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사각형 벽체의 크기에 따른 3차원 주동토압
The 3-Dimensional Active Earth Pressure Depending on the Size of Rectangular Wall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31 no.9, 2015년, pp.69 - 78  

박병석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  이상덕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한한 크기의 벽체에 주동변위가 발생하면 배면지반은 3차원 형태의 쐐기가 형성되고 벽체는 3차원 주동토압이 작용하게 된다. 기존 연구에서는 3차원 쐐기형상을 측정하거나 단일파괴체로 가정하여 3차원 주동토압의 합력을 산정하였다. 또한 이들 연구에서는 파괴형상과 3차원 주동토압의 크기 및 산정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모형실험을 통해 벽체의 크기를 폭(w)과 높이(h) 비인 종횡비(h/w)로 나타내고, 이에 따른 3차원 주동토압의 크기와 분포를 측정하고 기존 3차원 토압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한계상태 벽체변위(s)는 벽체높이(h)의 약 0.12% 크기일 때 발생하였고, 합력의 크기는 Karstedt(1982)와 유사하였다. 벽체의 주동토압분포는 종횡비(h/w)가 1.2이상일 때에는 상부와 하부는 상대적으로 작고, 지표 하부 0.50~0.55h지점에서 가장 큰 포물선 형태로 나타났다. 종횡비(h/w) 0.2~2.7 범위에서 3차원 주동토압의 크기를, 고전토압이론을 이용하여 계산한 2차원 주동토압과 비교하여 종횡비(h/w)에 따른 2차원 토압 대비 3차원 주동토압 감소계수(${\alpha}$)를 구할 수 있는 도표로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f an active displacement occurs on a wall with finite size, the ground behind the wall forms shapes of 3-dimensional wedges and 3-dimensional active earth pressure are applied on the wall. In the previous studies, shapes of 3-dimensional wedges were measured and the resultant of 3-dimensional act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모형실험을 통하여 종횡비(h/w)에 따른 3차원 주동토압의 크기와 주동벽체에서의 토압분포를 측정하고, 기존 3차원 토압 모델들과 비교하였다. 또한 고전토압이론을 이용하여 계산한 2차원 주동토압과 3차원 주동토압의 비를 감소계수(α)로 정의하고, 종횡비(h/w)에 따른 3차원 토압계수 도표로 제안하여 실무에서 실제에 가까운 3차원 토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가설 설정

  • 기존 3차원 토압에 대한 연구는 한정된 길이로 굴착한 슬러리 트랜치 안정성이나 강성구조물(우물통, 수직구)에 초점을 맞춰 진행하였다. 벽체의 주동변위에 의해 배면지반에 발생하는 3차원 쐐기를 단일파괴체로 검토하였으며, 각 연구에서 가정한 하중전이 방법을 고려하여 2차원 토압보다 3차원 토압이 더 작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파괴형상은 모두 단일파괴체로 가정하여 합력만을 산정하고 벽체에 작용되는 토압분포에 대한 제시는 이뤄지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종횡비(h/w)에 따른 3차원 주동토압의 크기와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어떤 실험방식을 적용시켰는가? 종횡비(h/w)에 따른 3차원 주동토압의 크기와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5가지 종횡비(h/w)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샌드커튼(Sand Curtain) 방식으로 시료의 낙하높이를 0.7m로 일정하게 유지하여 균질한 지반을 조성하고, 초기 정지토압을 확인하였다. 정지토압 확인 후 주동변위를 발생시켰으며 수평변위는 급격한 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0.01mm씩 단계별로 일정하게 제어하면서 각 전면판의 토압을 측정하였다. 수평변위는 전면판에 설치된 LVDT로 관리하였다. 실험변수는 Table 3과 같다.
고전토압이론은 어떤 이론을 적용하고 있는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고전토압이론은 파괴상태(즉, 소성상태)에 이른 흙쐐기에 작용하는 힘의 평형조건으로부터 유도한 Coulomb이론과 미소요소에 작용하는 힘의 평형조건으로부터 유도한 Rankine이론을 적용하고 있다.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토압이론을 제시하였으나 대부분의 연구가 2차원 평면변형조건으로 가정하여 연직방향 토압만을 고려하였다.
기존의 3차원 주동토압은 어떤 목적으로 연구되었는가? 기존의 3차원 주동토압은 슬러리월에서 지반 굴착시의 외적안정을 검토할 목적으로 연구되었으며, 3차원 파괴체에 대해 정역학적 평형식을 적용하거나, 모형실험을 통해 실제 파괴형상을 구하고 극한해석법을 활용하여 3차원 토압을 구하였다. Huder(1972)는 평판형 지반요소에 대해 정역학적 평형식을 적용하여 3차원 토압을 제안하였으나 실제의 파괴형상을 고려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Huder, J. (1972), "Stability of Bentonite Slurry Trenches with Some Experiences in Swiss Practice", Proceedings 5th European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Madrid, pp.517-522. 

  2. Prater, E. G. (1973), "Die Gewolbewirkung der Schlitzwande", Der Bauingenieur, Nr. 48, Heft 4, pp.125-131. 

  3. GuBmann, P. and Lutz, W. (1981), "Schlitzstabilitat bei Anstehendem Grundwasser", Geotechnik, (4), pp.70-81. 

  4. Piaskowski, A. and Kowalewski, Z. (1965), "Application of Thixotropic Clay Suspensions for Stability of Vertical Sides of Deep Trenches without Strutting", Proceedings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Montreal, Vol.2, pp. 526-529. 

  5. Karstedt, J. P. (1982), "Untersuchungen Zum Aktiven Raumlichen Erddruck im Rolligem Boden bei Hydrostatischer Stutzung der Erdwand", Veroffentlichungen des Grundbauinstituts der Technischen Universitat Berlin, Heft 10. 

  6. Jacky, J. (1944), "The Coefficient of Earth Pressure at Rest", journal for Society of Hungarian Architects and Engineers October, pp. 355-358. 

  7. Saglamer, A. (1975), "Soil Parameters Affecting Coefficient of Earth Pressure at Rest of Cohesionless Soils", Proc. Istanbul Conf. on Soil Mech. and Found. Engrg., Turkiya Bilimsel ve Teknik Arasfirma Kurumu, Ankara, Torkey, Vol.1, pp.9-16. 

  8. M. D. Bolton (1986), "The Strength and Dilatancy of Sands", Geotechnique, Vol.36, No.1, pp.65-78. 

  9. Robert Szepeshazi (1994), "On the $K_0 factor", Periodica polytechnica ser. Civil. Eng. Vol.38, No.1, pp.127-195. 

  10. Lee, Sang Duk (2014), Soil Mechanics, CIR, pp.401-4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