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를 통해 토양 방선균 유래 제초활성물질을 대상으로 제초제로서의 적용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잡초에 대한 발아와 경엽처리에 대한 약효시험 결과, 종자 발아는 100 ppm 수준으로 처리하고 경엽에는 2,000 ppm 수준으로 처리해야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작물에 대한 시험 결과, 오이는 발아억제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벼는 발아와 생육 모두 50% 내외의 저해를 보였다. 그 외의 모든 시험 작물 초종은 처리 농도에 따른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즉 토양방선균으로부터 발굴한 천연제초활성물질은 선택성 제초제로의 개발은 어려워 보이나 비선택성 제초제로의 개발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처리방법에 따른 농도별 시험 결과, 패트리디쉬에서 실험의 경우 모든 잡초종이 농도에 민감히 반응하였으며, $GR_{50}$값은 1-2 ppm 정도를 보였다. 그리고 토양처리 효과에 따른 발아억제 및 생육저해 효과는 쌍떡잎식물에서 보다 민감한 반응을 보였고, 털비름의 경우 1,000 ppm에서도 85%의 생육저해를 보였다. 경엽처리에 따른 생육저해 조사시 2,000 ppm에서 피는 고사하지 않았으나 나머지 초종은 모두 고사하였고, 특히 털비름은 6.25 ppm의 농도에서도 고사하였다. 경엽처리에 따른 대표적인 반응으로 바랭이는 잎의 꼬임현상을 나타냈고, 어저귀는 잎이 변색되었다. 토양처리는 그 효과가 경미하고 일정기간 경과후에 재생되어 방제효과가 부족하였으며, 경엽처리의 경우 피를 제외한 잡초종등이 2,000 ppm에서 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모든 결과를 종합 할 때 화본과잡초 보다 광엽잡초에서 민감한 발아억제 및 생육저해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토양 방선균 유래 제초활성 후보물질은 비선택성 경엽처리제로서의 개발이 상대적으로 유망할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화본과 잡초에 대한 저해 효과가 부족함으로 추후 다른 제제와 혼합함으로써 화본과 잡초도 동시에 방제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erbicidin, new natural herbicidal substances, derived from soil actinomycetes Streptomyces scopuliridis. Several weed species were subjected to examine the germination inhibition and herbicidal activity at the concentration from 100 to 2,000 ppm.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토양 방선균 유래 대사산물 herbicidin을 이용하여 다양한 잡초와 작물을 대상으로 처리 농도에 따른 발아, 생육저해효과 및 안전성 등을 조사하여 새로운 천연물제초제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를 통해 토양 방선균 유래 제초활성물질을 대상으로 제초제로서의 적용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잡초에 대한 발아와 경엽처리에 대한 약효시험 결과, 종자 발아는 100 ppm 수준으로 처리하고 경엽에는 2,000 ppm 수준으로 처리해야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 방선균 유래 대사산물인 KR-001의 주성분은? 토양 방선균 유래 대사산물인 KR-001은 herbicidin A와 B가 주성분인 물질로, 2013년 한국화학연구원의 온실 및 포장조건에서 살초력과 작물 선택성 평가를 통해 비선택성 천연 제초제로서의 가능성이 제시된 바 있다(Lee et al., 2013).
벼와 고추에 herbicidin의 약해시험 결과, 100ppm 동도 처리 시 얼마만큼의 발아억제가 나타났는가? 작물에 대한 발아억제 및 생육저해효과에 대한 herbicidin의 약해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0 ppm 농도 처리시 밀, 상추, 배추는 100%의 발아억제를 보였으며, 벼와 고추는 각각 49.9%와 69.5%의 발아억제를 나타냈다. 반면 오이는 발아억제를 나타내지 않았는데, 이는 두꺼운 종피로 인하여 herbicidin의 흡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방선균이 생산하는 2차 대사산물을 활용한 제초활성 물질은? 방선균이 생산하는 2차 대사산물을 활용한 제초활성 물질로는 S. saganonensis가 생산하는 herbicidin A와 B가 1976년에 보고되었으며(Arai et al., 1976), 이외에도 S. galilaeus가 생산하는 homoalanosine (Fushimi et al., 1989), Kitasatospora phosalacinea가 생산하는 phosalacine (Omura et al., 1984), S. hygroscopicus가 생산하는 hydantocidin 등이 발견되었다 (Nakajima et al.,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rai, M., Haneishi, T., Kitahara, N., Enikita, R. and Kawakubo, K. 1976. Herbicidins A and B, two new antibiotics with herbicidal activity. I. Producing organism and biological activities. J. antibiot. 29(9):863-869. 

