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석류 유출에 기인하는 몇 가지 산림환경인자 분석 - 부산 및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some of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on Debris Flow Occurrence - With a Pusan and Ulsan Metropolitan Areas -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4 no.2, 2015년, pp.213 - 220  

이해동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박재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부산 및 울산광역시의 토석류 유출 위험지역 총 15개소에서 토석류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산림 환경인자에 대한 인자별 발생분포비율을 분석하였다. 토심은 중(30~99 cm), 방위는 동사면과 북동사면 및 북서사면, 표고는 100~200 m, 산지평균경사는 $20^{\circ}$ 미만, 모암화성암, 과거 토석류 유출이 있었던 지역, 최대시우량은 50~100 mm, 1일 최대강우량은 300 m 이상, 수계밀도$3{\sim}4km/km^2$, 산사태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사 $20^{\circ}$ 이상의 분포비율은 20~40%와 40~60%, 산사태 위험도 2등급 이상 비율은 40~60%, 유목이 있는 상태, 사방공작물 시설이 없는 지역, 4영급, 임분이 밀한 지역, 혼효림 등의 인자가 토석류 발생에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factors as effected by debris flow in Ulsan and Pusan metropolitan areas because mainly debris flow caused by typhoons and local heavy rainfall events is mainly attributed to damage of human being ad property. The high risk degree of debr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대표적인 도시지역이라 할 수 있는 울산 및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토석류 유출 위험지 15개소를 대상으로 토석류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별 발생분포율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장래 도시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토석류피해저감대책 및 사후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입지환경인자에는 무엇이 있는가? 입지환경인자는 6개 인자로 토심, 방위, 표고, 산지평균 경사, 모암, 과거 토석류 발생 유무 등이 있으며, 이러한 인자는 유역의 평균적인 의미로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Figure 1).
연대별 우리나라의 산사태 발생면적은? 우리나라의 산사태 발생면적은 1980년대 연평균 155 ha에서 1990년대 291 ha로 188% 이상 증가하였고, 최근 10년간 연평균 456 ha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구비용 또한 최근 10년간 813억 원으로 급증하고 있다 (Korea Forest Service, 2014). 특히,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해 2005년 496 ha, 2006년 1,597 ha, 2011년 824 ha로 산지토사재해가 대규모로 발생하는 추세이다(Statistics Korea, 2014).
국내 태풍 및 집중호우로 발생한 산사태 사례는? 특히,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해 2005년 496 ha, 2006년 1,597 ha, 2011년 824 ha로 산지토사재해가 대규모로 발생하는 추세이다(Statistics Korea, 2014). 더욱이 2011년 서울 우면산, 춘천 신북읍 과 2013년에 발생한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해 도시 생활권 산사태의 경우 토석류로 인한 유출이 확대되어 대규모의 인명피해까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Korea Forest Service,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i, J.W., Lee, S.L., Min, K.D., and Woo, I. 2004.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and Verification Using the GIS and Bayesian Probability Model in Boun.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7(2): 207-223. 

  2. Choi, Y.J. 2010. A Study on Downstream Process of Debris Flow Mobilized from Landslides.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ang won National University dissertation. pp. 932. 

  3. Jang, C.B. 2014. A Study on Behavior Characteristic sand Scal eof Debris Flow in Korea.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ang Won National University Dissertation. pp. 101. 

  4. Jang, E.S., Yun, H.S., Lee, M.R., Cho, J.M., and Kim, Y.H. 2009. Risk Analysis of Debris Flow on GIS Technology. 2009 KSCE Conference, 1743-1747. 

  5. Jeong, S.W. 2014. Rh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ebris Flow Simulation of Waste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4(4): 1227-1240. 

  6. Jung, G.W., Pack, S.J., and Lee, C.W. 2008. Development of the Score Table for Prediction of Landslide Hazard -A Case Study of Gyeongsangbuk-do Province-.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7(3): 332-339. 

  7. Kim, K.S., Kim, Y.W., Chae, B.G., Cho, Y.C., Lee, C.O., and Song, Y.S. 2006. Geometry of Debris Flow Occurrence on Natural Slopes. KSEG Conference 2006: 51-59. 

  8. Kim, P.K. 2012. Numerical Modeling for the Detection and Movement of Debris Flow Using Detailed Soil Maps and GIS.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p. 204. 

  9. Kim, W.Y., Kim, K.S., Lee, S.R., and Chae, B.G. 1998. Landslide Types and Susceptibilities Related to Geomorphic Characteristics-Yeonchon-Chulwon A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8(2): 115-130. 

  10. Ko, S.M., Lee, S.W., Yune, C.Y., and Kim, G.H. 2013. GISbased Analysis of Debris-flow Characteristics in Gangwond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1(1): 57-67. 

  11. Kwon, J.H. 2013. Model experimental study with consideration for grain composition of debris flows in Korea. Dept of Urban & Environmental System Eng. The Graduate School Seokyeong University dissertation. pp. 63. 

  12. Lee, S.G., Shin, H.W., Lee, K.S., and Jung, S.H. 2008. The study on the predict and characteristics of debris landslides. KGS Spring National Confenence 2008: 427-434. 

  13. Lee, M.J. and Kim, Y.T. 2013. Movement and Deposition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According to Rheological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29(5): 19-27. 

  14. Lee, M.S., Kim, K.S., Song, Y.S., and Ryu, J.C. 2009. Analyzed Change of Soil Characteristics by Rainfall and Vegetation.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19(1): 33-41. 

  15. Ma, H.S. and Jeong, W.O. 2010. Characteristics Analysis of Debris Flow Disaster in Korean National Park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3(4): 52-64. 

  16. Ma, H.S., Kang, W.S., and Lee, S.J. 2014. Effects of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ediment Disaster Occurrence. Journal of agricultural & life sciences 48(4): 73-80. 

  17. Pack, D.G. 2013. Hazard evaluation and measures establish of Debris flow. Major of Civi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Indu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issertation. pp. 95. 

  18. Park, J.M., Ma, H.S., Kang, W.S., Oh, K.W., Pack, S.H., and Lee, S.J. 2010. Analysis of Landslide Characteristics in Jeonlabuk-do,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 Life Sciences 44(4): 9-20. 

  19. Park, S.J., Lee, H.H., Joo, S.H., Heo, T.C., Lee, C.W., Jung, G.W., Kim, B.K., and Kim, H.C. 2006.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slide in Gyeongsangbuk-Do(1).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on the Annual Conference. 2006: 397-399. 

  20. Tanaka Yukiya, Yukinori Matsukura, and Kim, T.H. 2003.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granite and gneiss basin rainfall flux characteristic,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Fall Conference 2003: 1-157. 

  21. Korea Forest Service. 2013. Nation Landslide Prevention measure. http://www.forest.go.kr (2015. 01. 14). 

  22. The National Weather Service. 2013.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http://www.kma.go.kr (2015. 01 .1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