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보행 평가
Analysis of Walking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원문보기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지 = Journal of Kore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v.13 no.1, 2015년, pp.39 - 46  

정상철 (서울재활병원 물리치료실) ,  이인영 (삼남재활병원 물리치료실) ,  윤수빈 (전주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김수연 (한솔정형외과 물리치료실) ,  우영근 (전주대학교 의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ccelerometer is a tool for evaluating walking by the displacement of the center of mass (COM) in the body. Recently, smartphones have added an accelerometer app, and it can be used to evaluate outcomemanures in rehabili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 in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있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정상인과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체중심 이동의 특성을 비교하여, 스마트폰 기반의 보행 분석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정상인에서 체중심의 전후측 움직임은 스마트폰 체중심의 전후 움직임과 체중심의 회전성 움직임은 스마트폰의 좌우 움직임, 그리고 뇌졸중 환자에서 체중심의 전후측 움직임은 스마트폰 체중심의 좌우 움직임과 회전성 움직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3차원 보행 분석 시스템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환자의 보행 능력 개선을 위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평가 또는 분석은 필수적인 과정이며, 대부분의 보행 분석은 3차원 보행분석 시스템, 힘 판, 근전도 등을 사용하고 있다(Yook et al, 1999). 3차원 보행 분석 시스템은 작은 움직임의 양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임상적으로 적용하고 하는데 있어 많은 공간과 비싼 장비, 그리고 사용자의 높은 숙련성을 요구 한다(Windolf, 2008). 그리고, 지면 반발력을 측정할 수 있는 힘 판은 명확한 값이 나올 수 있는 보행 분석 도구지만 힘과 방향에 대한 혼선으로 인하여, 분석 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정 구간에서의 보행만을 평가한다.
효과적인 보행 재활을 위한 보행 평가가 재활 과정에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많은 신경계 환자들은 하지 근육 약화(Neckel et al, 2006), 발목관절의 뻣뻣함과 움직일 때 발생하는 힘의 감소로 인하여(Chung et al, 2004), 정상적인 근육의 활동 패턴을 잃고, 안정감을 상실하게 된다(Hidler et al, 2007). 특히, 뇌졸중 환자는 지구력이 떨어지고 (Dean et al, 2001), 걷는 속도가 떨어지며(von Schroeder et al, 1995), 보행 주기에 비대칭을 보이며(Olney et al, 1991), 이런 보행 패턴의 비대칭으로 인하여 넘어짐과 넘어짐으로 인한 손상의 위험성이 높게 된다(Titianova et al, 1995). 따라서 효과적인 보행 재활을 위한 보행 평가는 치료의 결과 측정, 예후, 재활과 일상 생활 수행능력을 볼 수 있는 중요한 치료적 지표로서 재활 과정에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Park et al, 2012).
대부분의 보행 분석은 무엇을 사용하고 있는가? 재활 영역에서 환자의 보행 능력은 기능적 회복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향상시켜야 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치료 목표 중 하나가 되고 있다(Ng et al, 2008; Patterson et al, 2007). 이러한 환자의 보행 능력 개선을 위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평가 또는 분석은 필수적인 과정이며, 대부분의 보행 분석은 3차원 보행분석 시스템, 힘 판, 근전도 등을 사용하고 있다(Yook et al, 1999). 3차원 보행 분석 시스템은 작은 움직임의 양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임상적으로 적용하고 하는데 있어 많은 공간과 비싼 장비, 그리고 사용자의 높은 숙련성을 요구 한다(Windolf,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yu MA, Ismail SA, Matin AFA, et al. A Comparison Study of Classifier Algorithms for Mobile-phone's Accelerometer Based Activity Recognition. Procedia Engineering. 2012;41:224-229. 

  2. Chung SG, Van Rey E, Bai Z, et al. Biomechanic changes in passive properties of hemiplegic ankles with spastic hypertonia.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4;85(10):1638-1646. 

