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형의료기관 건축물에 대한 저탄소 녹색 친환경 설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Method depending upon Low Carbon Green Architecture of Big Medical Center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5 no.4, 2015년, pp.987 - 996  

김종구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박종민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최근 환경부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대규모 종합병원 대학병원(58개소)의 실내 공기질이 유지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 공기질은 물론, 병원 규모의 증가와 병원 건축물 대형화에 따른 친환경 건축물 설계와 저탄소 녹색 설계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각 의료기관의 건축물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발열, 쓰레기, 폐에너지, 발전소 배열, 하수열 등의 증가로 인해 병원 환자를 비롯한 병원 고객의 건강에 많은 문제점을 가져다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규모 의료 단지에 건설되는 각각의 건축물이 가지는 의료기관으로써의 특성을 고려한 저탄소 녹색 친환경 건축설계에 도입되어야 하는 기술 개발과 각 의료 건축물 간의 유기적 관계를 고려한 녹색 친환경 건축디자인 기술을 융합적으로 개발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recent research results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indoor air quality of large general hospitals and university hospitals(58 hospitals) exceeded the maintenance standard. On top of such indoor air quality, it is also desperately required to have the environment-friendly bu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의료동 건축물의 외벽, 측벽 및 창호 등 친환경 열관류율 기준을 적용하여 단열설계 의무화를 전제로 한 녹색 건축물 디자인 기법의 개발과 환경과 공존을 위한 친환경 건축계획은 자연 친화적인 건축물의 건축을 유도하기 위하여 공공건축물은 친환경건축물 인증 의무화를 전제로 한 건축계획 및 디자인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대형 단지 내 모든 건축물의 복도, 계단실, 엘리베이터실 등 공용공간과 외부보안 등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토탈 디자인 기법 제안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대규모 의료 단지에 건설되는 각각의 건축물이 가지는 의료기관으로써의 특성을 고려한 저탄소 녹색 친환경 건축 설계에 도입되어야 하는 기술 개발과 각 의료 건축물 간의 유기적 관계를 고려한 녹색 친환경 건축디자인 기술을 융합적으로 개발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형 의료건축물을 비롯한 고층 건축물을 대상으로 친환경 건축물의 실현을 위한 건축의 주요 계획기법은 국내외의 친환경 건축에 적용된 기술과 건축계획 기법을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 이들 건축물의 개별 의료적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친환경 녹색 디자인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장에서는 각 의료동이 가지는 각각의 특성을 고려한 친환경적 건축계획 및 디자인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 셋째, 대표적인 친환경 건축물을 선정하여 친환경 건축을 위한 일반적인 계획 및 기술 기법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친환경 건축계획 기법에 대한 연구문헌과 보고서, 작품집 등을 통해 건축물이 친환경적으로 디자인되는 과정과 에너지 효율에 관하여 살펴본다.
  • 본 연구의 주된 내용인 다음의 네 가지 내용을 고찰하기 위하여 국내외 대형 건축물에 적용되어 있는 건설되어 있는 건축물의 환경적 및 녹색 디자인적 문제를 도출한 후 해외 선진사례와 비교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국내의 의료 건축물에 대응 가능한 저탄소 녹색 디자인 방안을 도출한다.
  • 상기에서 언급한 대형 의료단지 내의 각 건축물 간의 유기적 관계, 즉 의료진의 동선, 이용자의 동선, 각 건축물 간의 오픈스페이스 및 공공시설 등에 관한 관계를 고려한 최적의 건축계획 및 단지계획을 도출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해 대형 의료 건축물 등이 단순히 친환경 인증을 얻기 위한 건축계획 접근이 아니라 건축물의 에너지 부하를 낮추고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건축물을 계획하기 위하여 건축가가 디자인 초기 단계에서부터 고려해야 할 건축계획 기법을 도출하도록 한다.
  • 그러므로 초고층 건축에 적합한 개념 정립이 요구되며 새로운 목표설정이 필요하다. 이에 그 기준을 저층보다는 빌딩에 적용되는 그린빌딩의 개념과 초고층 건축에서의 생태기후학을 적용시켜 환경친화적 초고층 건축을 추구한 green skyscraper 개념에서 새로운 환경 친화적 초고층 건축의 개념을 설정해 볼 수 있다. 먼저 그린빌딩 (green building) 1992년 리우환경 정상회의 이후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이라는 환경과 개발의 상충이 아닌 공존의 경제개발 방식이 중시됨에 따라 등장하게 된 개념으로 현세와 후세에 걸친 인류의 생존과 지구환경 문제에 기여하기 위한 환경 친화적 건축을 말한다.
  • 초고층 건축의 입면계획은 앞에 살펴 본 형태계획과도 어느정도 관련성이 있으므로 여기서는 창호나 구조재료에 의한 면분할과 파사드의 입면구성을 중심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전체적 입면구성에서 보이는 공통적인 특징은 대부분 필로티 구조를 가지며 표면구성과 면분할의 다양성이다.
  • 그린빌딩은 passive, active solar system 등 에너지절약과 자원절약, 에너지효율 향상을 목적으로 친환경적으로 설계, 시공, 운영유지관리, 폐기되는 형태의 빌딩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최대목표는 에너지절약과 환경보존이며 거기에 건축물 외형 디자인까지 고려한 고효율 에너지 설비자원 재활용, 환경공해저감기술 등을 적용하여 설계ㆍ건설하고 유지, 관리 후 건물의 수명이 끝나 해체될 때에도 환경에 대한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계획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고층 건축에 적합한 개념 정립이 요구되며 새로운 목표설정이 필요한 이유는? 그러나 지금까지 생태건축은 저층형 건축에서 그 개념과 사례를 찾아볼 수 있으며 초고층 건축에서의 환경 친화적 건축사례는 찾아보기가 힘들다. 특히 초고층 건축은 규모와 크기에 있어서 기존 건물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거대하기 때문에 일반 적인 생태건축의 디자인 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초고층 건축에 적합한 개념 정립이 요구되며 새로운 목표설정이 필요하다.
의료기관의 건축물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발열, 쓰레기, 폐에너지, 발전소 배열, 하수열 등의 증가가 발생시키는 문제점은? 내부 공기질은 물론, 병원 규모의 증가와 병원 건축물 대형화에 따른 친환경 건축물 설계와 저탄소 녹색 설계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각 의료기관의 건축물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발열, 쓰레기, 폐에너지, 발전소 배열, 하수열 등의 증가로 인해 병원 환자를 비롯한 병원 고객의 건강에 많은 문제점을 가져다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규모 의료 단지에 건설되는 각각의 건축물이 가지는 의료기관으로써의 특성을 고려한 저탄소 녹색 친환경 건축설계에 도입되어야 하는 기술 개발과 각 의료 건축물 간의 유기적 관계를 고려한 녹색 친환경 건축디자인 기술을 융합적으로 개발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한다.
초고층 건축의 부정적 영향은? 특히 홍콩을 포함한 중국, 두바이, 싱가포르, 일본, 말레시아 등 아시아를 중심으로 무대가 옮겨지면서 초고층 건축은 하나의 국가나 도시의 상징이 되고 있으며 경향도 다양화 되고 있다. 그러나 초고층 건축의 긍정적 효과보다 교통문제나 도시기반시설 과부화 자연환경의 파괴 대량의 에너지소비라는 부정적 영향이 더욱 부각되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green building, green skyscraper 등의 개념으로 환경 친화적 초고층 건축의 경향을 만들어 내고 있다. 향후 초고층 건축의 증가율이 지속된다고 본다면 건설과정에서부터 건설 후 사용단계에서 발생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절약과 환경부하 경감, 거주자의 건강과 쾌적성, 건축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하는 친환경 초고층 건축의 필요성은 필연적이라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개념적으로 막연하고 체계화 되지 않은 친환경 초고층 건축의 개념을 정립하고 현실적인 실천적 대안을 찾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친환경적 건축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사례의 분석을 통해 친환경 초고층 건축의 주요 건축 계획적 특징을 알아보고 구체적 친환경 초고층 건축 기술아이디어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li, M. and Armstrong, P. (2008). "Overview of sustainable design factors in high-rise buildings." CTBUH 8th World Congress, Dubai. March 3-5, pp. 282-291. 

