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휴경연차에 따른 묵논 식생의 생태식물상 특성
Eco-floristic Characters of Vegetation in Successional Stages of Abandoned Paddy Fields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8 no.4, 2015년, pp.29 - 41  

심인수 ((주)우성기술단) ,  김종봉 (대구가톨릭대학교 의생명과학과) ,  정용규 (대구가톨릭대학교 의생명과학과) ,  박인환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김명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신현선 (농촌진흥청 연구운영과) ,  조광진 (국립생태원 생태정보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묵논은 농촌경관에 있어 종다양성 및 서식지의 질적 향상에 훌륭한 기회를 제공해주며, 연차별 식물군락의 변화에 대한 생태적 특성은 생태복원의 주요한 기초자료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휴경연차에 따라 변화하는 식물군락의 종조성, 군집지수 그리고 생태식물상 특성을 분석하여 서식지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묵논의 휴경연차를 6단계(I단계: 3년 이하, II단계: 3년 초과 5년 이하, III단계: 5년 초과 7년 이하, IV단계: 7년 초과 10년 이하, V단계: 10년 초과 15년 이하, VI단계: 15년 초과)로 구분하였다. 식생조사는 2009년 5월부터 2012년 10월에 걸쳐 수행하였고 기본적으로 식물사회적적 방법에 따라 이루어졌다. 조사지역에서 확인된 식물종은 58과 127속 157종 3아종 15변종 1품종으로 총 17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천이 단계별로 I단계에서 64분류군, II단계에서 34분류군, III단계에서 84분류군, IV단계에서 83분류군, V단계에서 92분류군, VI단계에서 2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출현 식물종 가운데 뚝새풀, 골풀, 고마리, 쑥, 버드나무, 오리나무가 각 천이 단계에서 가장 높은 상대기여도를 나타내었다. 천이 초기단계에는 1년생 초본들이 높은 출현 빈도를 나타내다가 천이가 진행됨에 따라 천이 중기에는 기존에 출현했던 1년생 초본식물의 출현빈도가 낮아지고 다년생초본식물과 1년생 수생식물인 고마리의 출현빈도가 높아졌다. 천이 후반에는 목본성 식물과 산지 임연부에서 나타나는 초본성 식물종들의 출현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모든 군집지수는 식생의 천이진행과 관련이 있었다. 풍부도와 다양도는 천이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균등도는 천이와의 상관성이 다소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점도는 천이가 진행됨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서식지의 생태적 안정성은 I단계가 가장 불안정한 상태이며 천이가 진행될수록 안정성을 찾아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bandoned paddy field provides an excellent opportunity to improve the species diversity and habitat quality. Ecological characteristic on the changing of plant communities at different seral stages is a major basis data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hanges of the spe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점점 증가하는 묵논의 효율적인 토지활용과 생태적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전국에 분포하는 묵논을 대상으로 휴경연차별로 식생조사를 실시하여 식생을 유형화하고 유형화된 식생이 포함하는 식물들의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묵논의 생태적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묵논은 농촌경관에 있어 종다양성 및 서식지의 질적 향상에 훌륭한 기회를 제공해주며, 연차별 식물군락의 변화에 대한 생태적 특성은 생태복원의 주요한 기초자료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휴경연차에 따라 변화하는 식물군락의 종조성, 군집지수 그리고 생태식물상 특성을 분석하여 서식지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묵논의 휴경 연차를 6단계(Ⅰ단계: 3년 이하, Ⅱ단계: 3년 초과 5년 이하, Ⅲ단계: 5년 초과 7년 이하, Ⅳ단계: 7년 초과 10년 이하, Ⅴ단계: 10년 초과 15년 이하, Ⅵ단계: 15년 초과)로 구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묵논이란 무엇인가? 사회․경제적 여건으로 인하여 의도적 또는 일시적으로 휴경상태에 있거나 경작을 포기한 논을 묵논(abandoned paddy field)이라 하며(Yun, 2007), 우리나라는 1970년대 이후 급속한 산업화에 의한 공업중심의 경제구조 변화로 인해 경지면적이 줄어들었고 상대적으로 묵논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Park et al., 2006).
묵논의 가치는? , 2004). 묵논은 자연이 본래의 모습으로 회복되어가는 과정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장소이며(Yun, 2007), 이러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묵논의 종조성적 변화에 대한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게 되면 묵논을 기반으로 살아가는 생물의 서식처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농산물시장의 개방으로 인해 묵논이 증가하는 이유는? , 2006). 또한 세계무역기구(WTO) 체제 하에 농산물시장의 개방이 본격화되면, 국내농산물은 공급이 많아지고 가격이 하락하게 되고 국내 농가는 경쟁력을 잃게 되어 결국, 경작면적을 대폭 축소하거나 영농 자체를 포기 할 수밖에 없어진다(Choi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rboni, D..Harrison, S. P..Bartlein, P. J.. Jalut, G..New, M..Prentice, I. C..Sanchez- Goni, M.-F..Spessa, A..Davis, B. and Stevenson, A. C. 2004. Relationships between plant traits and climate in the Mediterranean region: A pollen data analysis.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15: 635-646. 

  2. Benabdelmoumene F..Benabadji N..Benchenafi S. and Benmensour D. 2014. Research of the eco-floristic data into the contribution of groups to halophyte, Hammam Boughrara Area West Algeria. European Scientific Journal 10(29): 296-307. 

  3. Brower, J. E..Zar, J. H. and von Ende, C. N. 1990.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Publishers. Dubuque, IA. 

