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건강과 주관적 구강건강의 관련성에 대한 융합적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Health and Self-rated Oral Health on Convergence Stud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7, 2015년, pp.239 - 248  

원영순 (원광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김지현 (고려대학교 보건학협동과정)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정신건강과 주관적 구강건강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제5기(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19세 이상 55세 이하의 성인 3,59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정신건강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의 위험도와 95% 신뢰구간은 다변량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산출하였으며,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인인지 구강건강상태에서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경우(OR=1.62; 95% CI=1.36-1.95), 치통경험에서는 2주 이상 연속 우울감이 있는 경우(OR=1.40; 95% CI=1.06-1.85), 저작불편호소경험에서는 정신문제상담 경험이 있는 경우(OR=2.31; 95% CI=1.28-4.18), 악관절 증상경험에서는 2주 이상 연속 우울감이 있는 경우(OR=1.83; 95% CI=1.39-2.42), 말하기 문제의 경우 정신문제 상담을 받은 경우(OR=4.80; 95% CI=2.10-10.94)에서 위험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스트레스인지, 우울증상 경험, 정신문제 상담경험이 주관적 구강건강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의 정신건강을 고려한 구강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면 두 가지 영역에 융합적으로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conducted to confirm a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health and self-rated oral health on. 3,591 people aged from 19 to 55 were studied through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elf-rated oral health risk in relation to psychological health and 95% confidence inter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정신건강이 구강건강의 위험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환자에게 인식시킬 필요가 있으며, 더 나아가 정신건강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해 임상 현장에서 정신건강 및 구강건강문제의 인식 및 치료를 위한 공동의 협력체제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치과진료기관에서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안하고자 한다.
  • 현재까지 스트레스와 치주질환 및 치아우식증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진행되어지고 있으나, 정신건강의 여러 요인들과 다양한 주관적 구강건강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한민국 성인의 정신건강의 여러 요인들과 주관적인 구강건강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구강건강과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진행된 주요 연구 결과에 대한 고찰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우리나라 성인의 다양한 변수들을 포함한 정신건강과 주관적인 구강건강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구강건강과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표성과 신뢰성이 확보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정신건강과 주관적 구강건강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는 단면 조사연구이기에 연구 결과를 통해 정신건강과 주관적 구강건강의 관련성을 제시할 수 있으나, 인과 관계를 설명할 수 없는 것을 제한점으로 들 수 있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체표본을 대상으로 교란요인들을 고려하여 성인의 정신건강과 주관적 구강건강의 관련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또한 선행 연구들의 경우처럼 구강건강과 정신건강과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는데 그치지 않고 각각의 요인들 중 어떠한 요인이 더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를 조사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고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속도로 변화되는 사회 환경으로 인해 현대인에게 발생할 수 있는 사회문제는? 현대인들은 급속하게 변화되는 사회 환경으로 인하여 과도한 경쟁, 인간관계의 단절 및 비인간화 현상 등 다양한 사회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로 인한 불안, 스트레스 및 압박감 등은 현대인들의 정신건강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1].
주관적 구강건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본 연구결과, 정신건강 중 스트레스, 우울증, 자살생각이 주관적 구강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서 스트레스의 영향이 제일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스트레스는 주관적 구강건강의 5가지 변수 모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20-30대의 정신건강 문제는 어떤 원인으로 발생하는가? 이러한 정신건강 문제는 음주나 흡연과 같은 요인과도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며[2] 만성질환 및 장애, 자살 관련 행동, 그리고 사망에 이르기까지 그 연관성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3]. 특히 20-30대는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 사회적 경쟁 등으로 인한 정신건강의 위해로 인해 신체적인 불건강을 초래할 수 있고, 40-50대는 자녀양육 및 부모를 부양하는 책임 등의 역할로 정신적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받게 되며 이는 구강건강에 악역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도 볼 수 있다고 하였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P. H. Kim, H. S. Kim,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stress, mental health, and social support in community resi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 24, No. 2, pp. 197-210, 2010. 

  2. B. F. Grant, D. S. Hasin, S. P. Chou, F. S. Stinson, D. A. Dawson, Nicotine dependence and psychiatric disorder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on alcohol and related condition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 61, No. 11, pp. 1107-1115, 2004. 

  3. S. K. Kang, Does depression predict suicide?:Gender and age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attitud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41, No. 2, pp. 67-100, 2010. 

  4. S. J.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dults' mental health and dental caries. Master's thesis, p.1-49,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4. 

  5. M. V. Vettore, A. T. Leao, A. M. Monteiro Da Silva, R. S. Quintanilha, G. A. Lamarca. The relationship of stress and anxiety with chronic periodontitis. J Clin Periodontol, Vol 30, pp. 394-402, 2003. 

