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동부지역 밭잡초의 생태적 특성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Weed Species on Dry Field in the Eastern Region of Korea 원문보기

Weed & Turfgrass Science, v.4 no.3, 2015년, pp.188 - 198  

조광진 (국립생태원) ,  오영주 ((주)미래환경생태연구소) ,  이욱재 ((주)미래환경생태연구소) ,  최정오 ((주)미래환경생태연구소) ,  손수인 (국립농업과학원) ,  김명현 (국립농업과학원) ,  양동우 (아주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창석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동부지역(강원도, 경상남도, 경상북도)의 밭에서 발생하는 잡초의 분포현황 및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밭내부(IDF), 밭둑(EDF), 경사면(LS)에서 46과 117속 127종 1아종 22변종이 포함된 150분류군이 조사되었고 밭내부에서 83분류군이, 밭둑에서 133분류군이, 경사면에서 10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우점종을 나타내는 상대기여도(rNCD)는 밭내부에서는 쇠비름, 밭둑에서는 바랭이, 경사지에서는 환삼덩굴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과별로는 국화과, 벼과, 마디풀과, 콩과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생활형은 Th-R5-D4-e로 특징지어졌으며 세부 서식처도 동일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교란지수는 작물을 직접적으로 재배하는 밭내부가 83.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밭둑 68.4%, 경사면 62.9% 순이었고 귀화율도 밭내부가 28.9%, 밭둑이 22.6%, 경사면 20.0%로 조사되었다. 밭에서 서식처의 안정성은 밭잡초의 교란지수, 귀화율, 제초관리, 토지이용 강도나 인위적 간섭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weed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 dry field in the Eastern region of Korea. The weed species data were obtained from 12 regions in Gangwon-do and Gyeongsang-do. 150 taxa were recorded from three main distinguish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4) 강원도, 경상도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동부지역에 분포하는 밭을 대상으로 그 서식처를 세분하고 그에 대한 종조성 및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동부지역(강원도, 경상남도, 경상북도)의 밭에서 발생하는 잡초의 분포현황 및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조사결과 밭내부(IDF), 밭둑(EDF), 경사면(LS)에서 46과 117속 127종 1아종 22변종이 포함된 150분류군이 조사되었고 밭내부에서 83분류군이, 밭둑에서 133분류군이, 경사면에서 10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잡초의 발생이라는 측면에서 논보다 밭이 취약한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기후변화는 식물의 지리적 분포, 생물계절 등을 변화시키고 있으며 밭 작물의 생육과 그에 대응한 잡초의 분포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밭에 서식하는 식물종의 현황과 생태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밭은 논에 비해 주변으로부터 일년생식물, 귀화식물 등과 같이 선구식물의 유입이 용이하여 다양한 잡초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밭 잡초의 발생특성을 파악하고 선행적인 조사를 통해서 관리에 대한 효과적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2014년 한국의 경지면적 중 논,밭의 면적은 어떠한가? 2014년 기준으로 한국의 경지면적(1,691,113 ha)은 논 933,615 ha (55.2%), 밭 757,498 ha (44.8%)이며, 이 가운데 동부지역(강원도, 경상도)에는 밭이 총 경지면적의 약 16.0% (270,889 ha)를 차지하고 있고 주로 재배하는 밭작물은 두류, 채소류 등이다(Statistics Korea, 2015).
밭 잡초에 대한 분포조사에서 경북지역에 우점하는 잡초들은 무엇인가? 0% (270,889 ha)를 차지하고 있고 주로 재배하는 밭작물은 두류, 채소류 등이다(Statistics Korea, 2015). 최근의 밭 잡초에 대한 분포조사에서 경북지역에 쇠비름, 바랭이, 속속이풀, 냉이, 명아주, 좀명아주 등의 잡초들이 우점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Kim and Kim, 2015; Kim et al.,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enabdelmoumene, F., Benabadji, N., Benchenafi, S. and Benmensour, D. 2014. Research of the eco-floristic data into the contribution of groups to halophyte, Hammam Boughrara Area West Algeria. E.S.J. 10(29):296-307. 

