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린에너지 활용을 위한 소형풍력발전기의 효율 특성
Generation Efficiency Characteristics of Small Wind Power for Green Energy Utilization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6 no.4, 2015년, pp.489 - 494  

이유석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김재용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점차적으로 지구의 화석연료가 고갈됨에 따라, 효율적인 에너지 저장과 함께 그린에너지에 대한 기술과 수요가 절실히 요구된다. 풍력에너지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확장되는 에너지원이다. 하지만 엄청난 가격의 대형풍력발전기 설치비와 정격풍속인 12 m/s 이상을 요구하는 상황에 따라 내륙에서의 풍력발전의 설치는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풍속에서도 발전가능한 소형풍력발전기를 실험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륙에서의 풍황조건을 분석하고, 300 W와 1 kW 용량의 소형풍력발전기를 옥상에 설치한 후, 그들에 대한 발전효율 특성을 비교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world-wide supply of fossil fuel sources decreases, the need for efficient energy conservation in addition to developing green energy technologies becomes critical. Wind energy is now regarded as one of the most rapidly expanding energy sources in the world. However, due to the high cost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국내의 풍황에 맞는 소형풍력발전에 관하여 한국M대, K대학교, J대학교 등에서 각 지역별로 연구한 자료들이 있으나 해양지역에 관한 자료들만 있을 뿐 내륙지역에 대한 세부적인 풍속 자료들은 부족한 상황이다[5-7]. 본 연구에서는 내륙지역 중 충북 청주에 위치하고 있는 C대학교 5공학관 옥상에 풍속계를 설치하여 다변화하는 내륙지역의 풍황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였고, 풍력발전기와 풍향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또한, 1 kW 용량 수평축 풍력발전기와 300 W 용량 수평축 풍력발전기를 설치해서, 발전기의 풍속대비 발전효율을 측정하고, 두 발전기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소형풍력발전의 옥상설치 가능성에 대하여 확인하였으며, 1 kW 발전기와 300 W 발전기에 대한 각각의 효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풍력발전기의 현황은 어떠한가? LiIB (Li Ion Battery)에서 FB (Flow Battery) 쪽으로도 신경을 쓰는 추세이다. 현재 국내 풍력발전기의 현황을 살펴본다면 거의가 다 대형발전기로써 정격풍속을 12 m/s 이상을 요구하는 상황이고 가동률은 고작 20% 내외가 된다[3]. 우리나라의 풍속자료를 통합해 본다면 연간 평균풍속은 거의 2~3 m/s 정도이고 4 m/s 이내이다.
저풍속에서도 발전이 가능한 풍력발전기의 연구자료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따라서 국내의 현황 극복과 함께 보다 친환경적인 그린에너지의 활용을 위하여, 저풍속에서도 발전이 가능한 풍력발전기를 시급히 개발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국내의 풍황에 맞는 소형풍력발전에 관하여 한국M대, K대학교, J대학교 등에서 각 지역별로 연구한 자료들이 있으나 해양지역에 관한 자료들만 있을 뿐 내륙지역에 대한 세부적인 풍속 자료들은 부족한 상황이다[5-7]. 본 연구에서는 내륙지역 중 충북 청주에 위치하고 있는 C대학교 5공학관 옥상에 풍속계를 설치하여 다변화하는 내륙지역의 풍황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였고, 풍력발전기와 풍향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우리나라의 풍속의 특징은 무엇인가? 현재 국내 풍력발전기의 현황을 살펴본다면 거의가 다 대형발전기로써 정격풍속을 12 m/s 이상을 요구하는 상황이고 가동률은 고작 20% 내외가 된다[3]. 우리나라의 풍속자료를 통합해 본다면 연간 평균풍속은 거의 2~3 m/s 정도이고 4 m/s 이내이다. 뿐만 아니라 국내의 바람 형태는 C급으로써 풍속도 낮을 뿐 아니라 풍향 역시도 일정하지 않다[4]. 그러나 평균풍속이 낮을 뿐 언제나 바람이 불지 않는 것은 아니다. 그린피스에서 강력 추천한 만큼, 모든 신재생에너지 중에서도 제일 급성장한 에너지원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 눈이 오나 비가 오나 날이 춥거나 덥거나 밤이나 낮이나 상관없이 바람만 분다면 발전이 가능한 만큼, 에너지 저장시스템을 가동하여 에너지를 보유할 수 있다면 가장 바람직한 일이 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Greenpeace, Global Wind Energy Outlook 2014, The Global Wind Energy Council, Rue d'Arlon 80,1040 Brussels, Belgium (2014). 

  2. O. H. Kwon, A Study on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of Small Wind Power Genration using Wound Rotor Type, M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2012). 

  3.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The Wind Energy Market Technical Report, Daejeon, Korea (2009). 

  4. J. Y. Kim and J. D. Jung, Understanding for Green Energy, Whasoomok Pub., Seoul, Shinchon-ro, Korea (2014). 

  5. J. W. Yang, On-site Test of Small Power Generator for Roof-top of Building, MS. Thesis, Korea Maritime Univ., Busan, Korea (2008). 

  6. J. S. Jo, Estimation of Annual Energy Production for the Small Wind Turbine Generator System, MS. Thesis, Kangwon Univ., Chunchon, Korea (2006). 

  7. Y. H. Kim, Power Factor Control of Wound Rotor Induction Generator for Wind Power Generation, Cheju, MS. Thesis, Jeju National Univ., Jeju, Korea (2000). 

  8. J. W. Kim and E. H. Kim, Analysis of variable wind power generating control system using doubly fed induction machine, J. Power Electron., 13(2), 148-152 (2002). 

  9. Y. H. Kim and E. H. Kim, Power factor control of wound rotor induction generator for wind power generation, J. Ind. Sci., 11(2), 117-123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