  6. F. Mongini, G. Ciocone, F. Ibertis, C. Negro.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accompanying symptoms in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headache, and facial pain. Journal of orofacial Pain, Vol. 14, pp. 52-58, 1999. 

  7. H. Kanehira, A. Agariguchi, H. Kato, S. Yoshimine, H. Inoue.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 Nihon Hotetsu Shika Gakkai Zasshi, Vol. 52, pp. 375-80, 2008. 

  8. S. Goyal, S. Jajoo, G. Nagappa, G. Rao, Estim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stress and periodontal status using serum cortisol level: a clinico-biochemical study. Indian J Dent Res, Vol. 22, pp. 6-9, 2011. 

  9. T. L. Finlayson, D. R. Williams, K. Siefert, J. S. Jackson, R. Nowjack-Raymer, Oral health disparities and psychosocial correlates of self-rated oral health in the National Survey of American Life. Am J Public Health, Vol. 100, No. 1, pp. S246-55, 2010. 

  10. S. M. Hong, B. G. Kim,J. H.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internal derangement of TMJ and occlusal and emotional factors. Korean academy of orofacial pain and oral mecicine. Vol. 28, No. 2. pp. 239-247, 2003. 

  11. E. S. Lee, Association of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with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adults. Master's thesis, p.1-31, Catholic National University, 2013. 

  12. F. K. Willits, D. M. Crider, Health rating and life satisfaction in later middle years. Journal of Gerontology, Vol. 43, No. 5, pp. 172-176, 1988. 

  13. Y. N. Kim, H. K. Kwon, W. G. Chung, Y. S. Cho, Y. H. Choi, The association of perceived oral health with oral epidemiological indicators in Korean adults. Journal Korean Academy Oral Health, Vol. 29, No. 3, pp. 250-260, 2005. 

  14. The epidemiological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M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15. Y. Vered, V. Soskolne, A. Zini, A. Livny, H. D. Sgan-Cohen, Psychological distress and social support are determinants of changing oral health status among an immigrant population from Ethiopia, Community dentistry and oral epidemiology, Vol. 39, No. 2, pp. 145-153, 2011. 

  16. R. Lopez, V. Ramirez, P. Marro, V. Baelum, Psychosocial distress and periodontitis in adolescents, Academy of Minimally Invasive Dentistry, Vol. 10, No. 3, pp. 211-218, 2011. 

  17. R. Deinzer, S. Ruttermann, O. Mobes, A. Herforth, Increase in gingival inflammation under academic stress. Journal of Clinical Periodontology, Vol. 25, 

  18. H. O. Kim, Y. J. Koo, E. A. Park, The influence on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by their perceived stress, stress coping, perfectionism, and self estee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2, pp. 257-266, 2015. 

  19. Y. J. Lee, K. J. Choi, The Effect of Korean Adult's Mental Health On QOL(Quality Of Life)-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1, pp. 321-327, 2013. 

  20. H. M. Pack, Effects of oral health behavior and status of elderly people in Korea on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8, No. 4. pp. 175-185, 2014. 

  21. S. A. Chang, Effects of stress and depression on oral health status of middle aged population in Korea. Master's thesis, p.1-61, Hanyang University, 2014. 

  22. S. M. Kwon, Modern abnormal psychology. Hakjisa. 2013. 

  23. V. P. Marques, V. Milagre, Are oral health status and care associated with anxiety and depression? A study of Portuguese health science students. Journal of public health dentistry, Vol. 66, pp. 64-66, 2006. 

  24. J. G. Oh, Y. J. Kim, H. S. Go, A Study 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Dry Mouth. Korean academy of orofacial pain and oral mecicine, Vol. 26, No. 4. pp. 331-343, 2001. 

  25. I. von Bultzingslowen, T. P. Sollecito, P. C. Fox, T. Daniels, R, Jonsson, P. B. Lockhart, D. Wray, M. T. Brennan, M. Carrozzo, B. Gandera, Salivary dysfunction associated with systemic diseases: systematic review and clinical management recommendations. Oral surgery, oral medicine, oral pathology, oral radiology, and endodontics, Vol. 103, Suppl 1, pp. S57.e1-e15, 2007. 

  26. S. F. Dworkin, J. Sherman, L. Mamcl, R. Ohrbach, L. Leresche, E. Truelove, Reliability, validity, and clinical utility of the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xis II scales: depression, non-specific physical symptoms, and graded chronic pain. Journal of Orofacial Pain, Vol. 16, No. 3, pp.207-220,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