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동지역 지형성 강풍과 관련된 풍하측 기상요소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ical Variables in the Leeward Side associated with the Downslope Windstorm over the Yeongdong Region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6 no.4, 2015년, pp.315 - 329  

조영준 (국립기상과학원 관측예보연구과) ,  권태영 (강릉원주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최병철 (국립기상과학원 관측예보연구과 재해기상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05~2010년 기간 동안 영동지역의 지형성 강풍과 관련된 태백산맥 풍하측에서 관측된 기상요소들을 분석하였다. 강풍 사례는 강원지역에서 풍속이 $14ms^{-1}$ 이상인 조건을 이용하여 선정하였다. 강풍 사례는 총 15일로 나타났고, 모두 영동지역에 위치한 속초, 강릉, 동해, 그리고 태백 지역에서 발생하였다. 사례 중 태풍(세 사례) 그리고 영동지역의 대설(두 사례)과 호우(두 사례)와 관련된 7개 사례는 이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8개 강풍 사례를 분석하기 위하여 종관 일기도, 속초 고층 관측, 강릉 수직측풍, 그리고 수치모델 자료를 사용하였다. 선정된 사례는 무강수 혹은 일강수량 1mm 이하의 강수를 보였다. 종관 일기도에서 나타난 지상과 상층의 특징은 기압분포가 한반도를 중심으로 남고북저형을 보였고, 영동지역으로 온도능(warm ridge)이 위치하였다. 역전층(혹은 안정층)과 온도능은 하층 강풍대와 함께 산 정상의 약 1~3 km (925~700 hPa) 고도에 위치하였다. 또한 지역예보시스템에서 분석된 온난핵과 온도능은 산 정상 상공의 850 hPa 등압면 고도에 위치하였고, 이 고도에서 수평 온도 경도는 $0.10{\sim}0.23^{\circ}C\;km^{-1}$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영동지역 강풍 예보 가이던스로 요약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ical conditions related to the strong downslope wind over the leeward side of the Taebaek Mountains during the period 2005~2010. The days showing the strong wind exceeding $14ms^{-1}$ in Gangwon province were selected as study cases. A to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강풍 연구에서 Brinkmann (1974), Durran(1986), 그리고 Lee and In (2009)은 관측 자료와 수치모형 실험을 통하여 산 정상 상공에서의 역전층이 강풍 발생에 주된 역할을 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풍하측의 고층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역전층의 고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역전층 고도와 함께 영동지역 강풍과 관련된 하층 강풍대를 분석하였고, 풍하측에 위치한 강릉의 수직측풍 관측 자료를 통하여 고도, 시간대 등 하층 강풍대의 세부적인 특징을 분석하였다.
  • 이러한 다양한 분석 조건들은 강풍예보에 있어 매우 중요한 지표이지만 강원지역에 적절한 강풍 예보 가이던스로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따라서 빠르고 정확한 강풍예보를 위해서 강원지역에 대한 종관 기상 자료, 풍하측 속초 고층 관측 및 강릉수직측풍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최우선으로 고려되어야 할 기상요소를 선정하고자 한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영동지역 강풍과 관련된 풍하측의 기상학적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주된 특징을 중심으로 요약하고, 예보자들이 강풍 예보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예보 가이던스로 정리하는 것이다. 순차적으로 연구에 사용된 자료와 연구방법을 서술하였고, 강풍 주의보 기준에서 풍속이 14 ms−1 이상인 영동지역 강풍사례를 선정하였다.
  • 또한 보다 정교한 분석을 위해서 강릉 수직측풍 바람자료를 분석하였다(Table 2; C3). 수직측풍 바람자료에서 대기 하층 고도 1~2 km에서 다른 고도의풍속보다 강한 약 60 kts 이상의 바람이 나타나는지 조사하였다.
  • 3). 여기서 태백산맥 정상 상공의 대기가 안정한가를 조사하기 위해서 700과 925 hPa 등압면 고도 사이에서 역전층의 존재 유무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8개 사례 중2006년 3월 25일과 2007년 3월 27일 사례를 제외한 6개 사례에서 역전층이 관측되었다(Table 5 C1; Table6).
