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설계모델과 문서정보의 효율적 연계를 위한 BIM기반 데이터베이스 체계 구축방안
Development of BIM-based Construction Document Information Database Structure through the Link to the BIM Model and Construction Document Information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6 no.5, 2015년, pp.42 - 53  

이동건 (아주대학교 건축공학과) ,  차희성 () ,  김경래 (아주대학교 건축공학과) ,  신동우 (아주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건설산업은 다양한 참여자가 상호협동을 통하여 진행되며, 각 건설 단계별로 다양한 정보가 발생되고 관리되는 정보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건설 프로젝트의 대부분의 정보는 문서의 형대로 발생됨으로 인하여 현장의 문서관리는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건설현장에서는 다양한 IT기술의 적용을 통하여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현장의 대부분의 정보가 비구조화된 문서의 형태로 정보가 관리되고 정보관리 체계의 미비로 인하여 효율적인 정보의 축적과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M기술을 통하여 건설현장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의 분류체계 및 정보 연계를 위한 건설정보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제안함으로써 건설현장의 정보 축적 및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서관리와 정보연계 관련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건설현장의 정보를 구조화하기 위한 공간분류체계와 정보분류체계를 제안하였고 정보 축적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BIM기반 건설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시나리오를 통해 적용해 봄으로써 건설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현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truction industry has the form of industry progressed through mutual cooperation among participants in various fields. Accordingly, it may be referred to as an aggregate of information where various pieces of information are generated and managed according to each construction phase. Most of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BIM기술은 다양한 속성을 가진 3D모델의 오브젝트(Object)와 파라메터(Parameter)를 통하여 건축물의 형상정보에 다양한 정보를 연계할 수 있는 도구로서 건설현장의 정보를 3차원 모델로 통합관리 할 수 있는 기술이지만, 건설현장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축적하기 위한 정보의 분류체계 및 정보의 연계를 위한 방안의 부재로 인하여 3D모델을 통한 간섭 검토, 일조분석, 조망권 분석 등과 같은 단순한 모델검토에 활용이 제한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M을 통하여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서정보를 효율적으로 축적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문서정보 관리를 위하여 정보의 분류체계 및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제안함으로써 건설현장의 문서정보의 축적 및 관리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서정보의 축적과 관리 효율성을 제고하고 현장의 문서정보관리 체계를 개선하기 위하여 형상정보(BIM모델)와 비형상정보(문서정보)의 연계를 통한 BIM기반 건설 문서정보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서의 종류를 확인해 보았으며, 현장의 문서정보 관리를 위한 문서정보의 분류체계를 제안하였으며, BIM모델 정보와 문서정보의 연계를 위한 BIM모델의 공간분류체계를 제안하여 공간분류체계를 기반으로 문서정보를 연계함으로써 건설정보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 그리고 Model-based 문서관리 관련 선행연구로는 Caldas et al.(2005)의 연구가 있으며, 이 연구에서는 문서정보를 Model을 통하여 관리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Master format에 근거한 문서 분류체계와 IFC파일의 IfcDocument Reference와 IfcRelationship의 분석을 통해 문서정보와 모델을 연계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Caldas et al.
  • 이에 본 논문에서는 BIM모델의 오브젝트(Object)와 연계하여 문서정보를 축적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현장의 문서에 존재하는 건설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정보분류체계(Information Breakdown Structure; IBS)와 기존의 분류체계인 WBS와 CBS를 통하여 문서정보를 재정리하고자 하였으며, 이렇게 재정리된 문서정보와 BIM모델과의 연계를 위해서 공간분류체계(Space Breakdown Structure; SBS)와 현장정보를 연계하고자 하였다.
  • BIM기반 건설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BIM모델과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축적 및 관리함으로써, 시공정보의 효율적인 활용 및 저장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서정보를 공간분류체계(SBS)와 정보분류체계(IBS)를 중심으로 기존의 분류체계인 WBS와 CBS를 연계시킴으로서 건설정보를 축적/관리하고자 하였다.
  • BIM기반 건설정보 데이터베이스는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BIM모델과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축적 및 관리함으로써, 시공정보의 효율적인 활용 및 저장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서정보를 공간분류체계(SBS)와 정보분류체계(IBS)를 중심으로 기존의 분류체계인 WBS와 CBS를 연계시킴으로서 건설정보를 축적/관리하고자 하였다.
