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민연금 노령연금 수급자의 기대여명과 이를 적용한 수익비 산출
Estimating the Benefit-Cost Ratios by Applying Life-Expectancies of National Pension Old-Age Pensioners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8 no.4, 2015년, pp.621 - 641  

최장훈 (국민연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수익비를 국민연금의 노령연금 수급자의 기대여명을 사용하여 계산하고 국민 전체의 기대여명을 사용하여 계산한 수익비와 비교한다. 이를 위해 CBD 확장모형을 이용하여 추계한 국민 전체의 사망률에 노령연금 수급자의 경험 사망확을 적용하여 노령연금 수급자의 미래 사망률을 전망한다. 연구 결과 노령연금 수급자의 사망률이 적용된 기대여명과 이로부터 산출된 수익비가 국민 전체 사망률이 적용된 결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nefit-cost ratios are estimated using life-expectancies of the national pension old-age pensioners in Korea and a compared to whole nation. To obtain the ratios, future mortalities are estimated by multiplying the ratios of experienced mortalities for old-age pensioners to those of the whole n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민 전체의 사망률과 차별화하기 위해 국민연금 노령연금 수급자의 사망확률을 산출하고 시간에 따른 사망확률을 전망하여 기대여명과 수익비를 산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 국민 전체 사망확률을 CBD(Cairns, Blake, and Dowd) 확장모형을 고안하여 전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국민연금 사망률 산출과 관련된 연구는 지금까지 어떻게 연구하였는가? 국민연금 사망률 산출과 관련된 연구로는 Kim 등 (1998), Woo (2011), Han과 Lee (2014) 등이 있다. Kim 등 (1998)은 국민연금 가입자의 사망률을 성별 및 가입종별로 구분하여 산출하였다. 국민연금의 가입연령이 18세부터 59세까지이므로 60세 이상 연령층에 대해서는 국민생명표와 일본의 생명표를 표준생명표로 한 Brass(1971)가 고안한 모형을 사용하여 사망률을 연장하였다. Woo (2011)은 국민연금 제도 내에서 관측되는 소득계층별 차별 사망력과 기대여명을 인구학적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하지만 위의 두 연구는 국민연금 가입자 사망률에 관한 연구이고 수급자에 관한 사망률을 산출하지는 않았다. 국민연금 수급자 사망률에 관한 연구로는 Han과 Lee (2014)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민연금 노령연금 수급자를 대상으로 한 사망력과 기대여명을 성별과 소득계층별로 산출하였다. 80세 이후 고연령 사망률 추정에는 Gompertz(1825) 모형을 사용하였고 산출된 기대여명을 사용하여 수급부담구조를 분석하였다.
국민연금이란? 국민연금은 노령으로 인한 근로소득 상실을 보전하기 위한 노령연금, 주 소득자의 사망에 따른 소득상실을 보전하기 위한 유족연금, 그리고 질병 또는 사고로 인한 장기근로능력 상실에 따른 소득상실을 보전하기 위한 장애연금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사회보장제도이다. 따라서 국민연금의 안정적인 유지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 재정의 정확한 예측이 필요하다.
2-요소 확률 모형 개발 배경은? 하지만 고연령에 대한 추계는 데이터가 충분치 않아 개선 정도를 예측하기 어렵다는 논란이 있어 왔다. Cairns 등(2006)은 사망률이 개선되어 왔으나 고연령의 개선정도를 예측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반영하기 위하여 2-요소 확률 모형(2-factor stochastic model)을 개발하였다. 첫 번째 요소는 모든 연령의 사망률에 동일한 영향을 주는 요소이고 두 번째 요소는 연령에 비례하여 연령이 높아질수록 사망률에 더 큰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ooth, H., Maindonald, J. and Smith, L. (2002). Applying Lee-Carter under conditions of variable mortality decline, Population Studies, 56, 325-336. 

  2. Brass, W. (1971-1973). Mortality models and their users in demography, Transactions of the Faculty of Actuaries, 33(239), 123-142. 

  3. Cairns, A. J. G., Blake, D. and Dowd, K. (2006). A two-factor model for stochastic mortality with parameter uncertainty: Theory and calibration, The Journal of Risk and Insurance, 73, 687-718. 

  4. Cairns, A. J. G., Blake, D., Dowd, K., Coughlan, G. D., Epstein, D., Ong, A. and Balevich, I. (2009). A quantitative comparison of stochastic mortality models using data from England & Wales and the United States, North American Actuarial Journal, 13, 1-35. 

  5. Choi, J. H. (2015). Mortality projections for the long-term actuarial projections, Pension Forum, 58, 58-66. 

  6. Gompertz, B. (1825). On the nature of the function expressive of the law of human mortality and on a new mode of determining life contingencies, The Royal Society of London, Philosophical Transactions, Series A, 115, 513-585. 

  7. Han, J. and Lee, H. (2014). Benefit-cost analysis of national pensioners by income and life expectancy,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7, 211-226. 

  8. Kim, T. H., Park, K. A. and Kim, S. O. (1998). Differential mortality of the insured persons in national pension scheme,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1, 80-104. 

  9. Lee, R. D. and Carter, L. R. (1992). Modeling and forecasting U.S. mortality,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87, 659-671 

  10. Lee, R. D. and Miller, T. (2001).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Lee-Carter methods for forecasting mortality, Demography, 38, 537-549. 

  11. Li, N. and Lee, R. (2005). Coherent mortality forecasts for a group of populations: An extension of the Lee-Carter method, Demography, 42, 575-594. 

  12. Renshaw, A. and Haberman, S. (2003). Lee-Carter mortality forecasting: A parallel generalized linear modelling approach for England and Wales mortality projections,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C (Applied statistics), 52, 119-137. 

  13. Woo, H. B. (2011). Mortality and life expectancy differentials by lifetime earnings for Korean workers covered by the national pension scheme, Social Welfare Policy, 38, 113-14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