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체급식 다빈도 사용 고나트륨 음식의 단계별 저염화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Step-by-Step Sodium Reduction on Frequently used High Sodium Foods in the Institutional Food Service Industry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1 no.4, 2015년, pp.465 - 476  

권순복 (용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혜영 (용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odium reduced foods for 10 representative high sodium foods often served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and to conduct sensory evaluation on the foods. The foods are kimchi, cucumber salad, banquet noodle, seaweed soup, ahuk soup, pork kimchi stew, red pepp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0 국민건강영양조사(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에서 발표된 고나트륨 기여 음식군별 순위에서 나트륨 저감화 연구가 가능한 8개 그룹 중 10종 음식을 선정하여 실험조리에 의해 나트륨 저염화 수준을 달리한 음식을 개발하여 이의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 단체급식이나 외식에서 짠맛에 대한 기호도를 낮추고 나트륨 섭취를 줄이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음식 중 나트륨 고기여 음식에 대한 최대 나트륨 저감화 가능수준을 도출하여 효율적인 나트륨 저감화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체급식 메뉴에서 나트륨 기여도가 높은 음식 10종을 선정하여 실험조리에 의해 나트륨 저염화 수준을 달리한 음식을 개발하고 이의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나트륨의 과잉섭취가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사람들은 김치, 장류, 젓갈 등의 짜게 먹는 습관과 국류, 찌개류, 탕류 등의 국물이 많은 음식의 섭취로 인해 과다한 소금 섭취가 식사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Lee SK 2011). 나트륨의 과잉섭취는 체내 수분 보유량을 높여서 혈액의 부피가 증가되고 이로 인해 혈관수축에 관여하는 부신피질 호르몬인 norepinephrine의 분비가 증가되면서 혈관의 말초 저항을 상승시켜서 고혈압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addy FJ 2006). 과잉 섭취된 나트륨은 혈관벽 자체를 약화시키고 두껍게 함으로써 뇌졸중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Antonios TF & MacGregar GA 1995, De Wardner HE & MacGregar GA 2002), 위장점막을 자극하여 위암 발생에도 관여될 수 있고(Tsugame S 2005), 체내 과량의 나트륨을 배출 시킬 때 칼슘 배설량을 높임으로써 골다공증을 초래할 수도 있다(Sellmeyer DE 등 2002). 짠 음식의 과다 섭취는 갈증을 유발시켜서 간접적으로 음료와 탄산음료의 섭취량을 증가시켜 비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He FJ & MacGregar GA 2008). 단체급식이나 외식을 통해 나트륨을 섭취하는 비율이 점점 증가하는 실정으로 특히 외식 빈도가 잦은 30~50대 남자는 나트륨의 50% 가량을 외식으로 섭취한다는 보고가 있다.
나트륨의 과잉섭취가 비만을 유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과잉 섭취된 나트륨은 혈관벽 자체를 약화시키고 두껍게 함으로써 뇌졸중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Antonios TF & MacGregar GA 1995, De Wardner HE & MacGregar GA 2002), 위장점막을 자극하여 위암 발생에도 관여될 수 있고(Tsugame S 2005), 체내 과량의 나트륨을 배출 시킬 때 칼슘 배설량을 높임으로써 골다공증을 초래할 수도 있다(Sellmeyer DE 등 2002). 짠 음식의 과다 섭취는 갈증을 유발시켜서 간접적으로 음료와 탄산음료의 섭취량을 증가시켜 비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He FJ & MacGregar GA 2008). 단체급식이나 외식을 통해 나트륨을 섭취하는 비율이 점점 증가하는 실정으로 특히 외식 빈도가 잦은 30~50대 남자는 나트륨의 50% 가량을 외식으로 섭취한다는 보고가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과다한 소금 섭취의 원인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사람들은 김치, 장류, 젓갈 등의 짜게 먹는 습관과 국류, 찌개류, 탕류 등의 국물이 많은 음식의 섭취로 인해 과다한 소금 섭취가 식사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Lee SK 2011). 나트륨의 과잉섭취는 체내 수분 보유량을 높여서 혈액의 부피가 증가되고 이로 인해 혈관수축에 관여하는 부신피질 호르몬인 norepinephrine의 분비가 증가되면서 혈관의 말초 저항을 상승시켜서 고혈압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Haddy FJ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dams SO, Maller O, Cardello AV. 1995. Consumer acceptance of foods lower in sodium. J American Diet Assoc 95(4):447 