  • 그 중에서 공간분류체계(SBS)는 현장의 문서정보를 BIM 모델과 연계를 위하여 BIM모델의 공간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용도로서 작성이 필요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간을 분류하기 위하여 프로젝트 요소와 공간요소 그리고 부위요소를 구분하여 공간분류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정보분류체계(IBS)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서의 특성(공사계획 문서, 공사관리 문서 등)에 따른 문서의 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간을 분류하기 위하여 프로젝트 요소와 공간요소 그리고 부위요소를 구분하여 공간분류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정보분류체계(IBS)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서의 특성(공사계획 문서, 공사관리 문서 등)에 따른 문서의 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는 건설공사 중 발생하는 수많은 문서정보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문서의 특성에 따른 분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 이에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공간분류체계와 정보분류체계를 연계하고 WBS나 CBS와 같은 기존의 분류체계를 결합하여 문서정보를 축적/관리하고자 하였다. 다음의 Fig.
  • 주제 분야 분류”에 따른 분류가 현장에서 발생하는 정보의 체계를 구분하여 정리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Uniclass의 구성체계를 바탕으로 정보분류체계를 작성하고자 하였다.
  • 정보분류체계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부분으로 공사 중에 발생하는 현장문서의 정보의 형태와 정보의 분야로 구분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서의 정보를 정보의 형태 및 분야로 구분함으로써 정보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 본 연구에서는 시공정보를 축적하기 위하여 시공정보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구축하였고, 이를 구성하고 있는 데이터테이블과 각 데이터테이블의 엔티티(entity)를 작성하였다. 각각의 데이터테이블의 엔티티들은 프로젝트 코드와 연결되며,부위정보를 가지고 있는 엔티티들은 다시 공간분류코드와 연계된다.
  • 작성된 BIM기반 건설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효용성 평가를 위하여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 평가를 수행 하였다. 이는 BIM기반 건설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평가를 직접적으로 실제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에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 실현 가능성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건설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적용을 위한 시나리오는 건설프로젝트 종료 후 발생하는 클레임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의 공사정보를 효율적인 축적 및 활용을 위하여 BIM기반의 건설정보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건설 현장 내에서 발생하는 정보와 문서정보관리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건설현장에서의 정보관리의 중요성과 정보관리가 어려운 현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BIM을 기반으로 한 도형정보 및 비도형정보의 연계관련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건설정보의 효율적인 축적 및 활용을 위해서는 형상정보(모델정보)를 통하여 비형상정보(문서정보 등)를 연계하여 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유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안된 BIM기반 건설정보 데이터베이스는 현장의 발생정보와 현장정보 분류체계를 통하여 구축하였지만, 작성된 시스템을 검증의 측면에서 실제 현장에 직접 적용을 통하여 도출된 정량적인 분석이기 보다는 시나리오 적용을 통한 구현가능성을 평가해 보았다. 이 때문에 논문에서 제시한 모델의 기대효과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실제 시공현장에 직접적인 적용을 통한 분석의 필요성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산업이란 무엇인가? 건설산업은 다양한 참여자가 상호협동을 통하여 진행되며, 각 건설 단계별로 다양한 정보가 발생되고 관리되는 정보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건설 프로젝트의 대부분의 정보는 문서의 형대로 발생됨으로 인하여 현장의 문서관리는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장의 문서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건설산업은 다양한 참여자가 상호협동을 통하여 진행되며, 각 건설 단계별로 다양한 정보가 발생되고 관리되는 정보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건설 프로젝트의 대부분의 정보는 문서의 형대로 발생됨으로 인하여 현장의 문서관리는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건설현장에서는 다양한 IT기술의 적용을 통하여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건설현장에서 IT기술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건설산업은 다양한 참여자가 상호협동을 통하여 진행되며, 각 건설 단계별로 다양한 정보가 발생되고 관리되는 정보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다. 건설 프로젝트의 대부분의 정보는 문서의 형대로 발생됨으로 인하여 현장의 문서관리는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건설현장에서는 다양한 IT기술의 적용을 통하여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 S. J., Son, B. S., Lee, H. S. (2003). "Data Model for Document Exchange of Construction Projects", Proceedings of KICEM Annual Conference 2003, KICEM, pp. 569-572. 

