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혼직장여성의 가족적 지지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mily Support on Depression among Married Working Women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9 no.2, 2015년, pp.69 - 79  

이화진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서은경 (대구한의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정유림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  남인숙 (대구한의대학교 보건대학원) ,  한삼성 (대구한의대학교 보건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and symptom of depressive among married working women, using the dataset of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y (KLoWF 4th). There were 1,875 subjects. A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study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고자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수행된 여성가족패널조사(KLoWF) 4차년도(2011-2012) 자료를 활용하여 먼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 상태 및 건강행위 특성을 통제변수로 보정한 후본 연구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독립변수인 가족적 지지가 기혼직장여성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기혼직장여성의 가족적 지지가 우울증 지수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여성가족 패널조사 측정항목에서 종속변수와 독립변수 및 통제변수를 다음과 같이 고려하였다.
  • 본 연구는 기혼직장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상태 및 건강행위 특성을 통제하면서 분석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수행된 여성가족패널조사(KLoWF) 4차년도(2011-2012) 자료를 이용하여 기혼여성의 가족적 지지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결혼 행복감이 증가할수록, 남편과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남편과 동반한 친정 방문 횟수가 주2회 이상에 비해 한 달에 한번인 경우에 우울증 지수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의 경력단절이 남성보다 높은 비율을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2000년 이후의 노동시장 변화 추이를 중심으로 성인 여성의 고용 특성을 살펴보면, 혼인 연령층이 다양화되면서 과거에는 30대 초반에 경력단절현상이 집중되었다면 최근에는 30대 전반으로 넓어지고 있다[2]. 이러한 여성의 경력단절은 남성보다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직장과 가족생활의 병행에서 오는 어려움에서 기인된다고 보고 있다[3]. 즉, 이러한 변화는 기혼직장여성의 노동시장과 고용의 문제뿐만 아니라 직장 및 가정생활의 유지에서 오는 스트레스로 인한 건강문제 발생으로도 이어짐을 시사하고 있다.
기혼직장여성의 건강에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기혼직장여성의 건강에는 가족 간의 정서적 유대와 평등하고 협력적인 배우자와의 관계, 자기계 발과 양육 현실간의 간극조정, 맞벌이에 대한 자부심, 직장과 가정의 경계관리, 효율적 시간활용, 실질적으로 운영되는 가족 친화적 근무제도 및 가족 구성원의 지원 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7]. 그러므로 기혼직장여성의 정신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사회전반의 인식 변화와 정책마련 및 제도의 강화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특히 가족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지지와 협력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기혼여성의 사회활동 참여는 얼마나 증가하였는가? 남녀의 고유영역 역할 구분이 점차 사라지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여성의 사회활동 참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30대 여성의 경제활동의 경우 2011년 기준 58.4%에 달하고 40대 및 50대의 경제 활동 또한 각각 66.7, 62.3%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1]. 이러한 기혼여성의 사회활동 참여 증가는 국가적으로 활용도가 높고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면을 갖는 반면에 개인의 정서적 측면에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tatistics Korea(2011),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http://kostat.go.kr 

  2.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2012), Career break female employment support program Revised Final Report Study, http://www.keis.or.kr/main/www.do 

  3. E.Y. Moon, M.S. Jang(2014), Difficulties of Work-Family Life Balance of Working Parents and the Policies of Seoul City, Journal of Public Society, Vol.4(1);5-36. 

  4. J.A. Brommelhoff, K. Conway, K. Merikangas, B.R. Levy(2004), Higher rates of depression in women: Role of gender bias within the family, Journal of Women's Health, Vol.13;69-76. 

  5. K.V. Dietch, B. Bunney(2002), The "silent" disease, Diagnosing and treating depression in women, AHONN Lifelines, Vol.6;140-145. 

  6. WHO(2012), Depression is the leading cause of disability worldwide, and is a major contributor to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More women are affected by depression than men, At its worst, depression can lead to suicide, Constitution of the World Organization, http://www.who.int 

  7. S.N. Yang(2011), Work-Family Conflicts: Challenges of Worki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1(3);70-103. 

  8. N.J. Kim, T.H. Kwon(2009), The Relation Between Work-Family Balance and Quality of Life for Married Women, The Women's Studies, Vol.76(1);43-70. 

  9. H.K. Chang(2012),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 Korean J Adult Nurs, Vol.24(4);339-347. 

  10. S.H. Cho, S.Y. Park(2012), Marital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s with Infants: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Korean Journal of Family Therapy, Vol.20(3);505-524. 

  11. G.S. Yoo(2010), A Study of Dual-Earner Coupl e′s Household Work Time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49(1);41-69. 

  12. D. Vannoy-Hiller, W.W. Philliber(1989), Equal partner: Successful women in marriage, Sage Publications, Vol.20;156-161. 

  13. B.J. Rounsaville, M.M. Weissman, B.A. Prusoff, R.L, Herceg-Baron(1979), Manital disputes and treatment outcome in depressed women, Comprrehensive Psychiatry, Vol.20;483-490. 

  14. Y.J. Cho, S.K. Yoo(2012),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Problem-Focused Coping and Depression in the Relations of Social Support and Work-Family Conflict, Enhancement among Korean Working Mother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4(2);441-463. 

  15. O.R. Ha, J.H. Kwon(2006), Role conflict, Perfectionism, and Family, Spouse Support Mental Health and Role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5(3);675-696. 

  16. J.H. Oh(2008), The Effects of the Sexual Awareness on the Degree of Marriage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21st Century Social Welfare, Vol.5(1);137-158. 

  17. C.E. Ross, J. Mirowsky(1988), Child care and emotional adjustment to wives' employmen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June 29, Vol.20;127-138. 

  18. R.C. Kessler, J.A. McRae(1982), The effect of wives' employment on the mental health of married men and wome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47;216-227. 

  19. E.O. Park(2001), Marital Satisfaction among Married Wom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7(4);508-507. 

  20. E.H. Lee, J.H. Lee(2000), The Moderating Effect of Coping Strategies upon Multiple Role Conflicts and Depression within Dual Employed Couples,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5(2);287-303. 

  21. S.S. Han, S.W. Kang, S.H. Jeong(2012), Experience of depressive symptom and suicidal thinking betwee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elderly coupl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3);29-38. 

  22. E.J. Kim, M.G. Kang(2011), ffects of built environment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health on condition, Journal of the KRSA, Vol.27(3);27-42. 

  23. B. Carter, M. McGoldrick(2005), The expanded family life cycle: Individual, family and social perspectives, 3nd ed, Boston, Mass: Pearson Education Co. p.144. 

  24. Y.J. Son, M.S. Yoo(2008), The Related Factors on the Marital Satisfaction in Working Married Women, J Korea Soc Matern Child Health, Vol.12(2);143-154. 

  25. S.S. Han, S.H. Jeong, S.W. Kang(2013), An Association between Spouse Satisfaction and Depressive Symptom among the Middle-aged and Elderly Coupl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1);59-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