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기 태양전지 효율 향상을 위한 신규 고분자 재료의 구조 설계 및 개발 동향 원문보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 Information display, v.16 no.1, 2015년, pp.4 - 12  

강태의 (한국과학기술원) ,  김태수 (한국과학기술원) ,  김범준 (한국과학기술원)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기고에서는 고효율 유기 태양전지를 위하여 그 동안 개발된 신규 전자 주개 유기 재료 중 대표적인 전도성 고분자를 소개하려 한다. 먼저 2장에서는 유기 태양전지의 전자 주개로 사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특성을 소개하고 3장에서는 구조에 따라 전자 주개 고분자의 종류를 구분하여 소개하려 한다.
  • 지금까지 전자 주개 물질인 전도성 고분자 개발에 따른 유기 태양전지의 발전 과정과 최근 연구 동향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유기 태양전지의 효율은 최근 몇 년간 크게 향상되었으며 이는 무엇보다도 다양한 전도성 고분자 구조 설계 방법으로 인한 새로운 전도성 고분자의 개발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omopolymer 중 가장 높은 광전변화효율을 보이는 P3HT는 어떤 한계점이 있는가? 지금까지 보고된 homopolymer 중에서는 P3HT가 P3HT:PC61BM 또는 P3HT:PC71BM을 기반으로 한 유기 태양전지는 평균 3~5%대의 가장 높은 광전변화효율 (power conversion efficiency, PCE)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P3HT의 높은 전하 이동도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큰 밴드갭(~1.9eV)으로 인해 흡수할 수 있는 광자의 양이 제한적이며, 높은 HOMO 에너지 준위로 인해 전자 받개의 LUMO 에너지 준위와의 차이를 감소시켜 낮은 개방전압을 갖게 되어 P3HT를 이용해서는 유기 태양전지의 효율을 추가로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상용화하기에는 낮은 효율을 가진 유기태양전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대표적으로 어떤 연구들이 진행되었나? 유기 태양전지 분야의 단점은 유기태양전지를 상용화하기에는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이며 따라서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지난 20년간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었다. 작은 밴드갭을 갖는 전자 주개형 고분자(low-bandgap polymer)의 개발과 PCBM의 구조 변화를 통하여 효율 증가를 발표한 사례가 대표적이며 또한 전자주개와 전자 받개 사이의 몰포로지와 계면 조절을 통하여 효율 및 안정성을 높이는 연구도 진행되었다. 이와 같이 원리적인 접근과 더불어 소자 아키텍쳐(device architecture)를 변화시켜 효율을 올리거나 금속나노입자를 유기 태양전지에 첨가하여 플라즈몬 효과(plasmonic effect)를 통하여 효율을 극대화하는 기술적인 접근도 연구되었다.
D-A alternating copolymer 구조의 장점은? Homopolymer의 단점인 큰 밴드갭을 효과적으로 작게하면서 HOMO/LUMO 에너지 준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D-A alternating approach가 개발되었으며 이로 인해 작은 밴드갭을 가지는 전도성 고분자를 확보할 수 있다. 이런 D-A alternating copolymer 구조는 electron-rich(D) unit과 electron-deficient(A) unit 이 교대로 고분자의 backbone에 도입되는 것으로, 이 방법으로는 하나의 backbone안에 존재하는 D와 A의 에너지 준위 사이의 intramolecular charge transfer (ICT)에 의해 밴드갭을 줄임과 동시에 다양한 D와 A의 조합을 통해 HOMO/LUMO 에너지 준위를 세밀하게 조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표적인 electron-rich unit으로는 benzodithiophene, fluoren, thiophene, dithienosilole, cabazole 등이 있으며, electrondeficient unit으로는 thieno[3,4-c]pyrrole -4,6-dione, diketopyrrolo[3,4-c]pyrrole-1,4-dione, isoindigo, benzothiazole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F. C. Krebs, Sol. Energy Mater. Sol. Cells, 93, 394 (2009). 