  2. Antonios TF, MacGregar GA. 1995. Deletriors effects of salt intake other than effects of blood pressure. Clin Exp Pharmacol Physiol 22(3):180-184 

  3. Cheigh HS. 1995. Critical review on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produc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5(2):89-101 

  4. Cho MH, Kim SJ, Lee KH. 2008. A study on preference of salinity and temperature of soups served in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establishment.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4):60-607 

  5. Cho YY. 2002. Practice guidelines for reducing salt intake. Korean J Comm Nutr 7(3):394-400 

  6. De Wardner HE, MacGregar GA. 2002. Harmful effects of dietary salt in addition to hypertension. J Hum Hypertens 16(4):213-223 

  7. Haddy FJ. 2006. Role of dietary salt in hypertension. Life Sci 79(17):1585-1592 

  8. He FJ, MacGregor GA. 2008. Salt intake is related to soft drink consump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link to obesity? Hypertens 51(3):629-634 

  9. Kim JA, Kim YH, Ann MY, Lee YK. 2012. Measurements of salinity and salt content by menu types served at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s in Daegu. Korean J Community Nutr 17(5):637-651 

  10. Kim HY, Kim JH. 2014. Effects of distry education on lowsodium diet adaptation. Korean J Food Cook Sci 29(2):212-221 

  11. Kim HY, Kim MR, Koh BK. 2006. Food quality evaluation. Hyoil Press. Seoul, Korea. pp 21-38 

  1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2010: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V). pp 1-30 

  1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2011: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V). pp 1-30 

  1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2. Seven out of ten workers need to reduce sodium intake.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index.do. Accessed May 14, 2015 

  15. Lee SK. 2011. A study on dietary sodium intake of office workers. Master's thesis. Kyungwon University. Gyeonggi-do, Korea. pp 5-6 

  16. Lee HS, Lee KS. 1996.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optimum salt concentration in usual dishes for the menu suggestion. Korean J Food Cook Sci 12(3):754-762 

  17. Park YS, Lee SR. 2010. Sodium intakes by liquid dishes of Korean ordinary meals. Soonchunhyang J Nat Sci 16(2):159-165 

  18. Park MJ. 2007. Analysis of salt content in the foods of a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 and eat-out restaurants in the Daegu area, and development plan for a low-sodium diet.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pp 16-35 

  19. Sellmeyer DE, Schloetter M, Sebastian A. 2002. Potassium citrate prevents increased urine calcium excretion and bone esorption induced by a high sodium chloride diet. J Clin Endocrinol Metab 87(5):2008-2012 

  20. Shin EK, Lee HJ, Jun SY, Jung YY, Park EJ, Ahn MY, Lee YK. 2007.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trtion education program for sodium reduction in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Community Nutr 13(2):216-227 

  21. Son SM, Huh KY. 2002. Salt intake and nutritional problems in Korean. Korean J Comn Nutr 7(3):381-390 

  22.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1. CAN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Pro 4.0. D176E8F12S 

  23. Tsugame S. 2005. Salt, saltes food intake, and risk of gastric cancer epidemiologic evidence. Cancer Sci 96(1):1-6 

  24. Witschi JC, Ellison RC, Doane DD, Slack WV, Stare FJ. 1985. Dietary sodium reduction among students: Feasibility and acceptance. J American Diet Assoc 85(3):8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