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생굴(Crassostrea gigas)의 저장성 및 관능성에 대한 천연 첨가물의 효과
The Effects of Natural Food Additives on the Self-life and Sensory Properties of Shucked and Packe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8 no.2, 2015년, pp.244 - 248  

정은탁 (에스앤텍) ,  한해나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윤혜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은혜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덕훈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지훈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염승목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영목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xplored the efficiency of natural antibacterial agents used to enhance the self-life and sensory properties of shucked and packed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which are in high demanded. First, we screened natural resources exhibiting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ood spoilage and pathog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9). 하지만 생굴의 경우에는 이러한 연구에 대한 보고가 전무하여 본 연구에서 천연 첨가물을 이용하여 생굴의 저장성 연장에 대한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구의 초기 단계에 생굴의 저장성 연장에 대한 한약재, 허브 및 해조류 추출물 등의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하였으나 기대만큼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맛, 색, 향 등의 관능적인 평가도 부정적이었다 (결과 미제시).
  • 연구의 초기 단계에 생굴의 저장성 연장에 대한 한약재, 허브 및 해조류 추출물 등의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하였으나 기대만큼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맛, 색, 향 등의 관능적인 평가도 부정적이었다 (결과 미제시). 이에 식품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천연 첨가물인 유산균 발효 분말(0.5%, w/v) 과 굴 패각 분말(0.1%, w/v) 을 이용한 생굴의 저장성 연장 효과에 대해가능성을 확인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 또한 지금까지 생굴의 보존성을 증가 시키면서 조직감 및 풍미 등의 관능적인 식품학적 품질을 보존 또는 향상시키는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굴의 저장성 연장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굴 패각 분말과 유산균 발효 분말의 첨가에 의한 생굴의 저장 기간 중의 관능학적 식품 품질 변화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항목은 굴의 외관, 향, 맛, 질감, 짠맛, 비린 맛, 이취 및 종합적인 선호도를 측정하였고 관능적 특성이 높을수록 높은 점수를 주도록 하였다.
  • 초고압 처리의 경우 생굴 특유의 조직감과 풍미의 저화 방사선 조사는 소비자들의 거부감 그리고 MAP 경우 경제성의 단점 때문에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유래의 항균성 물질을 이용하여 생굴의 저장기간을 연장하고 풍미를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1984. Laboratory Procedures for the Examination of Sea Water and Shellfish. 5th ed. APHA, Washington DC, USA. 

  2. Hunter AC and Linden BA. 1923. An investigation of oyster spoilage. Am Food J 18, 538-540. 

  3. Kang BK, Kim K, Kim MJ, Bark SW, Pak WM, Kim BR, Ahn NK, Choi YU, Byun MY and Ahn DH. 2014. Effects of Immersion Liquids Containing Citrus junos and Prunus mume Concentrate and High Hydrostatic Pressure on Shelflife and Quality of Scomber japonicu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555-1564. http://dx.doi.org/10.3746/jkfn.2014.43.10.1555. 

  4. Kim J. 2013. A study on the optimum capacity and economics of Pacific Oyster farming. J Kor Reg Dev 13, 36-71. 

  5. Kim YM. 2002. Efficacy of aqueous chlorine dioxide in controlling Vibrio parahaemolyticu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oyster. M.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Mokpo, Korea. 

  6. Kong CS, Ji SG, Choi JD, Kang KG, Roh TH and Oh KS. 2006. Processing an shelf-life stabilities of flavoring substances of the smoke-dried oysters. J Kor Fish Soc 39, 85-93. 

  7. Korea Food Standards Codex. 2015. Retrieved from http://fse.foodnara.go.kr/residue/RS/jsp/menu_02_01_03.jsp?idx106 on Jan 2015. 

  8. Oshima T, Ushio H and Koizumi C. 1993. High pressure processing of fish and fish products. Trends Food Sci Technol 4, 370-375. 

  9. Park BG. 2013. A study on the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of consignment sale factor of Fisheries Cooperatives-A case study of the Oyster Hanging Fisheries Cooperatives.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0. Park JS, Park JN, Park JK, Han IJ, Jung PM, Song BS, Choi JI, Kim JH, Han SB, Byun MW and Lee JW. 2008. Microbiological,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amma-irradiated fresh oysters during storage. J Radiat Ind 2, 85-91. 

  11. Pottinger SR. 1948. Some data on pH and the freshness of shucked eastern oysters Comm. Fish Rev 10, 1-3. 

  12. Son KT, Lach T, Jung Y, Kang SK, Eom SH, Lee DS, Lee MS and Kim YM. 2014a. Food hazard analysis during driedlaver processing. Fish Aquat Sci 17, 197-201. http://dx.doi.org/10.5657/FAS.2014.0197. 

  13. Son KT, Shim KB, Lim CW, Yoon NA, Seo JH, Jeong SG, Jeong WY and Cho YJ. 2014b. Relationship of pH, glycogen, soluble protein, and turibity between freshness of raw oystrer Crassostrea gigas. Kor J Fish Aquat Sci 47, 495-500. http://dx.doi.org/10.5657/KFAS.2014.0495. 

  14. Song EJ, Kim JY, Lee SY, Kim K, Kim SJ, Yoon SY, Lee SJ, Lee CJ and Ahn DH. 2009. Effect of roasted ground coffee residue extract on shelf-life and quality of salted macker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780-786. 

  15. Steel RGD and Torrie JH. 1980. Principle and procedure of statistics; a biometrical approach (2nd ed.). Ma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U.S.A. 

  16. Xiao G and Zhang M. 2003. Study of respiration regulation of Pinggu mushroom and strawberry under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J Wuxi Univ Light Ind 4, 115-123. 

  17. Xiao G, Zhang M, Shan L, You Y and Salokhe VM. 2011. Extension of the shelf-life of fresh oyster mushrooms (Pleurotus ostreatus) by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with chemical treatments. Afr J Biotechnol 10, 9509-95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