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온라인 사회관계 유형에 따른 사회적 소통 차이 연구 -연결형과 결속형 관계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Social Communication on Online Social Media -Comparison of Bridging and Bonding Social Capital-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8, 2015년, pp.448 - 459  

김미선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연구소) ,  김숙 (한국콘텐츠진흥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온라인 소셜 미디어를 중심으로 사회적 이슈의 소통 현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셜 미디어는 개인의 네트워크를 통해 사회적 의견이 소통되는 공간이라는 측면에서 본 연구는 이용자의 사회적 관계 유형을 '연결형'과 '결속형' 두 가지로 구분하고 사회관계 유형에 따른 소셜 미디어 이용량, 사회적 소통 인식, 사회적 소통 만족, 그리고 사회참여 의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온라인 이용이 가능한 전국 16개 도시 거주 20대 이상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한 결과, 소통의 양적인 측면에서 연결형과 결속형의 소셜 미디어 이용량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질적인 측면에서 대화 내용에 대한 '이해도'나 대화자에 대한 '신뢰도'는 결속형이 더 높게 나타났고, 소통의 핵심요소인 '합의도'는 모든 사회관계 유형에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는 소셜 미디어에서의 대화 양은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반면 해석의 공유가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사회참여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살펴본 결과 결속형은 소통에 대한 '이해'가 주요 요인이었지만, 연결형은 '신뢰'와 '합의'가 주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사회적 소통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소셜 미디어의 이용자 유형과 소통의 특성을 보다 심도깊게 이해하여 보다 긴밀한 정책적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iscusses on the social communication phenomenon on online social media by comparative analysis among bridging and bonding social capital. It examined the social media usage, social communication recognition, soci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intent social participation by exploring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참여의 기제로 주목받는 소셜 미디어를 중심으로 온라인에서의 사회적 관계 유형을 살펴보고, 이러한 사회관계 유형에 따라 사회적 소통, 즉 대화와 합의가 질적인 측면이 얼마나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포함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한 소셜 미디어의 사회적 소통과 사회참여 의도의 영향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소셜 미디어가 지니는 사회적 소통채널로써의 의미와 나아갈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 지금까지 다수의 연구들은 소셜 미디어의 사회적 소통이 얼마나 활성화 되어 사회적인 기여도를 나타내는지 논의해 왔지만, 소통의 질적 차원에서는 소통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살펴보지 못한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참여의 기제로 주목받는 소셜 미디어를 중심으로 온라인에서의 사회적 관계 유형을 살펴보고, 이러한 사회관계 유형에 따라 사회적 소통, 즉 대화와 합의가 질적인 측면이 얼마나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포함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한 소셜 미디어의 사회적 소통과 사회참여 의도의 영향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소셜 미디어가 지니는 사회적 소통채널로써의 의미와 나아갈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 사회에서 강력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다양한 소셜 미디어를 모두 포괄하여 소셜 미디어와 사회참여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때문에 소통 인식은 ‘이해’와 ‘합의’ 정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사회참여와 관련한 온라인 소통 현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온라인 미디어 이용이 가능한 이용자가 주요 분석 대상이다. 전국 16개 시도에 거주하는 20대 이상 남녀를 50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사회참여의 기제로 주목받는 온라인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사회관계 유형에 따른 사회적 소통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온라인의 연결형과 결속형 사회관계 유형에 따라 소셜 미디어 이용의 차이는 어떠한지, 소셜 미디어를 통한 사회적 소통 인식과 소통 만족의 차이는 어떠한지, 그리고 소셜 미디어를 통한 사회참여 의도의 영향관계는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으며 연구의 흐름도는 [그림 1]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터넷 미디어의 사회적 소통 방식은 서비스 제공방식에 따라 크게 웹1.0, 웹2.0, 웹3.0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들 각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0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웹1.0 단계는 웹 초기 모델로 인터넷 홈페이지나 토론방, 커뮤니티, 이메일 서비스 등을 이용해 이용자가 사회적 정보를 제공받고 의견을 게재하는 형태이다. 읽기가 지배적인 환경에서 인터넷 사업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자가 전달받아 소비하는 소통 방식을 따랐다. 웹2.0 단계는 블로그와 미니홈피, UCC 등 개인화된 웹서비스가 등장하여 정보의 개방성과 연결성이 확대된 시기이다. 읽고 쓰기의 균형적인 환경이 제공되면서 이를 통해 이용자들은 풍부한 정보를 얻고 사회적 의견을 교환하는 참여의 형태를 이끌어낸 시기이다. 이용자는 참여, 공유, 개방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1인 미디어를 직접 제작하고 사회적 정보를 공유하는 수평적 집단지성을 나타낸다는 측면에서 웹1.0과 차이가 있다. 웹3.0 단계는 스마트 미디어 도입과 함께 유비쿼터스 환경 속의 이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사회적 정보를 전달받고 의견을 게재하며 사회적 행동을 취하는 매우 적극적인 참여의 특징을 갖는다. 웹2.0이 데이터와 정보 중심의 상호작용이라면, 웹3.0은 개인적인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하는 개인 맞춤화 소통방식이 제공된다는 측면에서 웹2.0과 큰 차이를 나타낸다[12].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는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대표적으로 트위터, 미투데이 등과 같은 ‘마이크로블로그(microblog)’와 페이스북, 마이스페이스 등과 같은‘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가 있다.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는 개인적인 인맥을 통해 연결망을 구축하지만 개인과 친하지 않은 관계 또는 전혀 알지 못하는 관계들과도 연결되어 동일한 네크워크 구성원이 될 수 있는 특징을 지닌다[9]. 2004년 페이스북, 2006년 트위터 서비스가 개시된 이후 마이크로 블로깅 서비스는 이용자들이 웹에 직접 접속하지 않더라도 모바일을 통해 누구나 편리하게 실시간 정보를 전달하고 대화할 수 있는 접근성을 나타내면서 ‘트위터 혁명’이라 할 만한 가히 폭발적인 성장세를 나타냈다.
소셜 미디어란 무엇인가? 0 단계를 대표하는 미디어는 단연 ‘소셜 미디어 서비스(SNS)’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소셜 미디어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의 주장이나 의견을 쉽게 전파하도록 고안된 미디어로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을 통해 네트워크 구성원들 간 실시간 정보를 공유(real-time data sharing)하는 인터넷 기반 서비스이다. 대표적으로 트위터, 미투데이 등과 같은 ‘마이크로블로그(microblog)’와 페이스북, 마이스페이스 등과 같은‘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송종길, 박상호, "정치관여도, 미디어 중요성, 정치냉소주의와 정치효능감이 정치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0권, 제3호, pp.166-197, 2006. 

