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공공성 구현을 위한 인터랙션을 활용한 융복합 공공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Public Interaction Design Convergen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8, 2015년, pp.449 - 455  

박건규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조형디자인학과) ,  김원석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조형디자인학과) ,  노혜신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조형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공 디자인에서 공공성의 실현 여부를 판단하는 데는 해당 디자인의 수행 과정과 방향성 등 다양한 측면이 고려 돼야한다. 공공 디자인이란 공공성을 갖춘 디자인이다. 그럼에도 무엇보다도 사용자에게 미적관심을 유발시키는 것이 우선이다. 한편, 디자인의 편의성은 심미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기도 한다. 연구자가 시도한 융복합적인 인터랙션을 적용한 공공디자인은 공공장소에서 사적 영역의 보호와 같은 공공성을 체험토록 기획하였다. 꽃술을 모티브로 하여 심미성에 바탕을 두면서 기능적으로는 뉴미디어의 인터랙션을 활용한 이 공용 벤치 디자인 제안은 사용자의 미적 반응에서 시작하여 편의성과 쾌적함 나아가 사용자가 체험하는 공공성의 경험이 공공 디자인의 의미와 가치판단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임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about the utilization of public interaction design in terms of design convergence study. As there are different perspectives about public character in various academic fields, it is not simple to define the concept of it. In Korea, since 1960's, the public art which considered only ab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의 구현이 인터랙션을 활용한 공공 디자인에 접목 시킬 수 있을지 기술적인 접근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공공 미술과 공공 디자인의 역사적 변화를 개괄하며 공공 디자인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인터랙션이라는 사용자 경험 창출의 디자인의 필요성을 직시했다.
  • 이 글에서는 인터랙션을 활용한 공공디자인의 분석을 위해 심미적 측면, 편의성의 측면, 공공가치의 측면 이라는 세 가지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인터랙션을 활용한 융복합적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실례를 이상의 관점에 의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뉴미디어를 통해 구현되는 인터랙션이 적용된 공공디자인에 대해 살펴보기에 앞서 먼저 공공성과 공공디자인이라는 개념을 짚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자의 작품은 심미성, 편의성, 공공성, 사용자 경험을 총체적으로 고려한 결과물을 지향하며 연구하였으며, 무엇보다 인터랙션의 측면을 부각시키고자 노력했다.
  • 연구자는 위에서 살펴본 공공 디자인의 심미, 편의, 공공가치의 측면에서 인터랙션을 위한 뉴미디어가 적용된 본인의 벤치디자인 [Fig. 2]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로써 디자인을 통해 공공성에 대한 사용자의 경험과 이에 대한 가치판단이 어떻게 이루어 질 수 있는지 예시하고 한다.
  • 연구자는 인터랙션을 활용한 공공디자인의 필요성을 제안하기 위해 인터랙션 디자인과 공공디자인이 지향하는 접점에 주목하였다. 사용자의 반응과 경험을 이끌어내는 것과 편의성, 기능성을 중요 요소로 파악하고 사용자의 미적 판단을 이끄는 형식의 자유미 즉, 형식에 내재한 미적 속성인 자유미가 부수미에 우위에 있다는 칸트 미학적 관점에 따라 미적 속성인 조형성의 중요성을 제시했다.
  • 이 과정에서 인터랙션을 활용한 공공 디자인은 공공 디자인 자체에 대한 가치 판단을 이끌 수 있다는 데에서 본 연구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생각한다.
  • 이 글에서는 인터랙션을 활용한 공공디자인의 분석을 위해 심미적 측면, 편의성의 측면, 공공가치의 측면 이라는 세 가지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2]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로써 디자인을 통해 공공성에 대한 사용자의 경험과 이에 대한 가치판단이 어떻게 이루어 질 수 있는지 예시하고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학에서 공공성의 개념은 무엇인가? 공공성은 그것을 연구하는 분야에 따라 개념정의가 상이하다. 사회학에서 공공성의 개념은 공공의 이익, 사회 통합이라는 두 가지 기반을 가지며 국가가 어떻게 예술 영역에 개입해 공익을 실현하고 사회를 통합시킬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둔다. 경제 분야에서 공공성이란 공공재의 개념이다.
공공디자인은 무엇인가? 공공디자인은 공적 공간(public space)이라는 말로 표현될 수 있는 공간에 그 공적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각종 장치류나 도구들의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곳의 장치나 도구들은 다수를 위한 것이어야 하고 다수가 문화이어야 하고 다수의 정체성을 나타내며 이로 인해 다수의 경쟁력이 될 수 있는 어떤 것이어야 한다.
공공디자인이 국가정책으로 나타난 사례는 무엇인가? 이러한 공공디자인은 따라서 대체로 국가정책으로 나타난다. 영국에서는 1944년 디자인 카운슬(Design Council)에서 디자인 정책을 펼치기 시작하여, 1999년 정부 주도하에 구성된 건축·공간 환경 자문위원회(CABE: Communication for Architecture and Built Environment)에서 공공 디자인의 질적 향상을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1995년 민간 디자인 단체인 공공 공간을 위한 디자인 위원회(Design Trust for Public Space)에서 정부 기관과 지역 주민을 연결하여 다양한 프로젝트를 전개해 나가고 있다. 일본에서는 1989년 국토 교통성 산하의 도시디자인센터(UDC, Urban Design Center)에서 공공 디자인 정책을 수행하고 있으며, 독일은 범국가적인 디자인 정책보다는 지역의 정체성을 반영하는 공공 디자인 정책을 수립해 가고 있다. 프랑스는 가로 시설물 위원회(Street Funiture Committee)에서 도시 정비에 있어 문화와 전통을 살려 나가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yu Cheul Kim, A Study of Basic Notions and Directions in Public Design,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Vol. 2, pp.23-33, 2006. 

