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확 연도에 따른 쑥 정유의 주요 화합물 함량 변화
The Variation of the Major Compounds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Pampan) Hara Essential Oil by Harvest Yea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8 no.4, 2015년, pp.533 - 543  

최향숙 (경인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Pampan) Hara (ssuk in Korea) essential oil and the quantitative changes of major terpene compounds according to the time of harvest. The essential oils obtained by hydrodistillation extraction from the aerial p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구의 기후 변화로 인하여 각 나라의 고유한 식물자원은 수년이 지나면 자생하는 분포지역이나 그 식물의 고유한 화학조성 및 생리활성을 부여하는 테르페노이드의 함량 및 조성에 변화를 맞게 될 것이기에 국가 차원의 생물자원 확보 및 지속적인 활용을 위해 화학적 성분 변화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유 산채류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국내에서 식용 및 약용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는 쑥을 대상으로 정유성분을 분석하고, 최근 4년간 주요 정유성분들의 정량적 변화 추이를 비교하였다.

가설 설정

  • H: Height of observation field above mean sea level
  • Hb: Height of barometer above mean sea level
  • Ht: Height of thermometer above the groun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 식물자원으로서 쑥은 역사적으로 동서양에서 각각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쑥 속(Artemisia) 은 국화과에서 종 다양성이 풍부한 속에 해당되어, 남반구와 북반구 전지역에서 관찰되는 분류군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약 29분류군이 기재되어 있다(Lee TB 2006). 동서양을 막론하고 쑥은 인류에게 약용이나 식용으로 이용된 역사가 아주 오래며, 한국, 중국 등에서는 식용 외에 중요한 약용자원으로, 서양에서는 독특한 향을 이용하기 위해 허브자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쑥은 여러해살이로 어린잎은 식용하고, 줄기와 잎자루는 약용한다.
쑥은 우리나라에서 어떻게 사용되어온 자원인가? 특히 쑥(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Pampan) Hara)은 우리 민족이 오래 전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해온 전통 식물자원이다. 쑥 속(Artemisia) 은 국화과에서 종 다양성이 풍부한 속에 해당되어, 남반구와 북반구 전지역에서 관찰되는 분류군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약 29분류군이 기재되어 있다(Lee TB 2006).
국화과에는 어떤 식물들이 포함되는가? 국화과(Compositae)에는 씀바귀, 참취, 곰취, 엉경퀴 등, 우리 식생활과 친숙한 식물이 포함된다. 특히 쑥(Artemisia princeps var.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l-Massarani SM. 2014. Phyt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sesquiterpene constituents from the marine res seaweed Laurencia: A review. Nat Prod Chem Res 2:147 

  2. Amiel E, Ofir R, Dudai N, Soloway E, Rabinsky T, Rachmilevitch S. 2012. ${\beta}$ -Caryophyllene, a compound isolated from the biblical balm of gilead (Commiphora gileadensis), is a selective apoptosis inducer for tumor cell lines. Evidence-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2:1-8 

  3. Arctander S. 1969. Perfume and Flavor Chemicals. Published by Author. NJ, USA 

  4. Cho YH, Chiang MH. 2001. Essential oil compositiona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Artemisia capillaris, Artemisia argyi, and Artemisia princeps. Korean J Intl Agri 13:313-320 

  5. Choi BB, Lee HJ, Bang SK. 2005. Studies on the volatile flavor components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rtemisia princeps and A. argyi. Korean J Food & Nutr 18:334-340 

  6. Choi HS. 2005. Characteristic odor component of kumquat (Fortunella japonica Swingle) peel oil. J Agric Food Chem 53:1642-1647 

  7. Choi HS. 2014. The quantitative changes of major compounds from Aster koraiensis Nakai essential oil by harvesting time. Korean J Food & Nutr 27:194-292 

  8. Chung HS, Lee BG, Sim ST, Lee JG. 1989. Effect of essential oil from Artemisia on microorganism growth. Kor J Dietary Cul 4:417-424 

  9. Gomez Ne, Witte L. 2001. A simple method to extract essential oils from tissue samples by using microwave radiation. J Chem Ecol 27:2351-2359 

  10. Gould MN. 1997. Cancer chemoprevention and therapy by monoterpenes. Environ Health Perspect 105:977-979 

  11. Heath HB. 1986. Flavor Chemistry and Technology. pp. 2-157. Macmillan Publishers Ltd. London, England 

  12. Hwang BG. 1982. Principle of Disease and Natural Medicinal-Food. p.38. Dong-A. Seoul, Korea 

  13. Jang HW, Lee HJ, Lee KG. 2005.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olatile extracts from plants commonly used in Korean foods. Korea J Food Sci Technol 37:723-729 

  14. Kim MJ, Park MH, Jeong MK, Yeo JD, Cho WI, Chang PS, Chung JH, Lee JH. 2010.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in vitro antiobesity ability in 3T3-L1 preadipocyte cell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 extract. Food Sci Biotechnol 19:535-540 

  15. Kwon MC, Kim CH, Kim HS, Lee Sh, Chio GP, Park UY, You SG, Lee HY. 2007. Optimal extract condition for the enhancement of anticancer activities of Artemisia princeps Pampan.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223-240 

  16. Lee GD, Kim JS, Bae JO, Yoon HS. 1992.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water extract and ether extract in wormwood (Artemisia montana Pampan). Korean J Food Nutrition 21:17-22 

  17. Lee SD, Park HH, Kim DW, Bang BH. 2000. Bioactive constituents and utilities of Artemisia sp. as medicinal herb and foodstuff. Korean J Food Nutr 12:490-505 

  18. Lee TB. 2006. Coloured Flora of Korea. p. 374. Hyangmunsa. Seoul, Korea 

  19. Nam SM, Ham SS, Kim SJ, Oh DH, Kang IJ, Lee SY, Chung CK. 1998. Effects of Artemisia iwayomogi Kitamura ethanol extracts on lowering serum and liver lipids in rats. J Kor Soc Food Sci Nutr 27:338-343 

  20. Oh MH, Whang HJ. 2003. Chemical composition of several herb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1-6 

  21. Park MH, Kim MJ, Cho WI, Chang PS, Lee JH. 2009. Effects of treatments on the distribution of volatiles in Artemisia princeps Pampan. Korea J Food Sci Technol 41:587-591 

  22. Park MH, Kim MJ, Cho WI, Chang PS, Lee JH. 2011. Volatile changes in beverages and encapsulated powders containing an Artemisia extract during production and storage. Korea J Food Sci Technol 43:271-276 

  23. Yum KW, Jeong HJ, Kim JH, 2008. The influence of the growth season on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Ind Crop Prod 27:69-74 

  24. Zhang S, Won YK, Ong CN, Shen HM. 2005. Anti-cancer potential of sesquiterpene lactones: Bioactivity and molecular mechanisms. Curr Med Chem Anticancer Agents 5:239-24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