  2. N. Kwak, A. Williams, X. Wang, and H. Lee, "Talking politics and engaging politics: An examination of the interactive relationships between structural features of political talk and discussion engagement," Communication Research, Vol.32, No.1, pp.87-111, 2005. 

  3. D. Shah, J. Cho, W. Eveland Jr., and N. Kwak, "Information & expression in a digital age. Modeling internet effects on civic participation," Communication Research, Vol.32, pp.531-565, 2005. 

  4. 황유선, "트위터 이용이 사회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 전통 미디어 이용, 정치 관심, 트위터 이용 패턴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6호, pp.56-79, 2011. 

  5. W. Bennett, C. Breuning, and T. Givens, "Communication and political mobilization: Digital media and the organization of anti-Iraq war demonstrations in the U.S.," Political Communication, Vol.25, pp.269-289, 2008. 

  6. M. Roberts, W. Wanta, and T. Dzwo, "Agenda setting and issue salience on-line," Communication Research, Vol.29, No.4, pp.452-462, 2002. 

  7. 심흥진, "소셜미디어의 정치참여 효과에 관한 연구: 주관적 규범과 동류집단압력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제8권, 제3호, pp.6-52, 2012. 

  8. 이원태, 김춘식, 이나경, 소셜미디어에서 온라인 정치담론의 특성, 디지털 컨버전스 기반 미래 연구, 2010. 

  9. 이지영, 신재권, 이상우, "카카오스토리 이용패턴과 이용동기 연구: 이용량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379-387, 2015. 

  10. 이환수, 이나리,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4권, 제9호, pp.153-163, 2014. 

  11. 류정호, 이동훈, "소셜 미디어로서 마이크로 블로그 공론장의 정치적 의사소통에 대한 탐색적 연구: 네트워크 동질성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4호, pp.309-330, 2011. 

  12. 이범준, 조성겸, "사회적 소통의 진단 방식에 대한 비판적 고찰", 언론과 사회, 제22권, 제2호, pp.111-148, 2014. 

  13. 김성태, 김여진, 최홍규, 김형지, "뉴미디어를 통한 소통 채널의 확장과 정치참여 변화 연구: 인터넷과 소셜미디어를 주목하여", 평화연구, 2011년 봄호, pp.5-38, 2011. 

  14. 이선희, 김은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지속 이용에 관한 연구: 사회교환이론 관점에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9권, 제3호, pp.121-160, 2012. 

  15. 금희조, 조재호, "스마트폰, 커뮤니케이션 격차, 그리고 정치참여,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5호, pp.348-371, 201. 

  16. 심흥진, 황유선, "마이크로블로깅 서비스와 사회 자본: 트위터 초기 사용자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5호, pp.327-347, 2010. 

  17. D. Kline and D. Burstein 저, 한국언론재단 역블로그, 서울: 한국언론재단, 2006. 

  18. P. Bourdieu, The forms of capital. In J. G. Richardson(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NY: Greenwood, 1986. 

  19. 임성준, 추승엽, "한국영화제작프로젝트 조직에서 사회적 자본의 역할에 관한 탐색적 연구", Journal of Strategic Management, pp.75-94, 2004. 

  20. R. Putnam, "Bowling alone: America's declining social capital," Journal of Democracy, Vol.6, No.1, pp.65-78, 1995. 

  21. R. Putnam,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Society, New York: Simon & Schuster, 2000. 

  22. P. Moy, D. Scheufele, and R. Holbert, "Television use and social capital: Testing Putnam's time displacement hypotheses," Mass Communication & Society, Vol.2, pp.27-45, 1999. 

  23. E. Uslaner, "Trust, civic engagement, and the Internet," Political Communication, Vol.21, pp.223-242, 2004. 

  24. 금희조, "온라인 소셜 미디어와 참여적 사회 자본: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연결적 vs. 결속적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4권, 제5호, pp.9-46, 2010. 

  25. S. McClurg, "Social network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role of social interaction in explaining political participation," Political Research Quarterly, Vol.56, pp.448-464, 2003. 

  26. 이숙정, 백선기, 한은경, "교육수준에 따른 정치 참여 격차: 뉴스미디어, 사회적 연결망, 정치사회적 대화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5 호, pp.113-136, 2013. 

  27. J. Coleman,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94, pp.95-120, 1989. 

  28. Ellison et al.,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2, pp.1143-1168, 2007. 

  29. B. Brandtzaeg, "Social Network Sites: Their Users and Social Implications-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7, pp.467-488,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