  4. Cho KT.Kim HW.Kim HR.Jeong HM.Lee KM.Kang TG and You YH. 2012.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habitat of Nannophya pygmaea Rambur (Libellulidae, Odonata), an Endangered Species for Conservation.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4(4): 667-67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5. Choi HJ.Ji DS.Choi S and Kim SJ. 2005. Institutional improvements for utilization and management of idle agricultural land.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Report. (in Korean) 

  6. Guh JO.Kwon YW and Pyon JY. 1995. Weed control. Hyangmunsa, Korea. 

  7. Han SU.Chung GC.Chon SU.Lee HJ and Guh JO. 1998. Changes of physico-chemical soil properties, major soil nutrient contents, and weed vegetation in paddy fields during fallow. Korean J. Environ. Agric. 17(3): 211-21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8. Itoh, K. J..Lee JJ and Tachibana, M. 1994. Characters of seed emergence and effect of sulfonylurea herbicides on three Bidens paddy weeds. Proc. of 15th Asia-Pacific Weed Science Society conference: 339-345. 

  9. Kang BH.Shim SI and Ma KH. 2003. Floristic composition of plant community in Set-Aside fields with regard to seral stages. Korean J. Environ. Agric. 22(1): 53-5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0. Kent, M. and Coker, P. 1992. Vegetation description and analysis. London: Belhaven Press. 

  11. Kim DE. 2011. The study on the habitat change of Nannophya pygmaea Ramber in the abandoned paddy field Ulsan City and its management. Kor. J. Env. Eco. 25(6): 867-87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2. Kim JW and Lee YK. 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pp. 1-240. Worldscience, Korea. 

  13. Kim JW and Manyko, Y. I.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East. Korean J. Ecol. 17(4): 391-413. 

  14. Kim JW and Nam HK. 1998. Syntaxonomical and syn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ce field vegetation. Korean J. Ecol. 21(3): 203-215. 

  15. Kuk YI.Park TD and Kwon OD. 2002. Changes of ecological traits of weed species as affected by fallow period in paddy fields. Kor. J. Weed Sci. 22(2): 137-146.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6. Lee CS.Park HS.You YH and Hong SK. 1998. A study on vegetation succession in abandoned paddy fields. J. Nat. Sci. Inst., Seoul Women's Univ. 10: 29-43.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7. Lee IY.Kwon OS.Park JE.Lee YK.Park NI.Ji SH and Lim ES. 2005. Weed management of fallow land and paddyupland rotation on rice fields. Kor. J. Weed Sci. 25(1): 87-89.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8. Lee IY.Park NI.Kwon OS.Park JH.Lee YK. Ji SH.Lim ES and Park JE. 2006. Fallow land and method of weed control in rice paddy field converted from fallow land. Kor. J. Weed Sci. 26(1): 108-11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9. Lee KS and Kim JH. 1995. Seral changes in floristic composition during abandoned field succession after shifting cultivation. Korean J. Ecol. 18(2): 275-283. 

  20. Lee TB. 2003. Illustrated flora of Korea. pp. 1-1,928, Hyangmunsa, Korea. 

  21. Lee WT. 1996a.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pp. 1-624, Academy Press., Korea. 

  22. Lee WT. 1996b. Lineamenta florae Koreae, pp. 1-1,688, Academy Press., Korea. 

  23. Lee YM.Park SH.Jung SY.Oh SH and Yang JC.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 87-101. 

  24. Lewis, J. 1973. Longevity of crop and weed seed: survival after 20 years in the soil. Weed Res. 13: 179-191. 

  25. McNaughton, S. 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168-169. 

  26. Miller, G. T. and Spoolman, S. E. 2009. Essentials of ecology 5th edition. Brooks/Cole Publishing Co. USA. 

  27. Oh YJ.Sohn SI.Kim CS.Kim BW and Kang BH. 2008. Phytosociological Classification of vegetation in paddy Leve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7(4): 413-42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8. Park JE.Lee IY.Oh SM.Park TS.Kim CS. Moon BC.Cho JR.Lim ST.Im IB. Kang JG.Kim S.Hwang JB.Song SB.Ji SH.Kang DS and Chung KR. 2005.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and weed community on orchard field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25(4): 267-274.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9. Park MY.Yim YR.Kim KG and Joo YW. 2006.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wetlands created from within abandoned rice paddy fields in South Korea. J. Korean Env. Res. Tech. 9(2): 1-1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0.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pp. 1-575, Ilchokak, Korea. 

  31. Pielou, E. C. 1969. Shannon's formula as a measure of specific diversity, its use and misuse. American Nation 100: 463-465. 

  32. Shim IS.Kim JB and Cho KJ. 2013. Syntaxonomical characteristics of abandoned paddy fields by seral stages in South Korea. Korean J. Environ. Agric. 32(2): 185-19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3. Sung HC.Ra NY.Cheong SK.Kim SK.Cha SM and Park DS. 2009. Reproductive dynamics of the Gold-spotted Pond Frog (Rana plancyi chosenica) population located at Cheongwon,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7(1): 20-30.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4. Yoon J.Nam JM.Kim H.Bae YJ and Kim JG. 2010. Nannophya pygmaea (Odonata: Libellulidae), an endangered dragonfly in Korea, prefers abandoned paddy fields in the early seral stage. Environmental entomology. 39(2): 278-285. 

  35. Yun KS. 2007. Soil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abandoned paddy fiel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3(2): 129-142.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