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합류부 하상고 불일치에 의한 분리구역 특성분석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Separation Zone Due to a Bed Discordance at Confluenc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8 no.8, 2015년, pp.625 - 634  

최흥식 (상지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모선재 ((주)창설, 수자원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합류부에서의 지류의 합류각, 지류와 본류의 유량비에 추가하여, 본류 준설에 의한 하상고 불일치에 따른 다양한 양상의 분리구역의 특성을 CCHE2D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리구역은 지류가 합류되어진 직후 단면에서의 유속이 0(영)인 경계로 정의하였다. 합류각 $30^{\circ}$ 이하에서는 분리구역이 형성되지 않았다. 유량비와 합류각 증가에 따른 분리구역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준설 깊이비 증가에 따른 분리구역의 크기는 합류부 수용체의 증가에 기인한 지류에서의 상대적인 운동량의 감소로 인하여 감소되었다. 유량비와 합류각의 변화에 따른 분리구역의 수축지수를 규명하였고, 통수기능의 저하에 따른 배수영향을 확인하였다. 합류각, 유량비, 준설 깊이비에 따른 분리구역의 형상지수의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verse patterns of separation zone according to the marked bed discordance by dredging at confluence in addition to the confluence angle of tributary and discharge ratio between tributary and main channels have been analyzed by CCHE2D model simulation. The separation zone is defined by insid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류가 본류로 유입에 따른 유량비, 합류각에 추가하여 본류의 준설에 따른 지류와 본류와의 단차에 기인한 하상고의 불일치를 나타내는 준설 깊이비 변화에 따른 합류부 분리구역 형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홍수방어, 저류효과를 증대하고자 준설을 시도한 본류하천으로 유입하는 지류와의 합류부 구간에서의 수리특성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자 함이다.
  • 2). 따라서 사용하는 CCHE2D모형의 사용성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복잡한 수리특성을 가진 합류부에서의 다양한 유량비, 합류각에 추가하여 합류부의 준설에 의한 하상고의 불일치에 따른 합류부의 수리특성을 규명하였다. 수치모형은 CCHE2D를 사용하였으며, 흐름모의를 통해 분석한 분리구역은 지류가 합류 되어진 직후 단면에서의 유속이 0(영)의 값을 나타나는 정체구간으로 설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류가 본류로 유입에 따른 유량비, 합류각에 추가하여 본류의 준설에 따른 지류와 본류와의 단차에 기인한 하상고의 불일치를 나타내는 준설 깊이비 변화에 따른 합류부 분리구역 형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홍수방어, 저류효과를 증대하고자 준설을 시도한 본류하천으로 유입하는 지류와의 합류부 구간에서의 수리특성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리구역은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합류부에서의 지류의 합류각, 지류와 본류의 유량비에 추가하여, 본류 준설에 의한 하상고 불일치에 따른 다양한 양상의 분리구역의 특성을 CCHE2D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리구역은 지류가 합류되어진 직후 단면에서의 유속이 0(영)인 경계로 정의하였다. 합류각 $30^{\circ}$ 이하에서는 분리구역이 형성되지 않았다.
분리구역은 어디서 형성되는가? 지류가 유입하는 본류의 합류부 하류에서는 분리구역(separation zone)이 형성되며, 상류로부터 내려온 유사퇴적에 따른 하상변화의 발생으로 다양한 수리특성을 나타낸다. 아울러, 합류부에서 수리특성의 변화는 홍수가 발생할 경우 배수위에 의한 홍수범람과 배수능력의 저하로 주변지역에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준설 깊이비에 따른 분리구역의 길이비 및 폭비는 준설깊이비가 커질수록 작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못하였는데 그 원인은? 준설 깊이비에 따른 분리구역의 길이비 및 폭비는 준설깊이비가 커질수록 작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는 합류부에서 수용체가 커짐에 따른 지류 유입량의 운동량의 상대적 감소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합류각 30°에서의 분리구역은 모든준설 깊이비와 유량비에서 형성되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est, J.L. and Reid, I. (1984). "Separation Zone at Open-Channel Junction."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10, No. 11, pp. 1588-1594. 

  2. Cho, M.S. (2005).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at Confluence by Lateral Inflow. M. Sc. dissertation of Sangji University (in Korean). 

  3. Choi, G.W., Park, Y.S., Han, M.S., and Kim, Y.K. (2004). "The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at Channel Junction through Hydraulic Model Test."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7, No. 10, pp. 881-888 (in Korean). 

  4. Coelho, M. (2015). "Experimental determination of free surface levels at open channel junctions."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Technical note, 2015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Hydro-Environment Engineering and Research, pp. 1-6. 

  5. Gurram, S., Karki, K., and Hager, W.(1997). "Subcritical Junction Flow."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23, No. 5, pp. 447-455. 

  6. Ji, U., and Jang, E.K. (2014). "Numerical Analysis of Flow and Bed Changes due to Tributary Inflow Variation at the Confluence of the Namhan River and the Geumdang Stream."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7, No. 11, pp. 1027-1037 (in Korean). 

  7. Jia, Y., and Wang, S.S.Y. (2001). CCHE2D: Two-dimensional Hydrodynamic and Sediment Transport Model for Unsteady Open Channel Flows over Loosed Bed. NCCHE-TR-2001-1, School of Engineering, The University of Mississippi, USA. 

  8. Kim, H.K., Han, J.Y., Kim, C.M., and An, W.S. (2011). "Hydrological Properties Depending on River Bed Elevation Gap at Confluence." 2011 Proceeding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in Korean). 

  9. Kim, K.M. (2014). Numerical analysis of alluvial channel characteristics at confluent channel. M. Sc. thesis of Yeungnam University (in Korean). 

  10. Liu, T., Chen, L., and Fan, B. (2012). "Experimental study on flow pattern and sediment transportation at a $90^{\circ}$ open-channel conflu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ediment Research, Vol. 27, No. 2, pp. 178-187. 

  11. Modi, P.N., Ariel, P.D., and Dandekar, M.M. (1981). "Conformal Mapping for Channel Junction Flow."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07, No. 12, pp. 1713-1733. 

  12. Park, S.S., Lee, J.W., and Cho, Y.S. (2009). "Analysis of Characteristics for a Dividing Flow in Open Channe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OSHAM, Vol. 9, No. 2, pp. 53-57 (in Korean). 

  13. Park, Y.S. (2003). The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depending upon the Variation of Discharge and Approaching Angle at Channel Junctions. Ph. D. dissertation of Incheon University (in Korean). 

  14. Ramamurthy, A. and Zhu, W. (1997). "Combining Flows in 90 Junctions of Rectangular Closed Conduit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23, No. 11, pp. 1012-1019. 

  15. Ribeiro, M.L., Blanckaert, K., Roy, A.G., and Schleiss, A.J. (2012). "Flow and sediment dynamics in channel confluences." Journal of the Geophysical Research, Vol. 117, FO1035. 

  16. Taylor, E.H. (1944). "Flow Characteristics at Rectangular Open-Channel Junction."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ASCE, Vol. 10, No. 6, pp. 893-902. 

  17. Wu, W. (2001). CCHE2D sediment transport model (version 2.1), NCHHE-TR-2001-3, School of Engineering, The University of Mississippi, USA. 

  18. Zhang, Y., Wang, P., Wu, B., and Hou, S. (2015). "An experimental study of fluvial processes at asymmetrical river confluences with hyperconcentrated tributary flows." Geomorphology, Vol. 230, pp. 26-3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