생시킬 수 없고, 최적의 추력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마하수 영역 또한 서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부스터를 포함하여 램제트 및 스크램제트 엔진의 복합사이클의 형태가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램제트, 스크램제트엔진과 같은 공기흡입식 고속추진기관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공기흡입식 고속추진기관은 유료하중적재용량이 크고 비추력 성능이 높기 때문에 기존의 고가의 로켓추진기관을 대체할 차세대 추진기관으로 주목받으며 세계적으로도 오랜 기간 동안 다양한 기술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고속비행 특성이 우수한 램제트, 스크램제트엔진은 정지상태에서 추력을 발생시킬 수 없고, 최적의 추력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마하수 영역 또한 서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부스터를 포함하여 램제트 및 스크램제트 엔진의 복합사이클의 형태가 필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Fry, R.S., "A Century of Ramjet Propulsion Technology Evolution," Journal of propulsion and power, Vol. 20, No. 1, pp. 27-58, 2004. 

  2. Kokan, T., Olds, J.R., Hutchinson, V. and Reeves, J.D., "Aztec: A TSTO Hypersonic Vehicle Concept Utilizing TBCC and HEDM Propulsion Technologies," 40th AIAA/ASME/SAE/ASEE Joint Propulsion Conference and Exhibit, Fort Lauderdale, F.L., U.S.A., AIAA 2004-3728, July 2004. 

  3. Young, D.A., Kokan, T., Clark, I., Tanner, C. and Wilhite, A., "Lazarus: A SSTO Hypersonic Vehicle Concept Utilizing RBCC and HEDM Propulsion Technologies," 14th AIAA/AHI Space Planes and Hypersonic Systems and Technologies Conference, Canberra, Australia, AIAA 2006-8099, Nov. 2006. 

  4. Kang, S.H. and Lee, S.Y., "Weight Reduction of the Reusable Launch Vehicles using RBCC Engin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Vol. 17, No. 3, pp. 56-66, 2013. 

  5. Conners, T.R., "Predicted Performance of a Thrust-Enhanced SR-71 Aircraft with an External Payload," NASA Technical Memorandum 104330, 1997. 

  6. Kang, S.H., Lee, Y.J. and Yang, S.S., "Preliminary Design Study of the Scramjet Engine Intak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Vol. 9, No. 3, pp. 38-48, 2005. 

  7. Kang, S.H., Lee, Y.J. and Yang, S.S., "Model Scramjet Design for Ground Te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Vol. 11, No. 5, pp. 1-13, 2007. 

  8. Seddon, J., Intake Aerodynamics, AIAA Education Series, AIAA, Washington, DC, U.S.A., 1985. 

  9. Liepmann, H.W. and Roshko, A., Elements of Gasdynamics,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N.Y., U.S.A., 1957. 

  10. Connors J.F. and Meyer, R.C., "Design Criteria for Axisymmetric and Two-dimensional Supersonic Inlets and Exits," NACA TN 3589, 195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