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도의 효율적 수자원 관리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표수의 유출 특성과 증발산량, 지하수 함양량, 지하수 유출량의 상호관계를 정확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 중 식생에 의한 차단(interception)효과는 증발산량에 직결되는 영향 인자임에도 정량적 분석의 어려움 때문에 유역단위로 정량화된 사례는 드물다. Von Hoyningen-Huene (1981)이 엽면적지수와 차단저류량의 관계를 밝혔고, LAI는 차단, 증산의 핵심요소로 다양한 수문모형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Kozak et al. (2007)이 제시한 엽면적 지수(LAI: Leaf Area Index)에 따른 차단저류량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한국형 유역수문모형 SWAT-K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Korea)내에 식생에 의한 차단량 산정모듈을 개선하였다. 제주도 천미천 유역을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천미천 유역의 차단증발량은 85~104mm로서 전체 증발산량(993~1062mm)의 약 8~11% 만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전체 물수지 성분에 영향인자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water resources management platform for Jeju-Island, the characteristics, including surface runoff, evapotranspiration, groundwater recharge and discharge are to be properly quantified. Among these hydrologic components, interception due to vegetation is very imp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SWAT-K모형내에 위와 같은 차단저류와 LAI의 관계식 및 차단량 계산식을 도입함으로써 토지 피복 식생자료에 의해 계산되는 차단량을 계산할 수 있도록 모형을 개선했고 제주 천미천 유역에 대해 시범적용하여 수문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SWAT모형에서는 직접유출량 산정시 초기 손실부분에서 차단을 다뤄오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Eq.
  • 완전분포형 유역수문모형인 MIKE-SHE 모형(DHI, 1998)에서는 차단저류능을 차단 계수와 엽면적지수와의 곱으로 결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유역수문모형 SWAT-K(Kim et al., 2009)를 기반으로 차단량산정모듈을 탑재하였고, 이를 제주도 천미천 유역에 시험적으로 적용하여 물수지 분석 항목중에서 차단량이 전체 수문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생 차단은 무엇인가? 식생 차단은 지상의 식생 표면에 부착상태로 잔류하는 강수량으로 강수가 중단된 후에는 전량 증발하므로 물수지 측면에서는 손실량이라고 볼 수 있으며, 식생에 의한 연간 차단 백분율은 10%에서 밀도가 높은 삼림지역의 25%에 이른다고 한다(Yoon, 2011).벌채나 산지전용 등에 의해 가장 단기간에 나타나는 변화는 숲 구조의 차이에 의한 차단량의 감소이므로 수자원을 합리적으로 관리하고 산지개발에 따른 수자원의 변화량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기상조건과 숲 구조의 변화에 따른 차단손실량의 변화를 정확히 산정할 수 있는 전산모형이 필요하다.
제주도의 효율적 수자원 관리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 2011). 따라서 제주도의 효율적 수자원 관리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표수의 유출 특성과 증발산량, 지하수 함양량, 지하수유출량의 상호관계를 정확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 중 식생에 의한 차단(interception)효과는 증발산량에 직결되는 영향 인자로 인식되고 있으나 정량적 분석의 어려움 때문에 유역단위로 정량화된 사례는 매우 드물다(Fig.
제주도의 수문특성을 서술하시오. 연평균 강우량이 2,000mm를 상회하는 제주도는 우리나라 최대의 다우지역 중 한 곳인 반면, 급한 경사와 짧은 유로 연장 등의 하천 특성과 높은 투수성의 지질학적 특성으로 인해 집중호우시 짧은 기간 동안 유출이 발생하고 평상시 도내 대부분의 하천은 건천의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Jeju-Do and KOWACO, 2003). 이와 같이 내륙과는 상이한 제주도의 수문특성으로 인해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진행된 수자원 관련 연구의 결과를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으며,제주도의 수문특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rnold, J. G. and Williams, J. R. (1987). "SWRRB-A watershed scale model for soil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Computer Models of Watershed Hydrology, V.J. Singh ed., Water Resources Publications, pp. 847-908. 

