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강 및 낙동강 수계 주요 하천을 중심으로 어류를 이용한 수생태 건강성 평가
Ecological Health Assessment using Fish for the Han River and Nakdong River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1 no.3, 2015년, pp.319 - 327  

노성유 (국립환경과학원 유역생태연구팀) ,  최희락 (국립환경과학원 유역생태연구팀) ,  박종영 (전북대학교 생명과학과) ,  황순진 (건국대학교 보건환경과학과) ,  김상훈 (국립환경과학원 유역생태연구팀) ,  이재안 (국립환경과학원 유역생태연구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biological criteria for aquatic ecosystem health assessment using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collected species. The sampling sites were a total of 67 sites in the Han River (29 sites) and the Nakdong River (38 sites), May and September 2012. During the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조사 시기는 홍수기 전후로 년 2회 조사하였으며(봄철 : 4 ~ 5월, 가을철 : 9 ~ 10월), 어류 채집 구간은 조사 지점에서 상 하류 간 총 200 m 구간으로 여울(Riffle), 소(Pool), 유속이 느린 구간(Run)이 존재하는 구간에서 투망(망목 5 × 5 mm), 족대(망목 4 × 4 mm)를 이용하여 채집 후 어류의 정성 및 정량분석을 실시하였다(MOE and NIER, 2012).
  • 4), 이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수질측정망의 중권역 대표지점을 포함한 전국 하천을 대상으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부착조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어류, 서식 및 수변환경을 중심으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위한 지표 개발을 수행하였다(MOE and NIER, 2008; 2009; 2010;2011; 2012). 어류를 이용한 평가지수는 다변수 분석인 12개의 변수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하천 특성에 맞게 총 8개의 메트릭을 확립하여 어류평가지수(Fish Assessment Index, FAI)를 산정하였다(MOE and NIER, 2012).
  • M1 : 국내종의 총 종수(Total number of native fish species), M2 : 여울성 저서종수(Number of riffle-benthic species), M3: 민감종수(Total number of sensitive species), M4 : 내성종의 개체수 비율(Proportion of individuals as tolerant species), M5 : 잡식종의 개체수 비율(Proportion of individuals as omnivores), M6 : 국내종의 충식종 개체수 비율(Proportion of individuals as native insectivores), M7 : 채집된 국내종의 총 개체수(Total number of individuals), M8 : 비정상종의 개체수 비율(Proportion of individuals as abnormal individuals)의 총 8개 메트릭에 대해 각각 “0”, “6.25”, “12.5”의 점수를 부여하였으며 모든 메트릭 합으로 생물지수 등급을 산정하였다(식 (1))(MOE and NIER, 2012).
  • 어류를 이용한 어류평가지수(FAI)는 생태건강성 메트릭 모델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어류의 메트릭 모델값은 개체수, 출현 종수 및 생태지표 특성 등을 고려하여 계산하였으며 어류의 생태지표 특성은 내성도 특성 및 섭식 특성을 분석하여 산출하였다(MOE and NIER, 2006). 이 중 내성도 특성 분석은 채집된 어종을 대상으로 수질 오염도에 따라 쉽게 사라지는 민감종(Sensitive species, SS), 수질 오염도에 내성을 갖는 내성종(Tolerant species, TS) 및 두 범주(민감종 및 내성종)에 속하지 않는 중간종(Intermediate species, IS)으로 구분하였다.
  • 어류의 메트릭 모델값은 개체수, 출현 종수 및 생태지표 특성 등을 고려하여 계산하였으며 어류의 생태지표 특성은 내성도 특성 및 섭식 특성을 분석하여 산출하였다(MOE and NIER, 2006). 이 중 내성도 특성 분석은 채집된 어종을 대상으로 수질 오염도에 따라 쉽게 사라지는 민감종(Sensitive species, SS), 수질 오염도에 내성을 갖는 내성종(Tolerant species, TS) 및 두 범주(민감종 및 내성종)에 속하지 않는 중간종(Intermediate species, IS)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섭식 특성은 잡식종(Omnivores, O), 충식종(Insectivores, I), 육식종(Carnivores, C) 및 초식종(Herbivores, H)으로 구별 하여 분석하였다.
  • 이 중 내성도 특성 분석은 채집된 어종을 대상으로 수질 오염도에 따라 쉽게 사라지는 민감종(Sensitive species, SS), 수질 오염도에 내성을 갖는 내성종(Tolerant species, TS) 및 두 범주(민감종 및 내성종)에 속하지 않는 중간종(Intermediate species, IS)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섭식 특성은 잡식종(Omnivores, O), 충식종(Insectivores, I), 육식종(Carnivores, C) 및 초식종(Herbivores, H)으로 구별 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수질측정망 운영계획’(MOE, 2008)에 의거하여 Table 1과 같이 2012년 우리 나라 한강 및 낙동강 수계 주요 하천 총 67 지점(한강 29 지점, 낙동강 38 지점)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Fig. 1; Table 1, 2).
  • 한강 및 낙동강 수계 주요하천 총 67 지점(한강 29 지점, 낙동강 38 지점)에 대하여 2012년 봄철, 가을철에 걸쳐 조사하였으며 한강 수계에서는 53속 73종, 낙동강 수계에서는 42속 61종으로 총 출현한 어류는 59속 93종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하천별 어류 출현 개체수는 한강 수계에서 평균 244 개체를, 낙동강 수계에서 평균 191 개체로 한강 수계가 낙동강 수계 보다 풍부한 개체수를 보여주었다.

