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단변형 시 안행상 균열의 끝에서 형성되는 새로운 균열 발달 형태 연구 : 개별요소적 접근
Pattern of Shear-induced Fracture Development in en Echelon Array : Discrete-element Approach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25 no.4, 2015년, pp.359 - 372  

권순달 ((주)희송지오텍 자원환경사업부) ,  유승완 (대우인터내셔널 석유가스탐사실) ,  권상훈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  김기석 ((주)희송지오텍)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암반에는 단층, 절리, 층리 등의 불연속면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불연속면은 기하학적 복합성에 의해 복잡한 구조로 나타난다. 이 연구는 스텝으로 배열된 두 전단균열의 끝에서 나타나는 구조 발달을 수치해석적으로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PFC2D(Particle Flow Cod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두 전단균열의 끝에서 형성되는 초기균열(incipient fracture)뿐만 아니라 초기균열에서 덧자라는 균열의 성장과정을 살펴보았으며, 균열 발생 시 나타나는 주변응력상태를 관찰하였다. 모든 실험 결과에서는 균열 끝에서 발생한 초기 균열 대부분이 인장균열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균열의 전파각은 초기에 $30{\sim}57^{\circ}$에서 실험이 더 진행되면 저각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ock masses include various rock discontinuities such as faults, joints, and bedding planes. These discontinuities appear as complex structures in geometry. In this study, growth patterns of fractures between two stepping shear fracture tips are numerically modeled using PFC2D (Particle Flow Cod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발생시킨 두 균열의 기하학적인 관계에 의해서 수치해석 실험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위치와 간격 등의 조건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내부의 균열 A, B를 만들기 위해서 균열 위치에 있는 공과 공 입자에 주어진 결합력을 다른 위치에서의 결합력보다 작게 설정하여 균열을 미리 만들도록 설정하여(Fig. 2), 두 균열에서의 D와 W의 관계에 의해서 발달하는 균열의 진화과정을 확인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PFC2D(Itasca Consulting Group, 199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두 전단균열의 상호작용에 의해 두 균열의 끝에서 새롭게 발생하는 전단균열의 발달과정을 초기에서 최종단계까지 살펴보고 수치해석 실험 과정에서 균열 주변에 나타나는 힘(force), 변위(displacement), 응력(stress) 그리고 속도(velocity) 등의 확인을 통해 균열의 구조적 발달과정과 두 균열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 발달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개별요소법을 이용한 수치해석으로 전단변형 시 두 개의 전단균열에서 새로운 균열의 진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치실험에 적용한 역학물성, 공 크기와 마찰계수의 관계, 그리고 연구결과(균열발달, 응력변화)의 중요성에 대하여 토의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개별요소법을 이용한 수치해석으로 전단변형 시 두 개의 전단균열에서 새로운 균열의 진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치실험에 적용한 역학물성, 공 크기와 마찰계수의 관계, 그리고 연구결과(균열발달, 응력변화)의 중요성에 대하여 토의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일반적으로 개별요소법에서 사용되는 자료구조는 요소와 경계조건으로 구분이 되며, PFC2D에서 적용된 가정은 i) 개별요소 입자는 탄성체, ii) 입자 간 접촉 형태는 점(point), iii) 입자 간의 결합(bond) 존재, iv) 입자 형태는 구형(ball), v) 입자 간 중첩 허용 등이 있다. 입자와 벽에 주어진 물리량에 대한 수치해석으로 힘(force), 속도(velocity), 응력(stress) 그리고 변위(displacement) 등을 측정하고, 측정된 물리량을 이용하여 결과를 해석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평행하게 발달하는 안행상 균열에 전단응력이 작용하였을 때의 연구결과에서 역학물성 및 마찰계수에 대한 연구결과는 무엇인가? 1. 수치실험에서 적용한 역학물성은 이축압축시험을 통해서 셰일의 내부마찰각, 점착력, 탄성계수와 유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수치실험으로 얻어진 결과는 셰일에 해당되는 암석을 대기압 상태에서 적용한 실험으로 여길 수 있다.  2. 수치실험에서 마찰계수는 공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영향을 받으며, 이는 미끄러짐이 일어나는 전단면상에 배열된 유한한 크기의 공 입자들이 요철면을 갖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공 요소의 크기를 줄이면 마찰계수의 크기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3. 응력과 마찰계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직접전단 실험장치로 오른쪽 스텝과 왼쪽 스텝에 대해서 수치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전단균열의 끝에서 발생된 초기 균열의 전파각은 발생 초기에 30~57°의 범위를 보이며, 실험이 더 진행되면 저각을 이루며 발달하였다. 그리고 스텝의 형태에 따라서 전단균열 간에 상호작용이 다르게 관찰되었다. 오른쪽 스텝은 모든 경우에서 새로운 균열이 기존 균열과 연결되었으며, 왼쪽 스텝은 W=0.49 m일 때 왼쪽 균열에서 발생된 전단균열에 의해서 오른쪽 균열에서 진행된 균열과 연결이 되며, 나머지의 경우에서는 균열 간의 연결이 없는 개별적인 발달 형태를 보였다(Fig. 9).  4. 균열 주변의 응력 패턴의 변화는 스텝의 방향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며, 균열의 진행방향은 주응력의 방향과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전단력이 작용하는 두 균열의 스텝 형태와 간격에 의한 구조 발달의 상호작용을 확인 하였다.
암반에는 어떤 것이 포함되어 있는가? 암반에는 단층, 절리, 층리 등의 불연속면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불연속면은 기하학적 복합성에 의해 복잡한 구조로 나타난다.
단층과 같은 불연속면의 발생원인 및 구분은 어떠한가? 단층과 같은 불연속면은 지각을 구성하는 암석이 취성 (brittle) 변형작용을 받아 주로 발생하며(Ramsay, 1967), 이렇게 발생된 단층(균열)은 크게 인장균열과 전단균열로 구분된다. 인장균열(tensile crack)은 최소 주응력(σ3) 방향에 평행하게 발달하고, 전단균열은 미끄럼작용(shear crack)에 의해 형성된다(Petit, 1988, Pollard and Aydin, 1988, Reches and Lockner, 199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박의섭, 류창하, 2005, PFC2D를 이용한 절리암반의 역학적 물성평가 연구, 터널과 지하공간 15.2, 119-128. 