  3. Dean CM, Richards CL, Malouin F. Walking speed over 10 metres overestimates locomotor capacity after stroke. Clinical Rehabilitation. 2001;15(4):415-442. 

  4. Dong-won Yook, Byung-in Yoo, Yoon-shick Park. Benefits and Problems of Electromyographical Techniques in the Analysis of Hum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Sport & Leisure Studies. 1999;6(1):39-50. 

  5. Evans AL, Duncan G, Gilchrist W. Recording accelerations in body movements. Medical & Biological Engineering & Computing. 1991;29(1):102-104. 

  6. Hidler JM, Carroll M, Federovich EH. Strength and Coordination in the Paretic Leg of Individuals Following Acute Stroke. IEEE Transactions on Neural systems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 2007;15(4):526-534. 

  7. Il-woo Park, One-bin Lim, Kyue-nam Park, et al. Intra - and inter - rater reliability of measuring passive range of shoulder motion with smartphone and goniometer in patients with stroke. Physical Therapy Korea. 2014;21(1):1-12. 

  8. Ishigaki N, Kimura T, Usui Y, et al. Analysis of pelvic movement in the elderly during walking using a posture monitoring system equipped with a triaxial accelerometer and a gyroscope. Journal of Biomechanics. 2011;44(9):1788-1792. 

  9. Jin-bock Yi, Sung-jae Kang, Young-ho Kim. Characteristics of vertical acceleration at center of mass of the body in normal gait. Physical Therapy Korea. 2002;9(3):39-46. 

  10. Jin-bock Yi. Gait analysis of the normal and the hemiplegic walking using the acceleration of the CoM. Yonsei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2. 

  11. Mizuike C, Ohgi S, Morita S. Analysis of stroke patient walking dynamics using a tri-axial accelerometer. Gait &Posture. 2009;30(1):60-64. 

  12. Moe-Nilssen R. Test-retest reliability of trunk accelerometry during standing and walking.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998;79(11):1377-1385. 

  13. Neckel N, Pelliccio M, Nichols D, et al. Quantification of functional weakness and abnormal synergy patterns in the lower limb of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Journal of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2006;3:17. 

  14. Ng MF, Tong RK, Li SA. A pilot study of randomized clinical controlled trial of gait training in subacute stroke patients with partial body-weight support electromechanical gait trainer a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six-month follow-up. Stroke. 2008;39(1):154-160. 

  15. Olney SJ, Griffin MP, Monga TN, et al. Work and power in gait of stroke pati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991;72(5):309-314. 

  16. Patterson SL, Forrester LW, Rodgers MM, et al. Determinants of walking function after stroke: differences by deficit severit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7;88(1):115-119. 

  17. Perry J, Burnfield JM. Gait analysis: Normal and pathological function, 2nd ed. California. SLACK Incorporated.2010. 

  18. Si-woon Park, You-nam Choi, Soon-ja Jang, et al. Evaluation of hemiplegic asymmetric gait by trunk accelerometry. Korean Journal of Stroke. 2004;6(1):73-78. 

  19. Sung-hyun Park, Un-hyo Baek. Analysis of walking speed of pelvic limb muscle activity and balance index of stroke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2012;20(4):239-246. 

  20. Titianova EB, Tarkka IM. Asymmetry in walking performance and postural sway in patients with chronic unilateral cerebral infarction.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1995;32(3):236-244. 

  21. von Schroeder HP, Coutts RD, Lyden PD, et al. Gait parameters following stroke: a practical assessment.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1995;32(1):25-31. 

  22. Windolf M, Gottzen N, Morlock M. Systematic accuracy and precision analysis of video motion capturing systems exemplified on the Vicon-460 system. Journal of Biomechanics. 2008;41(12):2776-2780. 

  23. Zijlstra W, Hof AL. Assessment of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from trunk accelerations during human walking. Gait & Posture. 2003;18(2):1-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