  2. Chang, Y.H., Kim, C.S. and Youn, K.B. 1990. Weed occurrence in upland crop fields of Korea. Kor. J. Weed Sci. 10:294-304. (In Korean) 

  3. Cho, K.J., Kim, M.H., Kim, M.K., Na, Y.E., Oh, Y.J., et al. 2014.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by habitat types of dry field in Jeolla-do, Korea. Kor. J. Environ Agric. 33(2):86-102. (In Korean) 

  4. Choi, B.S., Song, D.Y., Roh, J.H., Ku, Y.C., Lee, C.W., et al. 2009. Distributional occurrence of weed species on different upland fields in Chungcheong Region. Weed Turf. Sci. 29(2):139-149. (In Korean) 

  5. Hwang, K.S., Won, O.J., Park, S.H., Eom, M.Y., Suh, S.J., et al. 2013. A survey of weeds occurrence on paddy fields in Chungnam Province in Korea. Weed Turf. Sci. 2(4):341-347. (In Korean) 

  6. Kim, D.H., Park, J.M., Kang, S.M., Lee, S.M., Lee, I.Y., et al. 2014.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eeds and vegetation types in Dioscorea oppostifolia Thunb. Field. Weed Turf. Sci. 3(4):269-275. (In Korean) 

  7. Kim, J.W. and Lee, Y.K. 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sci. Seoul, Korea. 

  8. Kim, J.W. and Manyko, Y.I.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East. Kor. J. Ecol. 17(4):391-413. 

  9. Kim, S.K. and Kim, H.Y. 2015. Dominance and distribution of weed occurrence on hot pepper, soybean, maize, and chinese cabbage fields of Gyeongbuk Province. Weed Turf. Sci. 4(2):95-103. (In Korean) 

  10. Kim, S.K., Shin, J.H., Park, S.G. and Kim, S.J. 2015. Dominance and distribution of weed occurrence on onion, garlic, potato and barley fields of Gyeongbuk Province. Weed Turf. Sci. 4(2):77-84. (In Korean) 

  11. KNA (Korea National Arboretum). 2014.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Pochen, Korea. (In Korean) 

  12. Lee, I.Y., Kim, C.S., Lee, J., Han, J.A., Kim, K.H., et al. 2014a. The occurrence of weed species in Coix lacryma-jobi var. mayuen fields. Weed Turf. Sci. 3(2):102-109. (In Korean) 

  13. Lee, I.Y., Kim, C.S., Lee, J., Kim, J., Kim, K.H., et al. 2014b. The occurrence of weed species in cultivated Ligularia fischeri Fields. Weed Turf. Sci. 3(2):95-101. (In Korean) 

  14. Lee, I.Y., Kim, C.S., Lee, J., Song, H.K., Seo, H.A., et al. 2015. The weed flora of Korean mulberry fields. Weed Turf. Sci. 4(2):85-94. (In Korean) 

  15. Lee, T.B. 2003.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16. Lee, W.T. 1996a.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Korea. 

  17. Lee, W.T. 1996b.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Seoul, Korea. 

  18. Numata, M. 1970. Illustrated plant ecology. Ashakura Book Co. Tokyo, Japan. 

  19. Numata, M. 1975. Naturalized plants. Japanese Books. Tokyo, Japan. 

  20. Oh, Y.J., Lee, W.J., Hong, S.H., Lee, Y.H., Na, C.S., et al. 2014. Distribution of weeds on upland crop field in Northern Gyeonggi-do. Weed Turf. Sci. 3(4):276-283. (In Korean) 

  21. Park, J.E., Lee, I.Y., Park, T.S., Im, S.T., Mun, B.C., et al. 2003.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weed flora in upland field in Korea. Kor. J. Weed Sci. 23:277-284. (In Korean) 

  22.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Korea. 

  23.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Univ. Press, London, United Kingdom. 

  24. Song, J.S. 1997. A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weed communities in the cultivated and abandoned fields of Korea. Kor. J. Ecol. 20:191-200. (In Korean) 

  25. Statistics Korea. 2015. Agricultural area statistics 2014. Statistics Korea. Daejeon, Korea. 

  26. Weiner, J. 1990. Agroecology, pp. 235-262. In: Carroll, C.R., Vandermeer, J.H. and Rosset, P.M. (EDs.). Plant Population Ecology in agriculture. Mcgraw-Hill Inc. New York,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