  2. Dong Ik Cha,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Public Design Users, Journal of Basic Design and Art, pp. 467-475, 2010. 

  3. Yun Jung Sung, A Study on the Public Concept of Public Design, Ph.D.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2010. 

  4. Jung-Yeon Yoon, A study on urban public design policies of Korea, M.A. Thesis, Chung Ang University, 2013. 

  5. Barbara Hoffman, "Law for Art's sake in the Public Realm", Art and the Public Sphere,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6. Seong-Hoon Lim, Public Art and Public : An Aesthetical approach to Public Art, Journal of Contemporary Art Studies,No.12, 2008.12, 107-134 

  7. Se Hoon Kim et al., Publicness(Gonggongseong), Paju:Mimesis, 2008. 

  8. Hyeon-Joo Kang, Eun-Ha Yoo, Issues and Tasks on the Public Design 2.0 in Korea: A Case Study of Design Cheorw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Vol.25, No.2, pp.13-26, 2012. 

  9. Hae-Jin Kim, New Trend on the Types of Public Art Projects Since 2000 in Korea,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0, No. 8, pp.198-208, 2010. 

  10. Yeong-Ok Seo, A Study on the Popularity of the Contemporary Public Art, Ph.D.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2011 

  11. Jerrold Levinson(ed.), The Oxford Handbook of Aesthet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2. Donald Norman, Emotional Design: Why We Love (or Hate) Everyday Things, Basic Books, 2005. 

  13. June-Ho Suh, Il-Suk Kim, A Study on Modality of Interactive Desig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Vol.24, No.1, pp.105-116, 2011. 

  14. Byungkeun Oh,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Physical Interfa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Vol. 52, pp.132-140, 2003. 

  15. Sung Joong Kang, Young Gull Kwon, A Study on Applying Concepts of Interaction Design to Space, Korea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Vol.14, No.3, pp. 234-242, 2005. 

  16. Bo Im Lee, Sung Joong Kang, Research Reports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nteraction Design for Public Space in Accordance with Types of Spatial Context,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Journal, Vol. 17, No. 2, pp.440-452, 2011. 

  17. Byung Oh Choi, Kwon Chan Roh, Design Elements Research of the Interaction Design at Public Facilities in Smart Society, Journal of Basic Design and Art, Vol.14, No.3, pp.315-322,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