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벽방산 산림식생의 군락분류와 군락생태
Syntaxonomical and Synecological Research of Forest Vegetation on Mt. Byeokbang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5 no.6 = no.182, 2015년, pp.646 - 655  

최병기 (동의대학교 자연생활과학대학 분자생물학과) ,  허만규 (동의대학교 자연생활과학대학 분자생물학과) ,  김성열 (국립중앙과학관 연구진흥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벽방산의 산림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벽방산은 3개 상관형의 9개 단위식생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지역 단위식생은 상록침엽수림의 해송-사스레피나무군락, 소나무-자금우군락, 하록활엽수림의 졸참나무-홀아비꽃대군락, 신갈나무-우산나물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굴참나무-쇠물푸레나무군락, 비목-물참대군락, 인공조림식생의 사방오리나무식재림 등으로 구분되었다. 벽방산은 지역 최고봉임에도 불구하고 산지 전역이 숲 가꾸기사업, 등산객, 조림 및 육림 등에 의해 직/간접적으로 인위적 간섭을 받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지역 내 식생형 가운데 상대적으로 자연성이 높은 단위식생은 산지대 사면 중부에서 출현하는 졸참나무-홀아비꽃대군락, 전석지에서 확인된 비목-물참대군락 등이며, 산지능선부의 암석노출지를 중심으로 위극상의 천이계열에 해당하는 특산식물군락인 소사나무군락이 분포하고 있었다. CCA분석 결과, 각 단위식생의 발달은 해발고도, 인간간섭, 낙엽부식층, 암석노출율, 경사도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위식생의 종조성에 대한 집괴분석 결과로부터 벽방산 산림식생은 인위식생, 이차식생, 근자연식생으로 구분되며, 식생의 발달정도, 토지적 특성, 인위적 식재 및 관리 유무 등에 의해 삼림이 구성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phytosociological survey carried out using the Z.-M. School’s methodology and system of numerical-classification analyses, this study sought to classify the syntaxa of forest vegetation on Mt. Byeokbang and to collect basic data on the transitional zones of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러한 벽방산 삼림 식생에 대한 현존연구를 통하여 지역식생의 다양성을 기재하고 그 특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나아가 남해안 지역에 위치한 산지대의 삼림식생에 대한 군락다양성과 식물사회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식생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들을 밝혀 지역밀착형 관리전략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본 연구는 경남 고성군과 통영시 경계에 위치한 벽방산 일대의 삼림식물군락에 대한 최초의 식물사회학적 연구이다. 벽방산은 지역 최고봉으로서, 지리적으로 다도해 해상에서 한반도 내륙으로 연결되는 첫 번째 산지대이며, 지역 식물 지리분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는 지역으로 판단되고 있다.
  • 그러나 최근 다도해 해상의 조망과 정상부 진달래꽃 경관을 즐기기 위한 많은 관광객들의 방문으로 인해 다양한 잠재적 교란 가능성에 노출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벽방산 삼림 식생에 대한 현존연구를 통하여 지역식생의 다양성을 기재하고 그 특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나아가 남해안 지역에 위치한 산지대의 삼림식생에 대한 군락다양성과 식물사회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식생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들을 밝혀 지역밀착형 관리전략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Becking, R. W. 1957. The Zürich-Montpellier School of Phytosociology. Bot. Rev. 23, 411-488. 

  2. Braun-Blanquet, J. 1965. Plnat Sociology. The Study of Plant Communities (Transl. by G.D. Fuller and H.S. Conard). New York, xii+439 pp. 

  3. Cho, G. J. 2004. Phyt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inus densiflora forest and Pinus thunbergii forest. Ph. M.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4. Choi, B. K. 2012.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Korea. Ph. D.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5. Choi, B. K., Kim, J. W., Kim, S. Y. and Yim, J. C. 2012. Vegetation of Jangdo Island. Kor. J. Env. Eco. 26, 512-527. 

  6. Eom, B. C. 2010. Plant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al peculiarity of wild tea (Thea sinensis L.) population in Korean peninsula. Ph. M.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7. Fujiwara, K. 1978.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of Japan. Ph. D. Thesis, Yokohama National University, Yokohama City, Japan. 

  8. Han, S. U. 2005. A syntaxonomical study of the oak forest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Ph. M.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9. Harbone, J. B. 1993. Introduction to Ecological Biochemistry, pp. 318, 4th ed., Academic Press. 

  10. Jegal, J. C. and Kim, J. W. 2003. A phytosociological comparison of forest vegetation between igneous and sedimentary rock areas in Kyungpook province, South Korea. Kor. J. Ecol. 26, 23-28. 