  2. 이부경, 1998, 암석역학의 원리, 대윤, 158. 

  3. 이상진, 2007, 개별요소법의 기본개념과 이용에 대한 소고, 한국공간구조학회지, 7, 5, 5-9. 

  4. 이인모, 2000, 암석역학의 원리, 새론, 108. 

  5. 이희근, 양형식, 2002, 암석역학 -이론과 해석-, 서울대학교출판부, 129-148. 

  6. 정용훈, 이정인, 2006, PFC2D를 활용을 위한 정량적 미수변수 결정법, 터널과 지하공간 16.4, 334-346. 

  7. Barton, N., 1976, The Shear Strength of Rock and Rock Joints, Int. J. Rock Mech. Min. Sci., 13, 255-279. 

  8. Cotterell, B. and Rice, J.R., 1980, Slightly curved of kinked cracks, International Journal Fracture, 16, 155-169. 

  9. Cruikshank, K.M., Zhao, G. and Johnson, A.M., 1991, Analysis of minor fractures associated with joints and faulted joints,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13, 865-886. 

  10. Downey, M.W., 1984, Evaluating seals for hydrocarbon accumulations, AAPG Bull., 68, 1752-1763. 

  11. Du, Y. and A. Aydin, 1993, The maximum distortional strain energy criterion for sheat fracture propagation with applications to the growth paths of en echelon fault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0, 1091-1094. 

  12. Du, Y. and A. Aydin, 1995, Shear fracture patterns and connectivity at geometric complexities along strike-slip fault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0, 18, 093-18, 102. 

  13. Ghazvinian, A., Sarfarazi, V., Nejati, H. and Hadei, M.R., 2011, Physical and Particle Flow Modeling of Shear Behavior of Non-Persistent Joints, 2011 한국암반 공학회 추계 총회 및 창립 30주년 기념 심포지엄, 3-21. 

  14. Harris, R.A., Archuleta, R.J. and Day, S.M., 1991, Fault steps and the dynamic rupture process: 2-D numerical simulations of a spontaneously propagating shear fracture, Geophys. Fes. Lett., 18, 893-896. 

  15. Henderson, L.H., 1939, Detailed geological mapping and fault studies of the San Jacinto runnel line and vicinity, J. Geol., 47, 314-324. 

  16. Islam, Md. A. and Skalle. P., 2013,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Shale Mechanical Properties Through Drained and Undrained Test Mechaninsms, Rock Mech Rock Eng, 46, 1391-1413. 

  17. Itasca Consulting Group, Inc., 1984, Universal distinct element code, www.itascag.com. 

  18. Itasca Consulting Group, Inc., 1994, Particle flow code 2D, www.itascag.com. 

  19. Itasca Consulting Group, Inc., 2004, Particle Flow Code in 2dimensions, Ver 3.1, User's manual, Minneapolis, Itasca. 

  20. Kim, Y.-S., Andrews, J.R. and Sanderson, D.J., 2000, Damage zones around strike-slip fault systems and strike-slip fault evolution, Crakington Haven, southwest England. Geoscience Journal, 4, 53-72. 

  21. Knott, S.D., 1993, Fault seal analysis in the North Sea, AAPG Bull., 77, 778-792. 

  22. Liu, H.Y., Kou, S.Q., Lindqvist, P.-A. and Tang, C.A., 2004, Numerical Simulation of Shear Fracture (mode II) in Heterogeneous Brittle Rock, Int J Rock Mech Min Sci, 41, No.3. 

  23. Olson, J. and Pollard, D.D., 1989, Inferring paleostresses from natural fracture patterns: A new method, Geology, 17, 345-348. 

  24. Patton, F.D., 1966, Multiple Modes of Shear Failures in Rock, Proc., 1st Int. Cong. Rock Mech., 1, 509-513. 

  25. Petit, J.-P., 1988, Can natural fractures popagate under mode II condition?. Tectonics, 7, 1243-1256. 

  26. Pollard, D.D. and Aydin, A., 1988, Progress in understanding jointing over the past century.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100, 1181-1204. 

  27. Pollard, D.D., Segall, P. and Delaney, P.T., 1982, Formation and interpretation of dilatant echelon crack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93, 1291-1303. 

  28. Ramsay, J.G., 1967, Folding and Fracturing of rocks. McGraw-Hill. New York, 568. 

  29. Rao, Q.H., Sun. Z.Q., Stephansson, O., Li, C.L., Stillborg, B., 2003, Shear fracture (mode II) of brittle rock, Int J Rock Mech Min Sci, 40, 355-375. 

  30. Reches, Z. and Lockner, D.A., 1994, Nucleation and growth of faults in brittle rock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9, 18159-18174. 

  31. Simmons, S.F. and Graham, I., 2003, Volcanic, Geothermal, Ore-forming Fluids: Rulers and Witnesses of Processes within the Earth. Econ. Geol. Special Pub., 10, 343. 

  32. Zhang, Z. and Ge, X., 2007, Numerical simulation of two-dimensional shear fracture based on virtual multidimemsional internal bonds, Int J Rock Mech Min Sci, doi: 10, 10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