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강대식세포의 염증성 표현형에 대한 곰피(Ecklonia stolonifera) 유래 Phlorotannins의 효과
Effect of Phlorotannins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Ecklonia stolonifera on Peritoneal Macrophage Polarization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8 no.4, 2015년, pp.439 - 446  

최민우 (부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준형 (부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형락 (부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재일 (부경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flammation is a protective response to infection or injury. However, prolonged inflammation can contribute to the pathogenesis of many diseases, such as cancer, diabetes, arthritis, atherosclerosis, and Alzheimer's disease.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activated macrophages, inflammatory effec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복강대식세포(mouse peritoneal macrophages, PEM)를 이용하여 LPS 및 IL-4 처리하고 M1 및 M2 marker genes의 발현을 분석하여 M1 및 M2 표현형이 유도됨을 확인하고자 하였고, 이들 시스템에 곰피-유래 phlorotannins을 처리하여 대식세포 표현형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항염증성물질의 개발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고, 또한 해조류를 이용한 대식세포 표현형의 변화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 2012). 본 연구에서는 복강대식세포(mouse peritoneal macrophages, PEM)를 이용하여 LPS 및 IL-4 처리하고 M1 및 M2 marker genes의 발현을 분석하여 M1 및 M2 표현형이 유도됨을 확인하고자 하였고, 이들 시스템에 곰피-유래 phlorotannins을 처리하여 대식세포 표현형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항염증성물질의 개발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하고, 또한 해조류를 이용한 대식세포 표현형의 변화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식세포 표현형중 M1은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최근 이러한 대식세포 표현형(phenotypes)의 변화에 대해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고, 활성화된 두 가지의 형태의 주요 표현형, 즉 M1 및 M2의 형태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Ferrante and Leibovich, 2012). 고전적 활성화(classically activated) 형태인 M1 표현형은 세균의 lipopolysaccharides (LPS) 및 peptidoglycan과 같은 외인성 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PAMPs) 및 괴사된 세포에서 유리되는 단백질 및 핵산과 같은 damage-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DAMPs), 그리고 T helper 1 (Th1) cell에서 분비되는 cytokine인 interferon (IFN)-γ에 의한 자극에 의해서 유도되고, 이에 의해 염증촉진성 cytokines 및 매개체[nitric oxide (NO) 및 superoxide radical]의 생성량이 많아지는 염증촉진성(pro-inflammatory) 특성을 가진다(Mosser, 2003; Bystrom et al., 2008; Colin et al.
대식세포가 생리학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병원체의 감염 및 조직손상에 의해 유발된 염증반응을 해소하고 손상된 조직을 회복하는 과정에도 대식세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다양한 생리학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근거는 대식세포가 주변의 국소적인 환경에 따라 다른 형태로 변형(macrophage polarization)될 수 있는 특성에 따른 것이다(Ferrante and Leibovich, 2012).
대식세포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면역반응에 작용하는 세포로써 염증 및 숙주의 방어에 대식세포(macrophages)의 역할은 잘 알려져 있다. 또한 병원체의 감염 및 조직손상에 의해 유발된 염증반응을 해소하고 손상된 조직을 회복하는 과정에도 대식세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lleva DG, Kaser SB and Beller DI. 1998. Intrinsic defects in macrophage IL-12 production associated with immune dysfunction in the MRL/++ and New Zealand Black/White F1 Lupus-prone mice and the Leishmania major-susceptible BALB/c strain. J Immunol 161, 6878-6884. 

  2. Bouhlel MA, Derudas B, Rigamonti E, Dievart R, Brozek J, Haulon S, Zawadzki C, Jude B, Torpier G, Marx N, Staels B and Chinetti-Gbaguidi G. 2007. PPARgamma activation primes human monocytes into alternative M2 macrophages with anti-inflammatory properties. Cell Metab 6, 137-143. 

  3. Brown ES, Allsopp PJ, Magee PJ, Gill CI, Nitecki S, Strain CR and McSorley EM. 2014. Seaweed and human health. Nutr Rev 72, 205-216. 

  4. Bystrom J, Evans I, Newson J, Stables M, Toor I, van Rooijen N, Crawford M, Colville-Nash P, Farrow S and Gilroy DW. 2008. Resolution-phase macrophages possess a unique inflammatory phenotype that is controlled by cAMP. Blood 112, 4117-127. http://dx.doi.org/10.1182/blood-2007-12-129767. 

  5. Camell C and Smith CW. 2013. Dietary oleic acid increases M2 macrophages in the mesenteric adipose tissue. PLoS One 8, e75147.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075147. 

  6. Chang HY, Lee HN, Kim W and Surh YJ. 2015. Docosahexaenoic acid induces M2 macrophage polarization through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activation. Life Sci 120, 39-47. http://dx.doi.org/10.1016/j.lfs.2014.10.014. 

  7. Chang NC, Hung SI, Hwa KY, Kato I, Chen JE, Liu CH and Chang AC. 2001. A macrophage protein, Ym1, transiently expressed during inflammation is a novelmammalian lectin. J Biol Chem 276, 17497-17506. 

  8. Chen F, Guo N, Cao G, Zhou J and Yuan Z. 2014. Molecular analysis of curcumin-induced polarization of murine RAW264.7 macrophages. J Cardiovasc Pharmacol 63, 544-552. http://dx.doi.org/10.1097/FJC.0000000000000079. 

  9. Colin S, Chinetti-Gbaquidi G and Staels B. 2014. Macrophage phenotypes in atherosclerosis. Immunol Rev 262, 153-166. http://dx.doi.org/10.1111/imr.12218. 

