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래프 기반 준지도 학습 방법을 이용한 특정분야 감성사전 구축
The Construction of a Domain-Specific Sentiment Dictionary Using Graph-based Semi-supervised Learning Method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8 no.1, 2015년, pp.103 - 110  

김정호 (한국항공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오연주 (한국항공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채수환 (한국항공대학교 전자 및 정보통신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감성어휘는 텍스트로 감성을 표현하거나, 반대로 텍스트로부터 감성을 인식하기 위한 특징으로써 감성분류 연구에 필수요소이다. 본 연구는 감성어휘의 집합인 감성사전을 자동으로 구축하는 그래프 기반 준지도 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감성어휘가 사용되어지는 분야에 따라 그 감성이 변하는 중의성 문제를 고려하여 분야 별 감성사전을 구축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어휘와 어휘들 간의 밀접도를 토대로 그래프를 구성하고, 사전에 학습 된 일부 소량의 감성어휘들의 감성을 구성된 그래프 전체에 전파하는 방식으로 모든 어휘의 감성을 추론한다. 감성어휘는 대표적으로 감성단어와 감성구문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들 각각에 대한 그래프를 구성하고 감성을 추론하여 전체 감성사전을 구축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영화평 분야의 감성사전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한 영화평 감성분류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기존 범용 감성사전의 어휘들을 이용한 감성분류보다 더 높은 분류 성능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ntiment lexicon is an essential element for expressing sentiment on a text or recognizing sentiment from a text. We propose a graph-based semi-supervised learning method to construct a sentiment dictionary as sentiment lexicon set. In particular, we focus on the construction of domain-specific s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다 정확한 감성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감성사전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분야별로 어휘가 가지는 의미와 감성이 변하는 중의성 문제를 해결하고, 제한적인 학습 데이터 내에서 각 분야의 특성을 살린 감성사전을 구축하는 준지도적 학습 방법이다.
  • 본 연구는 어휘들이 가지는 사전적 의미와 유의어 관계가 아닌 특정 분야에서의 어휘들 사이의 밀접도를 고려하여 감성어휘를 학습하고 감성사전을 구축하는 그래프 기반 준지도적 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사전과 학습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어휘들과 어휘들 간의 밀접도를 이용하여 그래프를 구성하고, 사전에 정의한 소수의 감성어휘들의 감성을 어휘들 간의 밀접도를 통해 전파하는 레이블 전파(label propagation)방법에 기반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분야에 따른 어휘의 보다 정확한 감성을 파악하기 위해, 특정 분야에서 모든 어휘들 사이의 관계를 말뭉치로부터 추측하고 이를 그래프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그 위에서 어휘들이 가지는 감성을 인접한 어휘들로 전달하여 감성을 추론함으로써 단편적인 감성 추론이 아닌 전체적인 어휘들 사이의 관계를 고려한 감성 추론을 수행하였다.
  • 감성이 없는 중립 단어와 구문은 실제로 감성이 없는 어휘여서 다른 감성어휘와 연결이 없거나 학습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아 다른 감성어휘들과의 관계를 발견하지 못한 경우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중립어휘들을 제외하고 나머지 감성어휘들로 감성사전을 구축하였다.
  • 분야에 따라 감성어휘가 가지는 감성을 보다 정확히 추론하기 위해, 본 연구는 특정 분야에서 어휘들간의 관계를 구하고, 구한 관계를 통해 모든 어휘의 감성을 추론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 영화평 분야의 감성사전을 구축하고, 구축한 감성사전을 이용해 영화평 감성 분석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텍스트 감성 분석이란 무엇인가? 온라인 텍스트에 담긴 의견 정보는 점점 더 발전하는 정보화 시대에서 매우 가치 있는 지적 자원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기업의 위기관리(risk management)나 소비자의 의사결정(decision making)과 같이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진다. 온라인 텍스트 데이터가 담고 있는 사람들의 의견을 인식하고 긍정과 부정 두 감성 범주로 분류하는 것을 텍스트 감성 분석이라 한다.
기계학습 방법을 이용하여 범용 감성사전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한 연구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대부분 전통적인 기계학습 방법을 이용하여 일반 사전과 양질의 학습 데이터로부터 어휘들을 수집하고, 어휘들 사이의 관계로부터 각 어휘의 감성을 추측하여 감성어휘를 학습하였다. 하지만 이들은 단어가 가지는 사전적 의미와 유의어 관계를 바탕으로 감성어휘를 학습하기 때문에 정작 특정 분야에서 어휘들이 가지는 서로간의 관계를 고려할 수 없다.
감성사전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Baccianella et al., 2010) 하지만 위 감성사전은 분야에 상관없이 범용으로 만들어진 사전으로, 감성어휘가 사용되어지는 분야에 따라 표현하는 감성이 변하는 언어의 중의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슬프다’와 같은 단어는 상품 평에서는 주로 부정의 감성을 표현하지만 영화 평에서는 보통 긍정의 감성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accianella, S., Esuli, A., & Sebastiani, F. (2010). SentiWordNet 3.0: An enhanced lexical resource for sentiment analysis and opinion mining. Paper presented at the Seventh conference on International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2. Hu, M. & Liu, B. (2004). Mining and summarizing customer reviews, Proceedings of the ACM SIGKDD Conference o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168-177. 