  • Brinkmann (1974)은 콜로라도(Colorado) 주 볼더(Boulder)에서 순간 최대풍속이 33 ms−1 이상인 12개의 강풍 사례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관측 자료를 통하여 강풍이 발생될 때에 산 정상의 상공에서 역전층이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역전층 부근에 최대 풍속이 위치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영동지역 강풍 현상과 관련된 기상요소들의 특징을 분석하고, 강풍예보를 위한 예보 가이던스를 조사하고자 한다. 현재 기상청에서는 강풍발생과 관련된 기상 조건들을 정리하여 강풍 예보 가이던스로 활용하고 있다.
  • 이 연구에서는 영동지역의 지형성 강풍과 관련된 태백산맥 풍하측에서 관측된 기상요소들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 중 주된 특징을 요약하여 강풍 예보가이던스로 정리하였다.
  • Lee and In (2009)은 산 정상의 역전층이 풍하측 강풍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ARPS 모형을 이용하여 2006년 2월 12~13일에 발생한 영동지역 강풍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예보적인 관점에서 대기 안정도, 역전층의 존재 유무와 높이의 변화에 따라 풍하측 풍속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대기의 안정도에 관계없이 역전층이 존재하면 풍하측 풍속이 증가하였다.
  • 그러나 이러한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풍하측에서 나타나는 기상학적 특징을 분석한 연구는 현재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영동지역 강풍과 관련된 풍하측의 기상학적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주된 특징을 중심으로 요약하고, 예보자들이 강풍 예보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예보 가이던스로 정리하는 것이다.
  • 따라서 중력에 의해서 풍하측 바람이 강해지기 위해서는 산 정상에서의 기온은 낮고 풍하측의 기온은 높아야 한다. 이러한 조건을 조사하기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한반도 중북부 지역에 나타나는 강한 한기이류 혹은 온도골의 존재를 조사하였다(Table 2;T1). 반대로 850 hPa에서는 동해상에 나타나는 강한 난기이류 혹은 온도능의 존재를 조사하였다(Table 2;T2).
  • 마지막으로 분석된 결과를 예보 가이던스로 요약하여 정리하였다. 이렇게 분석된 결과는 영동지역에서 발생하는 강풍의 예보 가이던스 및 재해기상사전대비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한편 강풍이 지형효과에 기인하는 것인지 저기압발달에 기인하는 것인지 조사하기 위해서 바람의 연직 분포를 조사하였다. 속초에서 관측된 고층 관측의 바람 자료에서 하층 강풍대를 조사하였다(Table 2;C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동지역의 강풍 현상은 언제 발생하는가? 영동지역의 강풍 현상은 한반도를 중심으로 기압이 남고북저로 배치되었을 때, 서풍류가 태백산맥을 넘으면서 발생된다. 이 바람은 봄철에 영동지역의 양양과 간성 사이에서 고온건조 한 강풍이 국지적으로 불어 예로부터 양간지풍(襄杆之風)으로 알려져 왔다.
양간지풍은 어떤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가? 이 바람은 봄철에 영동지역의 양양과 간성 사이에서 고온건조 한 강풍이 국지적으로 불어 예로부터 양간지풍(襄杆之風)으로 알려져 왔다. 고온건조 한 이 바람은 영동지ㅠ역에 산불이 발생되었을 때, 산불을 강화시켜 막대한 피해를 유발시키고 강풍 및 청천난류(clear air turbulence)로 인해 민간항공기 운항과 항공 군사작전에 제약을 준다(Leeand Kim, 2002; Kim and Chung, 2006; Jang and Chun, 2008; Lee and In, 2009). Jang and Chun(2008)은 강릉에서 관측된 1976~2005년(30년) 기간 동안의 풍속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영동지역 강풍은 최근 10년 동안 다소 증가함을 보고하였다.
영동지역의 강풍은 예로부터 어떤 이름으로 알려져 왔는가? 영동지역의 강풍 현상은 한반도를 중심으로 기압이 남고북저로 배치되었을 때, 서풍류가 태백산맥을 넘으면서 발생된다. 이 바람은 봄철에 영동지역의 양양과 간성 사이에서 고온건조 한 강풍이 국지적으로 불어 예로부터 양간지풍(襄杆之風)으로 알려져 왔다. 고온건조 한 이 바람은 영동지ㅠ역에 산불이 발생되었을 때, 산불을 강화시켜 막대한 피해를 유발시키고 강풍 및 청천난류(clear air turbulence)로 인해 민간항공기 운항과 항공 군사작전에 제약을 준다(Leeand Kim, 2002; Kim and Chung, 2006; Jang and Chun, 2008; Lee and In,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rinkmann, W.A.R., 1974, Strong downslope winds at Boulder, Colorado. Monthly Weather Review, 102, 592-602. 