  2. Arnold, J. G., Williams, J. R. and Maidment, D. R. (1995). "Continuous time water and sediment routing model for large basin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21, No. 2, pp. 171-183. 

  3. Arnold, J. G., Allen, P. M. and Bernhardt, G. (1993). "A comprehensive surface-groundwater flow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142, pp. 47-69. 

  4. Chung, I. M., Lee, J., Kim, J. T., Na, H. and Kim, N. W. (2011). "Development of threshold runoff simulation method for runoff analysis of Jeju Island." J. Environ. Sci., Vol. 20, No. 10, pp. 1347-1355. 

  5. DHI (1998). MIKE SHE water movement - user guide and technical reference manual, edition 1.1, Danish Hydraulic Institute, Denmark. 

  6. Gassman, P. W., Reyes, M. R., Green, J. G. and Arnold, J. G. (2007). "The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Historical Development, Ap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Transactions of the ASABE, Vol. 50, No. 4, pp. 1211-1250. 

  7. Gomez, J. A., Giraldez, J. V. and Fereres, E. (2001). "Rainfall interception by olive trees in relation to leaf area." Agricultural Watershed Management, Vol. 49, pp. 65-76. 

  8. Jeju Do and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2003). Hydrogeologic Groundwater resources investigation in Jeju Island (in Korean). 

  9. Kim, N. W., Chung, I. M., Kim, C., Lee, J. and Lee, J. E. (2009).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SWAT-K (Korea)."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Global Applications, J. Arnold et. al, eds., Special Publication No. 4, World Association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Bangkok, Thailand. 

  10. Kim, N. W., Chung, I. M. and Na, H. (2013). "A method of simulating ephemeral stream runoff characteristics in cheonmi-cheon watershed." Jeju Island, J. Environ. Sci., Vol. 22, No. 5, pp. 523-531 (in Korean). 

  11. Kim, N. W., Won, Y. S., Lee, J., Lee, J. E. and Jeong, J. (2011). "Hydrological impacts of urban imperviousness in white rock creek watershed." Transactions of the ASABE, Vol. 54, No. 5, pp. 1759-1771. 

  12. Knisel, W. G. (1980). CREAMS: A Field Scale Model for Chemicals, Runoff, and Erosion from Agricultural Management Systems, USDA Conservation Research Report No. 26. 

  13. Kozak, J. A., Ahuja, L. R., Green, T. R. and Ma, L. (2007). "Modeling crop canopy and residue rainfall interception effects on soil hydrological components for semi-arid agriculture." Hydrological Processes, Vol. 21, No. 2, pp. 229-241. 

  14. Leavesley, G. H., Lichty, R. W., Troutman, B. M. and Saindon, L. G. (1983). Precipitation-runoff modeling system - User's manual, U.S. Geological Survey Water-Resources Investigations Report 83-4238. 

  15. Leonard, R. A., Knisel, W. G. and Still, D. A. (1987). "GLEAMS: Groundwater Loading Effects on Agricultural Management Systems." Trans. ASAE, Vol. 30, No. 5, pp. 1403-1428. 

  16. Neitsch, S. L., Arnold, J. G., Kiniry, J. R. and Willams, J. R. (2005).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 Theoretical Documentation (version 2005), U.S. Agicultural Reasearch Service. 

  17. Savenije, H. H. G. (2004). "The importance of interception and why we should delete the term evapotranspiration from our vocabulary." Hydrological Processes, Vol. 18, No. 8, pp. 1507-1511. 

  18. Von Hoyningen-Huene, J. (1981). The interception of precipitation in agricultural, Work report German Association for Water, Wastewater and Agriculture, DVWK, Braunschwig, Germany. 

  19. Yoon, T. (2011). Applied hydrology practice and application, Cheongmoongak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