  2. Ebert, E., Leist, K.H. and Mayer, D. 1990. Summary of safety evaluation toxicity studies of glufosinate ammonium. Food Chem Toxicol. 28(5):339-49. 

  3. Fushimi, S., Nishikawa, S., Mito, N., Ikemoto, M., Sasaki, M., et al. 1989. Studies on a new herbicidal antibiotic, homoalanosine. J. Antibiot. 42(9):1370-1378. 

  4. Iwai, Y. and Takahashi, T. 1992. Seletion of microbial sources of bioactive compounds. Springer, pp. 281-302. In: Omura, S. (Ed.). The Search for Bioactive Compounds from Microorganisms. Spring-Verlag New York, USA. 

  5. Joseph, B., Sankarganesh, P., Edwin, B.T. and Raj, S.J. 2012. Endophytic streptomycetes from plants with novel green chemistry. Int. J. Biol. Chem. 6(2):42-52. 

  6. Kim, J.C. 2009. 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s of the biological pesticide. Bioin-Special Zine. 10:1-20. (In Korean) 

  7. Kim, W.G., Kim, J.P., Kim, C.J. and You, I.D. 1996. A herbicidal nucleoside compound isolated from Streptomyces tubercidicus ME-9189.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4(1):82-86. (In Korean) 

  8. Lee, B.Y., Kim, J.D., Kim, Y.S., Ko, Y.K., Yon, G.H., et al. 2013. Identification of Streptomyces scopuliridis KR-001 and its herbicidal characteristics. Weed Turf. Sci. 2(1):38-46. (In Korean) 

  9. Lee, H.B., Kim, C.J., Kim, J.S., Hong, K.S. and Cho, K.Y. 2003. A bleaching herbicidal activity of methoxyhygromycin (MHM) produced by an actinomycete strain Streptomyces sp. 8E-12. Lett. Appl. Microbiol. 36(6):387-91. 

  10. Nakajimam, M., Kazuko, I., Takamatsu, Y., Kinoshita, T., Okazaki, T., et al. 1991. Hydantocidin: a new compound with herbicidal activity from Streptomyces hygroscopicus. J. Antibiot. 44(3):293-300. 

  11. Omura, S., Murata, M., Hanaki, H., Hinotozawa, K., Oiwa, R., et al. 1984. Phosalacine, a new herbicidal abtibiotic containing phosphinothricin. fermentation, isolation. biological activity and mechanism of action. J. Antibiot. 37(8):829-835. 

  12. Schatz, A., Bugie, E. and Waksman, S.A. 1944. Streptomycin, a subastance exhibiting antibiotic activity against gram positive and gram negative bacteria. Exp. Biol. Med. 55:66-69. 

  13. Seefeldt, S.S., Jensen, J.E. and Feurst, E.P. 1995. Log-logistic analysis of herbicide dose-response relationships. Weed Tech. 9:218-227. 

  14. Sekizawa, Y. and Takematsu, T. 1982. How to discover new antibiotics for herbicidal use. pp 261-268. In: Miyamoto, J. and Kearney, P.C. (Eds.). Natural products: Proceedings of the 5th International Congress of pesticide chemistry. Pergamon press, Kyoto, Japan. 

  15. Tachibana, K. and Kaneko, K. 1986. Development of a new herbicide, bialaphos. J. of pestic Sci. 11(2):297-304. (In Japanese) 

  16. Umezawa, H. 1982. Genetics, biosyntheses, actions & new substances: Proceedings, a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rends in Antibiotic Research. Japan Antibiotics Research Association. Tokyo, Jap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