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강도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정착길이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Development Length Effects of High Strength Headed Bar 원문보기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19 no.5, 2015년, pp.75 - 82  

문정호 (한남대학교 건축학부) ,  오영훈 (건양대학교 의료공간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강도 철근을 확대머리 이형철근으로 사용하는 경우 정착길이 효과에 관한 실험 연구이다. 현행 기준에서는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정착길이를 산정하는 식에서 철근의 설계기준강도를 400 MPa로 한정하고 있다. 고강도 철근에 대한 연구결과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규정이 명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계기준 항목강도 600 MPa의 철근으로 확대머리 이형철근을 제작하여, 변수별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은 철근의 정착길이, 철근의 개수, 그리고 확대머리의 형상 등의 변수로 계획하였다. 실험체는 정착길이가 긴 L형과 정착길이가 짧은 S형으로 분류하고, 확대머리의 형상은 원판형(A형)과 원뿔형(B형)으로 구분하였다. L형 실험체는 원판형 확대머리를 대상으로 철근 개수가 1~3으로 변하는 3개의 실험체와 S형 실험체는 원판과 원뿔형 확대머리 형상에 대하여 정착길이를 L형의 50%, 45%, 40%, 35%로 변화한 실험체를 계획하였다. L형(LA형) 3개, SA형 4개, SB형 4개 등 총 11개의 실험체를 인발실험을 하였다. 실험결과는 콘크리트구조기준(부록 II)의 정착길이 산정 규정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항복강도 600 MPa의 철근을 사용한 확대머리 이형철근은 현행기준의 설계식을 적용하여 설계할 수 있음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experimental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examine development length effects for high strength headed deformed bars. Current design codes limit the specified yield strength of headed bars to 400 MPa. Such the limit is due to the lack of experimental studies on headed bars made of high strength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확대머리 이형철근에 대한 기존연구는 고강도 철근의 사용보다 콘크리트의 파괴(블록파괴 등)를 방지하는 연구에 주안 점을 두어 왔다(Thompson et al 2005, 2006, Zamora et al 2003, Mihaylov et al 2013, Eligenhausen et al 200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철근을 사용한 확대머리 이형철근이 연결철근으로 사용될 때 인발거동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개수, 형상, 정착길이를 변수로 한 실험체의 인발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현행 설계기준을 확대 적용하여 정착성능을 평가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복강도 600 MPa의 고강도 철근을 사용한 확대머리 이형철근을 대상으로 식 (5)의 적용 가능성을 실험을 통해서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철근에 확대머리를 사용하는 경우에 철근의 정착길이와 인장거동의 관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현행 설계기준은 정착길이의 산정식에서 항복강도의 제한규정을 두고 있으므로 고강도 철근에 대해서 확대 적용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철근에 확대머리를 사용하는 경우에 철근의 정착길이와 인장거동의 관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현행 설계기준은 정착길이의 산정식에서 항복강도의 제한규정을 두고 있으므로 고강도 철근에 대해서 확대 적용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연구는 총 11개의 실험체를 대상으로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개수, 형상, 정착길이 등을 변수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장점은 무엇인가? 확대머리 이형철근은 철근의 정착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할 수 있어서 철근 정착방법으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Ghali & Youakim, 2005). 확대머리 이형철근은 철근을 구부리지 않고 정착하는 경우나 표준갈고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정착길이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PC 구조의 경우에는 무엇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가? 이때 철근의 정착 혹은 정착길이는 중요한 설계변수가 된다. 특히 PC 구조의 경우 주각부에서 접합되는 철근의 수를 줄이기 위하여 고강도의 대구경 철근(D32나 D35)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PCI, 2004). 그러나 고강도이며 대구경의 확대머리 이형철근을 주각부에 사용하고자 할 경우, 적절한 기준식의 부족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다.
확대머리 이형철근의 장점으로 인해 어떤 것을 할 수 있는가? 확대머리 이형철근은 철근을 구부리지 않고 정착하는 경우나 표준갈고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정착길이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간이 충분하지 않은 위치에서 정착을 하고자 할 때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구조기준(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A. Ghali and S. A. Youakim (2005), Headed Studs in Concrete: State of the Art, ACI Structural Journal, 102(5): 657-667. 

  2. Korea Concrete Institute (2012), Design Requirements for Concrete Structures, 239-256. 

  3. Committee 318 (2014), Building Code Requirements for Structural Concrete and Commentary (ACI 318-14), ACI. 

  4. Precast and Prestressed Concrete (2004), Design Handbook. 

  5. K. Thompson, J. O. Jirsa, and J. E. Breen (2005), CCT Nodes Anchored by Headed Bars-Part 2: Capacity of Nodes, ACI Structural Journal, 102(6): 65-73. 

  6. K. Thompson, J. O. Jirsa, and J. E. Breen (2006), Behavior and Capacity of Headed Reinforcement, ACI Structural Journal, 103(4): 522-530. 

  7. N. A. Zamora, R. A. Cook, R. C. Konz, and G. R. Consolazio (2003), Behavior and Design of Single, Headed and Unheaded Grouted Anchors under Tensile Load, ACI Structural Journal, 100(2): 222-230. 

  8. B. I. Mihaylov, E. C. Bentz, and M. P. Collins (2013), Behavior of Deep Beams with Large Headed Bars, ACI Structural Journal, 110(6): 1013-1022. 

  9. R. Eligenhausen, R. Mallee, J. F. Silva (2006), Anchorage in Concrete Construction, Ernst & Soh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