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맞춤형 광고 인식에 따른 소비자유형 연구: 효용과 비용을 중심으로
How Consumers Perceive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Consumer Typology and Determining Facto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9, 2015년, pp.105 - 114  

이진명 (한국소비자교육지원센터) ,  나종연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온라인 맞춤형 광고의 효용과 비용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살펴보고, 이에 따라 소비자가 어떻게 유형화되며 유형별 특성은 어떠한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대에서 40대 일반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온라인 맞춤형 광고의 효용과 비용에 대한 인식에 따라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효용지각형', '비용지각형', '효용비용지각형', '무관심형'의 4가지 소비자유형이 분류되었다. 둘째, 소비자유형별로 광고 관련 변수, 프라이버시 관련 변수, 기술 관련 변수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유형을 종속변수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효용비용지각형'은 '효용지각형'에 비해 자기정보통제권 인식이 높고 기술에 대한 불편감이 높으며 연령이 높다는 점에서 차별화되며, '비용지각형'에 비해 OBA 경험과 광고 관여도, 사업자 신뢰가 높고, 기술에 대해 낙관적이며, 여성의 비중이 많다는 점에서 차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1) to identify distinctive consumer groups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 of benefits and costs of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OBA), 2) to explore differences among them, and 3) to investigate antecedent variables that affect the consumers' perception of OBA. Online survey data co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OBA의 효용과 비용에 대한 소비자 인식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소비자유형을 분류한 후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각 소비자유형을 차별화하는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OBA가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게 유용한 서비스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실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OBA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다양한 효용과 비용 요인을 중심으로 탐색적으로 살펴본 데 그 의의가 있다. 하지만 OBA에 대한 소비자의 행동적 반응 및 주요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체계적으로 밝히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 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OBA의 효용과 비용을 모두 높게 지각하기 때문에 곧 OBA에 대해 양면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는 [유형 4]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이후의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OBA에 대한 효용과 비용 인식에 따라 소비자 집단이 어떻게 유형화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소비자의 효용ㆍ비용 인식을 기준으로 군집 분석(K-means cluster)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유형을 가장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는 군집의 수는 4개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의 발전과 인터넷 환경의 변화에 따라 그 중요성과 활용성이 점차 높아지는 온라인 맞춤형 광고에 주목하고, 새로운 기술이 확산되기 위해서는 대상에 대한 소비자의 다각적 인식과 수용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OBA의 효용과 비용 요인에 대한 소비자 인식수준을 살펴보고, 이에 따라 소비자를 유형화한 후 유형별 특성을 단변량 분석 및 다변량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OBA의 효용과 비용 인식에 따른 소비자유형별 특성을 탐색하고, OBA의 효용과 비용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소비자를 유형화하는 것은 세분 시장의 파악과 소비자 특성에 맞는 마케팅 전략의 수립에 있어 매우 유용할 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소비자 반응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이다[5]. 이에 본 연구는 OBA의 효용과 비용에 대한 소비자 인식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소비자유형을 분류한 후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각 소비자유형을 차별화하는 요인들을 파악함으로써, OBA가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게 유용한 서비스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실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라인 맞춤형 광고란 무엇인가? 온라인 맞춤형 광고(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이하 OBA로 지칭함)는 인터넷 이용자에 관한 개인적 혹은 행태적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이용자의 관심, 흥미 등을 파악하고, 그에 따라 이용자에게 적합한 광고를 선별하여 제시하는 광고 방식이다[1]. 기존 광고기법은 매체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특정 매체를 이용하는 모든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광고를 노출시키는 과정에서 과다한 비용이 투입되어야 하고 비용대비 효과도 크지 않다.
개인맞춤성이 OBA를 일반적 광고와 가장 차별화하는 요소로 꼽은 이유는 무엇인가? OBA가 제공하는 효용 중 개인맞춤성(personalization)은 OBA를 일반적 광고와 가장 차별화하는 요소로 꼽힌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자신과 관련성이 높은 광고일수록 해당 광고와 광고 대상 제품에 대해 호의적 태도를 가지며[9], 타깃팅을 통해 개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광고를 제공한다는 점을 OBA의 차별적 효용으로 꼽았다[10].
OBA는 어떤 점에서 유용한 마케팅 도구로 주목받는가? 기존 광고기법은 매체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특정 매체를 이용하는 모든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광고를 노출시키는 과정에서 과다한 비용이 투입되어야 하고 비용대비 효과도 크지 않다. 하지만 OBA는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특정한 광고에 관심을 가질만한 잠재고객층 혹은 목표고객층을 체계적으로 유형화하고 이들에게만 선택적으로 광고를 노출시키기 때문에 광고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며 높은 광고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한 마케팅 도구로 주목받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Federal Trade Commission. "FTC staff report: Self-regulatory principles for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Accessed on February 15, 2009. 

  2. Yan, J., Liu, N., Wang, G., Zhang, W., Jiang, Y., & Chen, Z. "How much can Behavioral Targeting Help Online Advertising?" WWW '09 Proceedings of the 1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rld wide web, pp. 261-270, 2009. 