  2. S. Gunes, H. Neugebauer, and N. S. Sariciftci, Chem. Rev., 107, 1324 (2007). 

  3. A. C. Arias, J. D. MacKenzie, I. McCulloch, J. Rivnay, and A.Salleo, Chem. Rev., 110, 3 (2010). 

  4. C. J. Brabec, N. S. Sariciftci, and J. C. Hummelen, Adv. Funct.Mater., 11, 15 (2001). 

  5. L. M. Campos, A. Tontcheva, S. Gunes, G. Sonmez, H. Neugebauer, N. S. Sariciftci and F. Wudl, Chem. Mater., 17, 4031 (2005). 

  6. G. Li, V. Shrotriya, J. Huang, Y. Yao, T. Moriarty, K. Emery, and Y. Yang, Nat. Mater., 4, 864 (2005). 

  7. W. Ma, C. Yang, X. Gong, K. Lee, and A. J. Heeger, Adv. Funct. Mater., 15, 1617 (2005). 

  8. H. Zhou, L. Yang, S. Stoneking, and W. You, ACS Appl. Mater. Interfaces , 2, 1377 (2010). 

  9. C. J. Brabec, A. Cravino, D. Meissner, N. S. Sariciftci, T.Fromherz, M. T. Rispens, L. Sanchez, and J. C. Hummelen, Adv. Funct. Mater., 11, 374 (2001). 

  10. H. X. Zhou, L. Q. Yang, S. Stoneking, W. You,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2, 1377 (2010). 

  11. C. Piliego, T. W. Holcombe, J. D. Douglas, C. H. Woo, P. M. Beaujuge, J. M. J. Frechet, J Am Chem Soc., 132, 7595 (2010). 

  12. J. S. Wu, Y. J. Cheng, M. Dubosc, C. H. Hsieh, C. Y. Chang, C. S. Hsu, Chem Commun., 46, 3259 (2010). 

  13. Y. J. Cheng, S. H. Yang, C. S. Hsu, Chem Rev., 109, 5868 (2009). 

  14. S. Zhang, L. Ye, W. Zhao, D. Liu, H. Yao, J. Hou, Macromolecules., 47, 4653 (2014). 

  15. L. J. Huo, S. Q. Zhang, X. Guo, F. Xu, Y. F. Li, J. H. Hou, Angew Chem Int Edit., 123, 9871 (2011). 

  16. H. X. Zhou, L. Q. Yang, A. C. Stuart, S. C. Price, S. B. Liu, W. You, Angew Chem Int Edit., 123, 3051 (2011). 

  17. T. Y. Chu, J. P. Lu, S. Beaupre, Y. G. Zhang, J. R. Pouliot, S. Wakim, J. Y. Zhou, M. Leclerc, Z. Li, J. F. Ding, Y. Tao, J Am Chem Soc., 133, 4250 (2011). 

  18. H. C. Chen, Y. H. Chen, C. C. Liu, Y. C. Chien, S. W. Chou, P. T. Chou, Chem Mater. , 24, 4766 (2012). 

  19. Y. Liu, J. Zhao, Z. Li, C. Mu, W. Ma, H. Hu, K. Jiang, H. Lin, H. Ade, H. Yan, Nat Comm, 5, 5293 (2014). 

  20. T. E. Kang, K.-H. Kim, B. J. Kim, J Mater Chem A., 2, 15252 (2014). 

  21. T. E. Kang, H.-H. Cho, H. j. Kim, W. Lee, H. Kang, B. J. Kim, Macromolecules ., 46, 6806 (2013). 

  22. K.-H. Kim, S. Park, H. Yu, H. Kang, I. H. Song, J. H. Oh, B. J. Kim, Chem Mater., 26, 6963 (2014). 

  23. K. H. Hendriks, G. H. Heintges, V. S. Gevaerts, M. M. Wienk and R. A. Janssen, Angew. Chem., Int. Ed., 52, 8341 (2013). 

  24. W.-H. Chang, J. Gao, L. Dou, C.-C. Chen, Y. Liu and Y. Yang, Adv. Energy Mater., 4, 1300864 (2014). 

  25. J.-M. Jiang, H.-C. Chen, H.-K. Lin, C.-M. Yu, S.-C. Lan, C.-M. Liu and K.-H. Wei, Polym. Chem., 4, 5321 (201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