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로니아(Aronia melancocarpa) 착즙액 첨가 젤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Aronia (Aronia melancocarpa) Juice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1 no.4, 2015년, pp.456 - 464  

주신윤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류혜숙 (상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해연 (공주대학교 식품과학부 외식상품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aronia juices. Aronia juices were incorporated into jelly at 0%, 10%, 20%, 30%, 40% and 50%. The total phenolic content, anthocyanin conten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jelly increased with each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품 개발의 일환으로 여러 생리활성이 있다고 알려진 아로니아를 착즙하여 젤리를 제조하고 그 품질특성과 총 페놀 함량, 안토시아닌 함량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함으로써 젤리에 대한 아로니아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의 우수한 기능성을 젤리에 활용하기 위해 0~50% 아로니아 착즙액이 젤리의 총 페놀 함량, 안토시아닌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아로니아 착즙액의 증가는 젤리의 총 페놀 함량과 안토시아닌 함량을 증가시켰고,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높여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로니아는 무엇인가? 아로니아(Aronia melancocarpa)는 블랙 쵸크베리(Black chokeberry)로도 알려져 있으며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베리류의 식물열매로 원래는 북부 아메리카지역에서 자생한다. 아로니아에는 안토시아닌과 같은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등의 항산화성분이 풍부하며, 효능으로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항알레르기 등이 보고되고 있다(Chrubasic C 등 2010).
기호식품 중 기호식품 식품의 장점은 무엇인가? 오래전부터 한국인들은 기호식품 중 독특한 텍스쳐와 맛을 지닌 겔(gel)상 식품을 즐겨왔으며 묵, 과편 등은 젊은층부터 노년층에 이르기까지 그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Lyu HJ & Oh MS 2002). 겔상 식품은 첨가하는 식품재료에 따라 다양한 색을 나타내고 굳히는 용기에 따른 모양의 변화가 다양하여 시각적인 효과가 크며, 식품재료가 지닌 독특한 향기와 맛, 텍스쳐는 미각적인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영양적인 조절이 용이하고, 고령자나 환자 등 단단한 식품을 섭취하기 힘든 사람도 씹기 쉬운 물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소비자들의 기호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Yoon HS & Oh MS 2003, Kim BR 2006). 겔상 식품 중 젤리(jelly)는 과채류의 즙에 당과 겔화제를 혼합하고 농축, 성형하여 제조된 것을 말한다(Mo EK 등 2007).
아로니아에는 어떤 항산화 성분이 있으며 어떤 효능을 갖는가? 아로니아(Aronia melancocarpa)는 블랙 쵸크베리(Black chokeberry)로도 알려져 있으며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베리류의 식물열매로 원래는 북부 아메리카지역에서 자생한다. 아로니아에는 안토시아닌과 같은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등의 항산화성분이 풍부하며, 효능으로는 항산화, 항염증, 항당뇨, 항알레르기 등이 보고되고 있다(Chrubasic C 등 2010).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아로니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전국적으로 재배 면적이 늘어나고 있으며, 아로니아를 식품에 적용하는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Ch. 3. pp 1-26 

  2. Cho SB, Kim HJ, Yoon JI, Chun HS. 2003. Kinetic study on the color deterioration of crude anthocyanin extract from Schizandra fruit. Korean J Food Sci Technol 35(1):23-27 

  3. Choi EJ, Lee JH. 2013. Quality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jelly incorporated with purple sweet potato concentrate. Korean J Food Sci Technol 45(1):47-52 

  4. Chrubasic C, Li G, Chrubasik S. 2010.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chokeberry: A systematic review. Phytother Res 24(8):1107-1114 

  5. Chung KW, Joo YH, Lee DJ. 2004. Content and color difference of anthocyanin by different storage periods in seed coats of black soybean [Glycine max (L.) Merr.]. Korean J Int Agric 16(2):196-199 

  6. Hong JH, Chung HS, U H, Youn KS. 2002. Storage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 isolated from a wasted grape peels. Korean J Food Preserv 9(3):327-331 

  7. Hwang ES, Lee Y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anggaeng with aronia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8):1220-1226 

  8. Hwang ES, Thi ND.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heongpomook added with aronia (Aronia melanocarpa)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30(2):161-169 

  9. Jang KI, Lee JH, Kim KY, Jeong HS, Lee HB. 2006. Quality of stored grape (Vitis labruscana) treated with ethyleneabsorbent and activated charcoa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9):1237-1244 

  10. Kim BR. 2006. Characteristics and optimization of mulberry jelly manafacturing conditon.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p 7-9 

  11. Kim HJ, Hong SK, Min AY, Shin SK, Sim EK, Yoon JH, Kim MR. 2015.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Saengmaegsan concentra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3):393-400 

  12. Kim KH, Lee KH, Kim SH, Kim NY, Yook H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prepared with flowering cherry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110-115 

  13. Lee JH, Chin KB. 2012. Evaluati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red beet extracts, and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changes of ground pork patties containing red beet extract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 32(4):497-503 

  14. Lee JH, Lee MK.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incorporated with sweet pumpkin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139-142 

  15. Lee KH.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preparation using black garlic powder and cherry powder.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on, Korea. pp 6-7 

  16. Lee YU, Huang GW, Liang ZC, Mau JL.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three extracts from Pleurotus citrinopileatus. LWT Food Sci Technol 40(5):823-833 

  17. Lin JY, Tang CY. 2007. Determination of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in selecterd fruits and vegetables, as well as their stimulatory effects on mouse splenocyte proliferation. Food Chem 101(1):140-147 

  18. Lyu HJ, Oh MS.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Omija jelly prepared with various starches. Korean J Soc Food Cook Sci 18(5):534-542 

  19. Mo EK, Kim HH, Kim SM, Jo HH, Sung CK. 2007. Production of sedum extract adding jelly and assessment of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6):619-624 

  20. Nam JS, Han YJ, Yeo SM. 2015.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various berry juices. Korean J Food Nutr 28(2):328-334 

  21. Nho HJ, Jang SY, Park JJ, Yun HS, Park SM. 2013. Browning prevention of black carrot extract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supplemented with black carrot extract. Korean J Food Culture 28(3):293-302 

  22. Park BS, Han MR, Kim A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rocessing of jelly using Darae extract for childre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5):561-568 

  23. Park HJ, Chung HJ. 2014. Influence of the addition of aronia powder on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uffins. Korean J Food Preserv 21(5):668-675 

  24. Park HJ, Jeong SH, Yoon HH, Jung JH, Song JY. 2014. Optimization of the acetic acid fermentation for aronia vinega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Food Cook Sci 30(6):792-799 

  25. Park HM, Hong JH. 2014. Physiological activities of Aronia melanocarpa extracts on extraction solvents. Korean J Food Preserv 21(5):718-726 

  26. Yoon HS, Kim JW, Kim SH, Kim YG, Eom HJ.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aronia powder (Aronia melanocarp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2):273-280 

  27. Yoon HS, Oh MS.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xed polysaccharide gels with various kiwifruit contents. Korean Food Cook Sci 19(4):511-5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