  3. J. Y. Rha, J. M. Lee, A. Choi, J. Yoon & J. Choi, "Consumers' Willingness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for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 24, No. 1, pp. 137-152, 2014. 

  4. M. H. Shin, "Influence Information Privacy Concerns and Personal Innovation of Smartphone-based Shopping Mall on Usefulness, Ease-of-Use and Satisfa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8. pp. 197-209, 2015. 

  5. H. J. Kim & J. Y. Rha. "Is Smartphone Smart for Everybody? A Study of Smartphone User Typolog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1. pp. 37-47. 2015. 

  6. J. H. Kim, B. K. Sung & S. H. Boo, "The Influence of Usefulness, Convenience & Privacy Threats on Accepting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Focused on Consumer's Psychological Response & Perceived Controllability",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 87, pp. 263-302, 2010. 

  7. Yaveroglu, I. & Donthu, N. "Advertising Repetition and Placement Issues in On-line Environments", Journal of Advertising, Vol. 37, No. 2, pp. 31-44, 2008. 

  8. McDonald A. M. & Cranor L. F. "Americans' attitudes about Internet Behavioral Advertising practices". WPES '10 Proceedings of the 9th annual ACM workshop on Privacy in the electronic society, pp. 63-72, 2010. 

  9. Campbell D. E. & Wright R. T. "Shut-up I don't care: Understanding the role of relevance and interactivity on customer attitudes toward repetitive online advertising".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Vol. 9, No. 1, pp. 62-76, 2008. 

  10. Ur B., Leon P. G., Cranor L. F., Shay R. & Wang Y. "Smart, useful, scary, creepy: perceptions of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SOUPS '12 Proceedings of the Eighth Symposium on Usable Privacy and Security, 2012. 

  11. TRUSTe, "Consumer Research Results: Privacy and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2011. 

  12. Tene, O. & Polenetsky, J. "To Track or Do Not Track: Advancing Transparency and Individual Control in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Minnesota Journal of Law, Science & Technology, Vol. 13, pp. 281-357, 2012. 

  13. I. K. Kwon & S. Y. Lee. "Personalized Service Based on Context Awareness through User Emotional Perception in Mobile Environ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2, pp. 287-292, 2012. 

  14. C. H. Kim, "The Influence of Interactivity and Situational Involvement on Web-based Information as contents into Recall of Web-based Information and Satisfaction on the Information",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Vol. 18, No. 3, pp. 199-227, 2007. 

  15. B. T. Kim & J. M. Kim, "A Study on the Online Advertising Effectiveness of a Product Fit, an Involvement toward the Website and a Click Act",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Vol. 8, No. 3, pp. 55-81, 2003. 

  16. Leon, P., Ur, B., Shay, R., Wang, Y., Balebako, R., & Cranor, L. "Why Johnny can't opt out: a usability evaluation of tools to limit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In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ACM, pp. 589-598, 2012. 

  17. Awad N. F. & Krishnan M. S. "The personalization privacy paradox: An empirical evaluation of information transparency and the willingness to be profiled online for personalization", MIS quarterly, Vol. 30, No. 1, pp. 13-28, 2006. 

  18. K. B. Yoon, "Study on Decision-making and Control of Personal Data Posted on the Internet,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4, No. 4, pp. 227-232, 2014. 

  19. Lam, S. Y., Chiang, J., & Parasuraman, A. "The effects of the dimensions of technology readiness on technology acceptance: An empirical analysis",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Vol. 22, No. 4, pp. 19-39, 2008. 

  20. Ducoffe R. H. "A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on the web",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 36, No. 5, pp. 21-35, 1996. 

  21. K. H. Nam & J. S. Yeo, "A Study on Consumers' Acceptance Process of Mobile Advertising", Journal of Consumer Studies, Vol. 22, No. 4, pp. 1-28, 2011. 

  22. McGrath, J. M., & Mahood, C. "The impact of arousing programming and product involvement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Journal of Current Issues & Research in Advertising, Vol. 26, No. 2, pp. 41-52, 2004. 

  23. C. W. Park, "A Study on the Consumer Factors Influencing the Choice of Channel in the Brokerage Transaction", Journal of Retailing Research, Vol. 10, No. 2, pp. 1-26, 2005. 

  24. J. Y. Nam & J. Y. Rha, "Location Privacy Concern and its impact on consumers' intention to use Location-Based Services",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Vol. 5, No. 2, pp. 81-102, 2009. 

  25. Parasuraman, A. "Technology Readiness Index (TRI) a multiple-item scale to measure readiness to embrace new technologies", Journal of Service Research, Vol. 2, No. 4, pp. 307-320, 2000. 

  26. Cranor, L. F.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Standardized mechanisms for privacy notice and choice", Journal on Telecommunications and High Technology Law, Vol. 10, pp. 273-307, 2012. 

  27. J. Y. Rha, H. G. Koo, H. J. Kim, J. M. Lee, H. R. Lee & H. Y. Lee, "Consumer Information Search Type for Financial Products", Journal of Consumer Studies, Vol. 24, No. 4, pp. 99-124,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