  11. KBIS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2014. Information of species and distribution on website. http://www.nature.go.kr/ 

  12. KIG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13. Geological information system on website. http://www.kigam.re.kr/ 

  13. Kim, I. T., Lee, J. H. and Jin, Y. G. 2000. The vegetation of Hansan and Chubong Islets. Kor. J. Ecol. 23, 391-398. 

  14. Kim, I. T., Lee, S. M. and Byun, D. W. 1992. Phytosociological studies on the vegetation in Kadok Islet. Kor. J. Ecol. 15, 81-102. 

  15. Kim, J. H., Choi, S. H., Choi, I. T., Yang, S. J. and Lee, S. C. 2011. Vegetation structure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at the Beomeosa (temple) valley in Kumjungsan, Busan. Kor. J. Env. Eco. 25, 581-589. 

  16. Kim, J. W. 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Ph. D. Thesis, Vienna University, Vienna, Austria. 

  17. Kim, J. W. 2006. Vegetation Ecology. Worldscience press. Seoul. 

  18. Kim, J. W. and Choi, B. K. 2012. Discovering the essence of the Korean vegetation for field excursion. -the spirit of place, Korea-. Worldscience Press. Seoul. 

  19. Kim, J. W., Choi, B. K., Ryu, T. B., and Lee, G. Y. 2012. Application and assessment of national vegetation naturalness. Korea institute for ecosystem management, Keimyung University, Daegu. Unpublished daraft report to the NIER, Incheon. 

  20. Kim, J. W. and Lee, E. J. 1997. Multicriterion matrix techinique of vegetation assessment ?A new evaluation technique on the vegetation naturalness and its application-. Kor. J. Ecol. 20, 303-313. 

  21. Kim, J. W. and Lee, Y. K. 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science Press. Seoul. 

  22. Kim, J. W. and Manyko, Y. I.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 J. Ecol. 17, 391-413. 

  23. Kim, J. Y. 2012. Actual vegetation and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of forest ecosystem in Taejongdae, Busan city, Korea. Kor. J. Env. Eco. 26, 426-436. 

  24. Kim, K. H. 1977. Inhibiting Effects of extracts of Alnus firma leaves upon germination of grass seeds used for soil conservation. Theses Collec. Agricul. 8, 75-80. 

  25. Kim, M. K., Lee, H. Y. and Kim, J. W. 1993. Ecological studies of eastern valley vegetation in Mt. Kumjung (Pusan). J. Environ. Sci. Int. 2, 1-8. 

  26. Kim, S. H. and Choi, S. H. 2007. The structur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forest in Busan metropolitan city. Kor. J. Env. Eco. 21, 67-73. 

  27.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4. Weather Information Service on website. http://web.kma.go.kr/ 

  28. Kolbek, J., Šrůtek, M. and Box, E. O. 2004. Forest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Boston and London. 

  29. Kong, W. S. 2004. Vegetation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ACANET. Seoul. 

  30. Lee, E. B. 1997. Actual vegetation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Pukhansan National Park, Mid-western Korea. Kor. J. Ecol. 20, 439-450. 

  31. Lee, K. J., Kim, B. H. and Kim, D. W. 1999. Vegetation structure and ecological succession of Kŏjedo district, Hallyŏ- Haesang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2, 331-344. 

  32. Lee, T. B. 2003. Colored Flora of Korea. Vol. I, II. Hyangmunsa. Seoul. 

  33. Lee, W. T. 1996a. Lineamenta Flora Koreae. Academy Press. Seoul. 

  34. Lee, W. T. 1996b.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35. Lee, W. C. and Yim, Y. J. 2002. Plant Geograph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36. Lim, J. C. 2008. Plant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pattern of Maheul-Soop (traditional village forest). Ph. M.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37. Lim, J. C. 2012.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Maeul-Soop in Korea. Ph. D.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38. Miyawaki, A., Okuda, S. and Fujiwara, K. 1994. Handbook of Japanese Vegetation. Shibundo. Tokyo. 

  39. Oh, K. K., Choo, G. C. and Jee, Y. K. 1999. Actual veget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Tongyŏung district and Hallyŏ-Haesang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2, 317-330. 

  40. Rice, E. L. 1984. pp 422. Allelopathy. Academic Press. 

  41. Weber, H. E., Moravec, J. and Theurillat, J. P. 2000. International code of phytosociological nomenclature. 3rd ed. J. Veg. Sci. 11, 739-768. 

  42. Westhoff, V. and Maarel, E. V. 1973. The Braun-Blanquet Approach, pp 167-726. R.H. Whittaker (Eds.)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Communities. Haque: Dr. Junk, W. by Publisher. 

  43. Yang, H. S. 2002. Phytosociological studies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Islets of Southwestern coast, Korea. Kor. J. Ecol. 25, 197-2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