  2. Caldas, C. H., Soibelman, L. (2003). "Automating hierarchical document classification for construction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utomation in Construction, 12, pp. 395-406 

  3. Caldas, C. H., Soibelman, L., Gasser, L. (2005). "Methodology for the Integration of Project Documents in Model-Based Information Systems",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19(1), pp. 25-33. 

  4. Chan, K. W., Anson, M., Zhang, J. P. (2005). "4D Dynamic Construction Management and Visualization Software: 1. Development", Automation in Construction, 14(4), pp. 512-524. 

  5. Chen, Y., Kamara, J. M. (2011). "A framework for using mobile computing for information management on construction sites", Automation in Construction, 20, pp. 776-778. 

  6. Cho, H. C.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Construction Information in Documents Control for Automatic generation of Construction Documents", M.S. thesis,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Ajou University. 

  7. Choi, J. S.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Quality Control Requirement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rchitectural Design in Open BIM Environments", PhD thesis,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Kyung Hee University. 

  8. Dawood, N., Sriprasert, E., Mallasi, Z., and Hobbs, B. (2002).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information resource base for 4D/VR construction processes simulation", Automation in Construction, 12(2), pp. 123-131. 

  9. Ding, L. Y., Zhou, Y., Luo, H. B., Wu, X. G. (2012). "Using nD Technology to Develop an Integrated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for City Rail Transit Construction", Automation in Construction, 21(1), pp. 64-73. 

  10. Eastman, C., Jeong, Y., Sacks, R., and Kaner, I. (2010). "Exchange Model and Exchange Object Concepts for Implementation of National BIM Standards",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24(1), pp.25-34 

  11. Hajjar, D., AbouRizk, S. M. (2000). "Integrating document management with project and company data",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14(1), pp. 70-77. 

  12. Ioannou, P. G., Liu, L. Y. (1993). "Advanced construction technology system-A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19(2), pp. 288-306. 

  13. Jung, Y. S., Kim, Y. S., Kim, M., Ju, T. H. (2013). "Concept and Structure of Parametric Object Breakdown Structure(OBS) for Practical BIM", Kore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4(3), pp. 88-96. 

  14. Kang, M. Y. (2008). "A Study on the Minimum Prevention of Construction Claim by Risk Analysis Model", MS. thesis,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Namseoul University, Korea. 

  15. Kosovac, B., Froese, T., Vanier, D. (2000). "Integrating heterogeneous data representations in model-based AEC/FM systems", CIT 2000, pp. 556-566. 

  16. Kwon, Y. S. (2001). "A Conceptual Model of Construction Information to be Used According to Construction Process", M.S. thesis,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Korea. 

  17. Lee, H. M.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information integrated system to build BIM", PhD thesis,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8. Lee, S. G. (2009). "Metadata-Library based Document Management Prototype System for Urban Renewal Promotion Plan", M.S. thesis,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19. Lin, Y. C. (2014). "Construction 3D BIM-base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2), pp. 186-200. 

  20. Liu, R., and Issa, R. R. A. (2012). "Automatically Updating Maintenance Information from a BIM Database",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2012 

  21. Ma, Z., Wei, Z., and Zhang, X. (2013). "Semi-automatic and specification-compliant cost estimation for tendering of building projects based on IFC data of design model", Automation in Construction, 30, pp. 126-135. 

  22. Noh, G. T. (2011). "Document Management Prototype based on Construction Knowledge Map", M.S. thesis,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23. Park, H. J. (2009). "Tag-Manager based Document Management Prototype System of Building Material Information", M.S. thesis,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24. Park, M. S., Lee, K. W., Lee, H. S. (2009). "Ontology Framework for Construction Knowledge Retrieva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5(12), pp. 175-184. 

  25. Park, K. H. (2011). "A Study on the Effect of Pre-Detecting Errors Using BIM in the Pre-Construction Phase", PhD thesis,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26. Seo, J. H. (2011). "A Study for Analysis on the Level of Claim management System of Construction Firm for Coping with Claim", Ms. thesis,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27. Simoff, S. J., Maher, M. L. (1998). "Ontology-based multimedia data mining for design information retrieval", Congress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pp. 212-22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