이론/모형

  • 어류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점별 어류 출현 개체수와 출현 종수를 이용하여 우점도 지수(Dominance Index)(Simpson, 1949), 종 다양도 지수(Diversity Index) (Shannon and Weaver, 1963), 종 균등도 지수(Evenness Index) (Pielou, 1975), 종 풍부도 지수(Richness Index)(Margalef, 1958)를 산출하였다.
  • 어류를 이용한 어류평가지수(FAI)는 생태건강성 메트릭 모델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어류의 메트릭 모델값은 개체수, 출현 종수 및 생태지표 특성 등을 고려하여 계산하였으며 어류의 생태지표 특성은 내성도 특성 및 섭식 특성을 분석하여 산출하였다(MOE and NIER, 2006).
  • 어류의 생태건강성 메트릭 모델 분석은 U. S. EPA (1993)의 기준에 의거하여 우리나라 지리적 특성 및 생태 특성에 적합하도록 재정립된 8개의 메트릭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M1 : 국내종의 총 종수(Total number of native fish species), M2 : 여울성 저서종수(Number of riffle-benthic species), M3: 민감종수(Total number of sensitive species), M4 : 내성종의 개체수 비율(Proportion of individuals as tolerant species), M5 : 잡식종의 개체수 비율(Proportion of individuals as omnivores), M6 : 국내종의 충식종 개체수 비율(Proportion of individuals as native insectivores), M7 : 채집된 국내종의 총 개체수(Total number of individuals), M8 : 비정상종의 개체수 비율(Proportion of individuals as abnormal individuals)의 총 8개 메트릭에 대해 각각 “0”, “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강 및 낙동강 수계에서 나타나는 어류의 종은 몇 종인가? 한강 및 낙동강 수계의 조사대상 총 67 지점(한강 29 지점, 낙동강 38 지점)에서 출현된 어류는 1강 11목 22과 59속 93종으로 조사되었다.
다변수 분석은 무엇인가? 특히 미국에서는 1981년부터 다변수 모델을 개발하여 수생태계 보전과 관리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수생 생물을 이용한 수생태 건강성 평가 기법 중 어류의 생물지수는 대표적으로 다변수 분석(Multi-metric Analysis) 방법을 이용하며 이는 12개의 변수를 기반으로 하여 생물지수를 산출하는 방식이다(Barbour et al., 1999; Karr, 1981).
한강과 낙동강 수계의 주요 하천을 중심으로 어류상 조사 및 어류를 이용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는 어떤 결과를 나타내는가? 한강 및 낙동강 수계 주요하천 총 67 지점(한강 29 지점, 낙동강 38 지점)에 대하여 2012년 봄철, 가을철에 걸쳐 조사하였으며 한강 수계에서는 53속 73종, 낙동강 수계에서는 42속 61종으로 총 출현한 어류는 59속 93종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하천별 어류 출현 개체수는 한강 수계에서 평균 244 개체를, 낙동강 수계에서 평균 191 개체로 한강 수계가 낙동강 수계 보다 풍부한 개체수를 보여주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 K. G., Jung, S. H., and Choi, S. S. (2001). An Evaluation on Health Conditions of Pyong-Chang River using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and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4(3), pp. 153-165. [Korean Literature] 

