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주여성의 산전관리 프로그램을 위한 교육요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ducation needs related to prenatal care programs in married immigrant wome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6 no.7, 2015년, pp.4632 - 4640  

박희옥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박미라 (호산대학교 간호학과) ,  전영미 (대구과학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증가하고 있는 중국, 베트남을 비롯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의 산전관리 교육요구도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이들을 위한 산전관리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수집은 D시 1개의 다문화센터를 이용하는 71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2014년 3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수행되었다. 산전관리 교육요구도는 불임, 남녀생식구조, 산전교육, 예방접종, 건강문제 관리방법 등의 내용을 포함한 1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혼이주여성은 신생아 안전관리 및 응급대처법, 예방접종, 건강문제관리, 신생아 정상발달과정, 신생아 관리법 등 주로 신생아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이들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에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국적에 따른 산전관리 교육요구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세부항목 중 불임에 대한 교육요구도에서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이 중국과 기타 국적 출신의 결혼이주여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5.53, p<.05). 따라서, 향후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산전관리 프로그램을 개발 할 시 신생아 성장발달 과정과 이들 간호방법이 가장 우선시 되어 프로그램 내용을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 needs related to prenatal care program in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o suggest the meaningful data in developing prenatal care program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a multi-cultural center, D-city from 2014 Mar to 2015 April and a t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의 임신 및 출산 경험과 그 실태를 파악한 연구는 있으나[6, 11, 15, 16] 국내 결혼이주여성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중국, 베트남 여성을 구분하여 이들의 산전관리 교육요구를 파악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전관리대상에서 상대적으로 소외계층에 해당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국내 결혼이주여성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중국, 베트남, 기타여성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산전관리 교육요구도를 비교함으로써 결혼이주여성 개개인이 선호하는 산전관리의 특성을 파악하고 산전관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산전관리 교육 요구도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산전관리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결혼이주여성의 산전관리 교육요구도 정도는 신생아 안전관리 및 응급 시 대처법, 예방접종, 건강문제관리, 신생아 성장과 발육 정상과정, 신생아 관리법 순으로 대부분 신생아를 이해하고 이들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이 선호하는 산전관리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최근 8년 동안 6배 가량 늘어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증가[1]와 이들의 출산경험에 따라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 산전관리 교육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이들의 산전관리 교육 요구도 정도를 탐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이 선호하는 산전관리 교육요구도를 이해하고 이들을 위한 산전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결혼이주여성의 경우, 어떠한 것에 산전관리 교육요구도가 높은가? 산전관리 교육요구도는 불임, 남녀생식구조, 산전교육, 예방접종, 건강문제 관리방법 등의 내용을 포함한 1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혼이주여성은 신생아 안전관리 및 응급대처법, 예방접종, 건강문제관리, 신생아 정상발달과정, 신생아 관리법 등 주로 신생아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이들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에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국적에 따른 산전관리 교육요구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세부항목 중 불임에 대한 교육요구도에서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이 중국과 기타 국적 출신의 결혼이주여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5.
결혼이주여성의 인구는 최근 8년 동안 어떻게 변화하였나? 한국가족의 구성원과 문화가 최근 결혼이주여성인구의 증가로 인해 크게 변화하고 있다. 2000년 이전 까지 결혼이주여성의 인구는 대부분 동남아 근로자와 이들의 가족으로 구성되었으나, 최근 8년 동안 결혼이주여성의 인구는 30,719명에서 211,445명으로 6배 증가하여 그 수가 급증하고 있다[1]. 한국에 거주하는 대부분의 결혼이주여성은 한족 출신이 가장 많고, 그 외 일본, 러시아, 필리핀, 태국, 베트남 등의 출신으로 다양하나, 최근 베트남, 필리핀, 태국 출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2].
농촌 결혼이주여성의 경우에 임신, 출산, 산전관리에 대한 지식이 도시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증가하고 있는 베트남, 필리핀, 태국의 결혼이주여성은 결혼이주를 통하여 주로 농촌에 거주하고 있는데, 이들 농촌 결혼이주여성은 임신, 출산, 산전관리에 대한 지식이 도시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현실이다[7]. 이는 농촌 결혼이주여성이 임신, 출산, 산전관리에 대한 비용부담이 높고, 의사소통도 원활하지 않으며[8], 교통접근성의 감소로 인해 병원이용이 감소하기 때문이다[9]. 결혼이주여성은 출산이후에도 문화적 차이를 경험하는 데 특히, 불필요한 미역국 섭취, 본국과 다른 출산, 양육문화[10], 산전관리의 부재로 인해 극심한 산후 우울감과 한국문화 부적응을 경험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Family MoGE. 2012 Nationwide Multicultural Family survey. 2013. 