  10. Corraliza IM, Soler G, Eichmann K and Modolell M. 1995. Arginase induction by suppressors of nitric oxide synthesis (IL-4, IL-10 and PGE2) in murine bone-marrow-derived macrophage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6, 667-673. 

  11. Ferrante CJ and Leibovich SJ. 2012. Regulation of macrophage polarization and wound healing. Adv Wound Care (New Rochelle)1, 10-16. 

  12. Hosokawa M, Kudo M, Maeda H, Kohno H, Tanaka T and Miyashita K. 2004. Fucoxanthin induces apoptosis and enhances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the $ $PPAR{\gamma}$ $ ligand, troglitazone, on colon cancer cells. Biochim Biophys Acta 1675, 113-119. 

  13. Hung SI, Chang AC, Kato I and Chang NC. 2002. Transient expression of Ym1, a heparin-binding lectin, during developmental hematopoiesis and inflammation. J Leukoc Biol 72, 72-82. 

  14. Kang HS, Chung HY, Jung JH, Son BW and Choi JS. 2003. A new phlorotannin from the brown alga Ecklonia stolonifera. Chem Pharm Bull 51, 1012-1014. 

  15. Kim AR, Shin TS, Lee MS, Park JY, Park KE, Yoon NY, Kim JS, Choi JS, Jang BC, Byun DS, Park NK and Kim HR. 200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hlorotannins from Ecklonia stolonifera with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J Agric Food Chem 57, 3483-3489. http://dx.doi.org/10.1021/jf900820x. 

  16. Kim KJ, Yoon KY, and Lee BY. 2012. Low molecular weight fucoidan from the sporophyll of Undaria pinnatifida suppresses inflammation by promoting the inhibi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and oxidative stress in RAW 264.7 cells. Fitoterapia 83, 1628-1635. http://dx.doi.org/10.1016/j.fitote.2012.09.014. 

  17. Laskin DL, Sunil VR, Gardner CR and Laskin JD. 2011. Macrophages and tissue injury: agents of defense or destruction? Annu Rev Pharmacol Toxicol 51, 267-288. http://dx.doi.org/10.1146/annurev.pharmtox.010909.105812. 

  18. Lee MS, Kwon MS, Choi JW, Shin T, No HK, Choi JS, Byun DS, Kim JI and Kim HR. 2012.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an ethanol extract of Ecklonia stolonifera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murine macrophage cells. J Agric Food Chem 60, 9120-9129. http://dx.doi:10.1021/jf3022018. 

  19. Li QZ, Sun J, Han JJ and Qian ZJ. 2013. Anti-inflammation of simvastatin by polarization of murine macrophages from M1 phenotype to M2 phenotype. Zhonghua Yi Xue Za Zhi 93, 2071-2074. 

  20. Liao X, Sharma N, Kapadia F, Zhou G, Lu Y, Hong H, Paruchuri K, Mahabeleshwar GH, Dalmas E, Venteclef N, Flask CA, Kim J, Doreian BW, Lu KQ, Kaestner KH, Clement K and Jain MK. 2011. Kruppel-like factor 4 regulates macrophage polarization. J Clin Invest 121, 2736-2749. http://dx.doi.org/10.1172/JCI45444. 

  21. Liu YC, Zou XB, Chai YF and Yao YM. 2014. Macrophage polarization in inflammatory diseases. Int J Biol Sci 10, 520-529. http://dx.doi.org/10.7150/ijbs.8879. 

  22. Morris SM Jr. 2007. Arginine metabolism: boundaries of our knowledge. J Nutr 137, 1602S-1609S. 

  23. Mosser DM. 2003. The many faces of macrophage activation. J Leukoc Biol 73, 209-212. 

  24. Munder M, Eichmann K, Moran JM, Centeno F, Soler G and Modolell M. 1999. Th1/Th2-regulated expression of arginase isoforms in murine macrophages and dendritic cells. J Immunol 163, 3771-3777. 

  25. Munder M. 2009. Arginase: an emerging key player in the mammalian immune system. Br J Pharmacol 158, 638-651. http://dx.doi.org/10.1111/j.1476-5381.2009.00291.x. 

  26. Raes G, Noel W, Beschin A, Brys L, de Baetselier P and Hassanzadeh GH. 2002. FIZZ1 and Ym as tools to discriminate between differentially activated macrophages. Dev Immunol 9, 151-159. 

  27. Titos E, Rius B, Gonzalez-Periz A, Lopez-Vicario C, Moran-Salvador E, Martinez-Clemente M, Arroyo V and Claria J. 2011. Resolvin D1 and its precursor docosahexaenoic acid promote resolution of adipose tissueinflammation by eliciting macrophage polarization toward an M2-like phenotype. J Immunol 187, 5408-5418. http://dx.doi.org/10.4049/jimmunol.1100225. 

  28. Wijesinghe WA and Jeon YJ. 2012. Exploiting biological activities of brown seaweed Ecklonia cava for potential industrial applications: a review. Int J Food Sci Nutr 63, 225-235. http://dx.doi.org/10.3109/09637486.2011.619965. 

  29. Zhang S, Shen Z, Hu G, Liu R and Zhang X. 2009. Effects of endogenous glucocorticoids on allergic inflammation and T(H)1/T(H)2 balance in airway allergic disease. Ann Allergy Asthma Immunol 103, 525-534. http://dx.doi.org/10.1016/S1081-1206(10)6027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