  3. Kim, S. M. & Hovy, E. (2004). Determining the sentiment of opinion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Linguistics, 1367-1373. 

  4. Dragut, E. C., Yu, C., Sistla, P. & Meng, W. (2010). Construction of a sentimental word dictionary, In Proceedings of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1761-1764. 

  5. Mohammad, S., Dunne, C. & Dorr, B. (2009). Generating highcoverage semantic orientation lexicons from overtly marked words and a thesaurus. in Proceedings of the 2009 Conference on Empirical Metho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599-608. 

  6. Blair-Goldensohn, S., Hannan, K., McDonald, R., Neylon, T., Reis, G. A. & Reynar, J. (2008). Building a sentiment summarizer for local service reviews. in Proceedings of WWW-2008 workshop on NLP in the Information Explosion Era. 

  7. Rao, D. & Ravichandran, D. (2009). Semi-supervised polarity lexicon induction. in Proceedings of the 12th Conference of the European Chapter of the ACL, 675-682. 

  8. Hassan, A., Qazvinian, V. & Radev, D. (2010). What's with the attitude?: identifying sentences with attitude in online discussions. in Proceedings of the 2010 Conference on Empirical Metho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1245-1255. 

  9. Hatzivassiloglou, V. & McKeown, K. R. (1997). Predicting the semantic orientation of adjectives, Proceedings of the Joint ACL/EACLConference, 174-181. 

  10. Qiu, G., Liu, B., Bu, J. & Chen, C. (2009). Expanding Domain Sentiment Lexicon through Double Propagation,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1199-1204. 

  11. Tai, Y. J. & Kao, H. Y. (2013). Automatic Domain-Specific Sentiment Lexicon Generation with Label Propagation. In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Integration and Web-based Applications & Services, 53-62. 

  12. Turney, P. (2002). Thumbs up or thumbs down? Semantic orientation applied to unsupervised classification of reviews, Proceedings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417-424. 

  13. Zhu, X. & Ghahramani, Z. (2002). Learning from labeled and unlabeled data with label propagation, School Comput. Sci., Carnegie Mellon Univ., Pittsburgh, PA, Tech. Rep. CMU-CALD-02-107. 

  14. Esuli, A. & Sebastiani, F. (2005). Determining the semantic orientation of terms through gloss analysis, Proceedings of the ACM Conference on Inform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617-624. 

  15. Kamps, J., Marx, M., Mokken, R. J. & Rijke, M. D. (2004). Using WordNet to measure semantic orientation of adjectives. In Proceeding of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1115-1118. 

  16. Andreevskaia, A. & Bergler, S. (2006). Mining WordNet for a fuzzy sentiment: Sentiment tag extraction from WordNet glosses, Proceedings of the European Chapter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209-2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