  2. Cho, W. H. (2010). "Technology and case of environment-friendly buildings for the period of low carbon." Korean Green Building Council, pp. 43-70. 

  3. Faber, M. (2002). Report of tall buildings and sustainability, Corporation of London. 

  4. James, S. Russell (1999). With his sleek ecological design, Lord Norman Foster Imbues the Reichstag with Germany's New Self Image, Architectural Record. 

  5. Jeong, Y. J. and Chun, M. H. (1999). "A study on influences of buckminster fuller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Vol. 19, No. 3, pp. 45-52. 

  6. Kim, J. K. (2008). "A study on the method and planning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friendly skyscraper."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ol. 8, No. 3, pp. 27-36. 

  7. Kim, W. et al. (2009).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al design guide book, Balun. 

  8. Kwon, Y. J. and Kim, J. S. (2009). "A study on characteristic of sustainable design of architectural space on Norman Foster's works."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Vol. 18, No. 4, pp. 11-20. 

  9. Lee, B. Y. and Kim, K. H. (2009). "A study on the integrated design process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5, No. 4, pp. 55-62. 

  10. Lee, J. Y. and Lee, K. S. (2010). "Study on examples of sustainable environment application in atrium space."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6, No. 9, pp. 123-132. 

  11. Lee, S. Y. et al. (2001). "A study on the exterior improvement of buildings considered sustainable factors."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1, No. 2, pp. 419-422. 

  12. Suh, W. D. and Choo, S. Y. (2006). "A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techniques of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e in utilization of technologie."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2, No. 7, pp. 49-58. 

  13. Yang, K. S. (2011). "Case study on the composition method of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e of the educational facilities."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Vol. 13, No. 1, pp. 55-62. 

  14. Yim, S. H. and Park, H. S. (2011). "A study on design methods in sustainable architecture of norman foster."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7, No. 3, pp. 91-98. 

  15. Yoon, J. H. (2007). "Conception and plan methods of environmentfriendly buildings."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s, Vol. 1, No. 2, pp. 8-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