  2. Clark, T.L. and Peltier, W.R., 1984, Critical level reflection and the resonant growth of nonlinear mountain waves.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 41, 3122-3134. 

  3. Colson, D., 1954, Meteorological problems in forecasting mountain waves. Bulletin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35, 363-371. 

  4. Durran, D.R., 1986, Another look at downslope windstorms, Part I: The development of analogs to supercritical flow in an infinitely deep, continuously stratified fluid.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 43, 2527-2543. 

  5. Heo, K.-Y., Lee, J.-W., Ha, K.-J., Jun, K.-C., and Park, K.-S., 2008, Model optimization for sea surface wind simulation of strong wind case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3), 263-279. (in Korean) 

  6. Houghton, D.D. and Kasahara, A., 1968, Nonlinear shallow fluid flow over an isolated ridge. Communications on Pure Applied Mathematics, 21, 1-23. 

  7. Jang, W. and Chun, H.-Y. 2008, Severe downslope winds of Gangneung in the springtime. Atmosphere, 18(3), 207-224. (in Korean) 

  8. Jung, W.-S. and Lee, H.-W., 2003, Numerical experiments on the terrain following strong wind phenomenon effecting to the onset of sea breez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4), 325-336. (in Korean) 

  9. Kim, J.-H. and Chung, I.-U., 2006, Study on mechanisms and orographic effect for the springtime downslope windstorm over the Yeongdong region. Atmosphere, 16(2), 67-83. (in Korean) 

  10. Klemp, J.B. and Lilly, D.K., 1975, The dynamic of waveinduced downslope winds.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 32, 320-339. 

  11. Lee, J.-G., 2003, A numerical study of the orographic effect of the Taebaek mountains on the increase of the downslope wind speed near Gangnung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12(12), 1245-1254. (in Korean) 

  12. Lee, J.-G. and In, S.-R., 2009, A numerical sensitivity experiment of the downslope windstorm over the Yeongdong region in relation to the inversion layer of temperature. Atmosphere, 19(4), 331-344. (in Korean) 

  13. Lee, S.-J. and Kim, Y.-C., 2002, A numerical forecast and verification of the aircraft turbulence observed over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8(5), 493-507. (in Korean) 

  14. Lilly, D.K. and Klemp, J.B., 1979, The effects of terrain shape on nonlinear hydrostatic mountain waves. Journal of Fluid Mechanics, 95, 241-261. 

  15. Long, R.R., 1953, Some aspects of the flow of stratified fluids I, A theoretical investigation. Tellus, 5, 42-58. 

  16. Miller, P.P. and Durran, D.R., 1991, On the sensitivity of downslope windstorms to the asymmetry of the mountain profile.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 48, 1457-1473. 

  17. Queney, P., Corby, G., Gerbier, N., Koschmieder, H., and Zierep, J., 1960, The airflow over mountains. WMO Technical Note 34,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135 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