  2. An, K. G. and Lee, E. H. (2006). Ecological Health Assessments of Yoogu Stream using a Fish Community Metric Model,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9(3), pp. 310-319. [Korean Literature] 

  3. Bae, D. Y., Kim, Y. P., and An, K. G. (2008). Ecological Health Assessment of Mountainous Stream in Mt. Sik-Jang using Multi-metric Mode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4(2), pp. 156-163. [Korean Literature] 

  4. Barbour, M. T., Gerritsen, J., Snyder, B. D., and Stribling, J. B.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2nd Ed. EPA 841-B-99-002. US EPA Office of Water, Washington, D. C., USA. 

  5. Byeon, H. G., Song, H. B., Jeon, S. R., and Son, Y. M. (1997). Feeding Habit of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Introduced at Lake Paldang,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0(1), pp. 75-84. [Korean Literature] 

  6. Choi, J. W., Lee, E. H., Lee, J. H., and An, K. G. (2007). Biological Water Quality Assessments Using Fish Assemblage in Nakdong River Watershed,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0(2), pp. 254-263. [Korean Literature] 

  7. Choi, M. J., Park, H. K., Yun, S. H., and Lee, J. H. (2012). Fish Community and Stream Health Assessment in Lake Chungju and its Tributar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8(2), pp. 185-196. [Korean Literature] 

  8. Jeon, D. Y., Lee, S. L., Son, J. W., Cha, Y. U., Kwon, K. W., and Yoo, P. J. (2010). Aquatic Ecosystem Health Assessment in Middle Reach of Suyoung River using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and Fish Fauna,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6(6), pp. 934-942. [Korean Literature] 

  9. Karr, J. 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eries, 6(6), pp. 21-27. 

  10. Kim, I. S., Choi, Y., Lee, C. L., Lee, Y. J., Kim, B. J., and Kim, J. H.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ishing Co. Ltd., pp. 131. [Korean Literature] 

  11. Kim, Y. P. and An, K. G. (2010). Characteristics of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Taehwa-river Watershed and Stream Ecosystem Health Assessments by a Multimetic Fish Model and Community Analysi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3(3), pp. 428-436. [Korean Literature] 

  12. Kwon, Y. S. and An, K. G. (2006). Biological Stream Health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the Keum-ho River watershed,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9(2), pp. 145-156. [Korean Literature] 

  13. Lee, J. H., Hong, Y. P., and An, K. G. (2007). Fish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and Ecological Health Assessments in the Headwater Watershed of Nakdong Rive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0(3), pp. 403-411. [Korean Literature] 

  14.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atics, 3, pp. 36-71. 

  15.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MOE and NIER). (2006). Survey of Water Quality Comprehensive Assessment Methods (III),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n Literature]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08). Water Quality Monitoring Program, GPRN. 11-14800000-000523-10,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7.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MOE and NIER). (2008). Waterwide Aquatic Ecological Monitoring Program (I),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n Literature] 

  18.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MOE and NIER). (2009). Waterwide Aquatic Ecological Monitoring Program (II),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n Literature] 

  19.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MOE and NIER). (2010). Waterwide Aquatic Ecological Monitoring Program (III),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n Literature] 

  20.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MOE and NIER). (2011). Waterwide Aquatic Ecological Monitoring Program (IV),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n Literature] 

  21.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MOE and NIER). (2012). Waterwide Aquatic Ecological Monitoring Program (V),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n Literature] 

  22. Pielou, E. 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pp. 165. 

  23. Shannon, C. E. and Weaver, W.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Illinoise University Press, Urbana, pp. 177. 

  24. Simpson, E. 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pp. 688. 

  25. Song, H. B., Baek, H. M., and Lee, C. W. (2005). Water Environmental Assessment by the Species Biotic Index of Freshwater Fish in the Namdaecheon, Gangneung Cit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4(4), pp. 237-245. [Korean Literature] 

  26.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 S. EPA). (1993). Fish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Evaluating the Biological Integrity of Surface Waters, EPA 600-R-92-111. 

  27. Yeom, D. H., An, K. G., Hong, Y. P., and Lee, S. K. (2000). Assessment of an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using Fish Assemblages in Keum-Ho River, Korea, Korean Journal Environment Biology, 18(2), pp. 215-226.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