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서 운동과 NIE 활동의 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ading Movement and Newspaper in Education Activity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9 no.3, 2015년, pp.209 - 231  

임성관 (휴독서치료연구소)

초록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의 신문 읽기 및 NIE 활동이 체계화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학교, 지방자치단체나 정부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가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독서 운동과 NIE 활동 간의 연계 방안을 모색하고 활용하기 위한 방편으로 실시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 등이 실시되었으며, 참고 자료를 통해서는 독서 운동과 NIE 활동의 개념, 문제점, 그리고 향후 독서 운동과 NIE 활동의 연계 방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해 보았다. 독서 운동과 NIE 활동의 연계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학습 자료를 개발해야 한다. 셋째, 온라인 자료 및 교육프로그램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다섯째, 연수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 여섯째,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 이상과 같은 활성화 방안을 통한 지속적인 논의와 관심을 가지고 독서 운동과 연계한 프로그램이 개발 및 운영될 때 진정한 의미에서의 NIE 활동이 활성화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means of connecting reading movement and Newspaper In Education (NIE) activities utilizing the voluntary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local school districts and autonomous government entities. This is necessary to revitalize or systematiz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디어 매체의 발달이 사람에게 미친영향은 무엇인가? 미디어 매체의 발달은 사람들의 독서 영역을 시각 위주의 읽기에서 벗어나 보기 및 듣기, 느끼기 등 오감을 활용하는 활동으로 확장시켜 주었다. 또한 서점에서 책을 구입하거나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다 읽는 방식을 넘어, 미디어 기기를 활용해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곳에서 편리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독서할 수 있는 여건도 만들어 주었다.
독서 운동과 NIE 활동의 연계 방안은 어떠한가? 독서 운동과 NIE 활동의 연계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학습 자료를 개발해야 한다. 셋째, 온라인 자료 및 교육프로그램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협력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다섯째, 연수 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 여섯째,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 이상과 같은 활성화 방안을 통한 지속적인 논의와 관심을 가지고 독서 운동과 연계한 프로그램이 개발 및 운영될 때 진정한 의미에서의 NIE 활동이 활성화 될 것이다.
독서를 방해하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더불어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이용률이 증가하고, 정부의 ‘독서의 해'(2012년) 독서 캠페인 전개와 지방자치단체들의 ‘책 읽는 도시' 독서 시책 등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설명대로라면 국민들의 독서율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독서 정책을 국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그러나 독서를 방해하는 요인 중 ‘컴퓨터·인터넷·휴대전화·게임을 하느라 시간이 없어서'라는 응답이 14.9%에 달하고 있다는 점은, 미디어 매체의 발달과 기기의 활용이 국민의 독서에 역기능적인 역할도 하고 있음을 증명해 주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강석우 외. 2004. NIE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서울: 커뮤케이션북스.(Kang, Suk-Woo et al. 2004. How will you teach NIE. Seoul: Communication Books.) 

  2. 국립국어연구원. 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두산동아.(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1999. Standard Korean Dictionary. Seoul: Doosandonga.) 

  3. 권주연. 2011. 신문 텍스트를 활용한 거시적 읽기 교수.학습 방안.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Kwon, Ju-Youn. 2011.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Macro Reading with Newspaper Texts.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4. 김상욱. 2012. 독서운동의 현황과 방향. 독서연구, 27: 42-63.(Kim, Sang-Wook. 2012. "The Present Condition and Direction of Reading Movement." Journal of Reading Research, 27: 42-63.) 

  5. 김선남. 2008. 뉴미디어 시대 한국 독서문화의 특성. 한국출판학연구, 55: 45-70.(Kim, Sun-Nam. 200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Reading Activities Shown in the Era of New-media." Studies of Korean Publishing Science, 55: 45-70.) 

  6. 김수경. 2013. NIE를 활용한 독서교육 방안.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Kim, Su-Kyung. 2013. A Study on Reading Education using NIE.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7. 김훈순. 1994. 신문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연구. 청소년과 인쇄매체 연구, 25. 서울: 한국언론연구원.(Kim, Hun-Soon. 1994. A Study about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Newspapers. 25th ed. Journal of Youth & Typographic Media.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8. Naver Blog. 2011. World NIE. [online] [cited 2015. 7. 25] (Naver Blog. 2011. World NIE. [online] [cited 2015. 7. 25] ) 

  9. 도정일 외. 2008. 책, 세상을 탐하다. 서울: 평단문화사.(Do, Jung-Il et al. 2008. Book, Be Greedy of World. Seoul: Pyeongdanmunhwasa.) 

  10. 문화체육관광부. 2013. 2013년 제15회 국민독서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문화체육관광부.(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3. 2013 15th National Reading Survey.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11. 박영민. 2004. 신문 서평의 비판적 검토와 사회적 독서 교육의 방향. 독서연구, 12: 53-87.(Park, Young-Min. 2004. "Critical Investigation of Papers' Reviews and Principles of Social Reading Instruction." Journal of Reading Research, 12: 53-87.) 

  12. 박몽구. 2014. 해방 후 한국 독서운동의 성과와 반성. 한국출판학연구, 40(1): 95-116.(Park, Mong-Gu. 2014. "Performance and reflection on the reading exercise in Sou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Studies of Korean Publishing Sciences, 40(1): 95-116.) 

  13. 법동초 2015학년도 e-NIE 선도학교 운영. 2015. 아시아뉴스통신. 4월 20일.("Beopdong Elementary School Implementation of e-NIE Model Schools in the 2015." 2015. Asia news agency. April 20.) 

  14. 서창호. 2008. 1993년 이후 한국 독서운동의 전개양상 분석. 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Seo, Chang-Ho. 2008. Analysis on the Trend of Reading Movement in Korea Since 1993. Ph.D. diss., Graduate School of Keimyung University.) 

  15. 성태모. 2011. 효율적인 교육 매체 활용 방안. 국어교과교육연구, 19: 39-82.(Sung, Tae-Mo. 2011. "Ways to Effectively Optimize Educational Media." The Journal of Korean Arts Education Research, 19: 39-82.) 

  16. 윤관석. 2013. 국정 감사 보도자료.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Yoon, Kwan-Seok. 2013. News release of Korean Congressional Inspective. Seoul: Korea Press Foundation.) 

  17. 윤금선. 2007. 독서 대중화 운동 연구: 1960년대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2): 271-294.(Yeun, Keun-Sun. 2007. "A Study on Reading Popularization Movement: Focus in 1960'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2): 271-294.) 

  18. 이성영. 2014. 독서정책의 목표와 수단. 독서연구, 32: 213-243.(Lee, Seong-Young. 2014. "The goals and means of reading policies." Journal of Reading Research, 32: 213-243.) 

  19. 이창희. 2014. 독서 진흥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에 대한 전문가들의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Lee, Chang-Hee. 2014. A Critical Review of Policy for Reading Promotion.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20. 채예송. 2014. 1960-1970년대의 독서 운동에 관한 연구: 신문 자료에 나타난 독서 목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Chae, Ye-Song. 2014. A Study on reading movement in 1960s-1970s: Focusing on reading lists indicated in newspaper material.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1. 최상희. 2004. NIE의 이해와 활용.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Choi, Sang-Hee. 2004.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NIE. Seoul: Communication Books.) 

  22. 허재영. 2006. 국어과 교육의 이해와 탐색. 서울: 박이정.(Heor, Jae-Young. 2006. Understanding & Exploring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eoul: Pagijong Pre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