  2. Choi W. A Study on the Social-cultural Adaptation of Foreign Wives in Korea Journal of Asian Women. 2007;46(1):141-81. 

  3. Shin H, Kim S, Kwon S. The Effects of Education on Primiparas' Postpartal car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0;6(1):34-45. 

  4. Kim KW. Pregnancy and Childbirth Experiences of Immigrant Women in a Multi-Cultural Famil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0;14(2):133-44. 

  5. Kim HR. Maternal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Marriage-Based Women Immigrants in Korea and Policy Direc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09;155(-):50-64. 

  6. Kim SH. Pregnancy and Childbirth Experiences of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2;16(2):170-85. 

  7. Jang IS, Hwang NM, Yoon MS, Park S. Current Status Factors Affecting Prenatal Care by Married Immigra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0 

  8. Yang SM, Yon MH. A Study on the Enculturative Stressors, Stress Responses of Marriage Migrant Women in Rural Area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y. 2009;21(4):943-66. 

  9. Chung C-s. Pregnancy, Delivery and Cultural Integra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Ginhae: Inje Uiversity; 2011. 

  10. Bang KS, Huh BY. Foreign Immigrant Mothers' Experiences of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 Rearing.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11;14(1):36-44. 

  11. Lim HS. The Experience of Transition in Pregnancy and Childbirth among the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s-. 2011;17(3):243-55.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1.17.3.243 

  12. Youn Y, Moon I. Associated Factors on Reproductive Health of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 Application of PRECEDE Model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0;27(4):61-72. 

  13. Moon Y, Han J, Park I. Transition in Life of Immigrant Women through Experience of Pregnancy and Deliver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2;10(11):477-84. 

  14. Jeong GH, Koh HJ, Kim KS, Kim SH, Kim JH, Park HS, et al. A Survey on Health Management of during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Postpartum of Immigrant Women in a Multi-cultural Famil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9;15(4):261-9. 

  15. Moon Jeong Kim. A Comparative Study on Birth Outcomes between Korean Women and Immigran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1;17(4):407-14.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1.17.4.407 

  16. Lin ML, Shieh C, Wang HH. Comparison between pregnant Southeast Asian immigrant and Taiwanese women in terms of pregnancy knowledge, attitude toward pregnancy, medical service experiences and prenatal care behaviors. The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08;16(2):97-108. DOI: http://dx.doi.org/10.1097/01.JNR.0000387295.84053.27 

  17.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 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2):175-91. DOI: http://dx.doi.org/10.3758/BF03193146 

  18.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Elsevier Science; 2013. 

  19. Degni F, Suominen S, Essn B, El Ansari W, Vehvil?inen-Julkunen K. Communication and Cultural Issues in Providing Reproductive Health Care to Immigrant Women: Health Care Providers' Experiences in Meeting Somali Women Living in Finland. Journal of Immigrant Minority Health. 2012;14(2):330-43. DOI: http://dx.doi.org/10.1007/s10903-011-9465-6 

  20. Wikberg A, Eriksson K, Bondas T. Intercultural caring from the perspectives of immigrant new mothers.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JOGNN). 2012;41(5):638-49. DOI: http://dx.doi.org/10.1111/j.1552-6909.2012.01395.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