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spergillus flavus Y2H001의 식물생육촉진과 Gibberellin A3의 생산
Plant Growth Promotion and Gibberellin A3 Production by Aspergillus flavus Y2H001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3 no.3, 2015년, pp.200 - 205  

유영현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박종명 (롯데중앙연구소 안전센터 유통안전팀) ,  강상모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박종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이인중 (경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  김종국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상북도 성주군의 농경지에서 자생하는 들깨를 채집하여 이로부터 형태학적으로 상이한 15개의 내생진균을 순수 분리하였다. 이들의 배양여과액을 이용하여 난장이벼의 유묘에 처리하여 식물생장촉진 활성을 조사한 결과, 이들 중 Y2H001균주가 식물생장활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Y2H001균주의 ITS영역 염기서열${\beta}$-tubulin 유전자 염기서열을 사용하여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분자계통학적 분석 및 형태학적 관찰을 통해 Aspergillus flavus로 동정되었다. 또한 A. flavus Y2H001균주의 배양여과액을 GC/MS를 통하여 분석하였고 식물생장을 촉진하는 원인물질로 $GA_3$ (1.954 ng/mL)를 생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was collected from farmland in Seongju-gun. Fifteen endophytic fungal strains with different colony morphologies were isolated from roots of P. frutescens. Waito-c rice seedlings were treated with the concentrated culture filtrates (CF) of endophytic fungi for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들깨의 뿌리로부터 분리된 내생균류가 들깨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난장이벼의 유묘를 대상으로 생장촉진활성을 검정하였다. 생장촉진활성을 나타낸 Y2H001균주의 분자계통분석과 형태학적 관찰을 통해 A.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농경지에 자생하는 들깨의 뿌리로부터 내생균류를 분리 동정하고 식물의 생장촉진 활성을 가지는 균류의 이차대사산물을 분석하여 내생균류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들깨의 뿌리에서 식물의 생육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A. flavus를 분리하여 GA를 생산하는 새로운 균주로서 보고한다. 그리고 농작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생태계의 식물들과 내생균류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과 이들 내생균류가 생산하는 다양한 이차대사산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생장에 관여하며 지베렐린을 생산하는 내생균류로 보고된 균주는 무엇이 있습니까? 대부분의 지베렐린은 생합성 과정의 중간 대사산물로 알려져 있고,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지베렐린은 소수에 불과하며 GA1, GA3, GA4 및 GA7 등이 보고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최근 들어 다양한 환경에 자생하는 식물-내생균류의 공생관계에 대한 연구가 조금씩 이루어지고 있으며, 식물생장에 관여하며 지베렐린을 생산하는 내생균류로는 Arthrinium [11], Aspergillus [12], Cadophora [13], Cladosporium [7], Pae-cilomyces [14], Penicillium [6] 및 Phoma [15]속 등의 균주들이 보고되고 있다.
지베렐린은 무엇입니까? 이들 내생균류는 식물과 공생하면서 다양한 이차대사산물을 생산하며, 특히 식물생육발달에 관여하는 이차대사산물(secondary metablites)로써 식물호르몬으로 알려진 옥신(auxin; IAA)과 아브시스산(abscisic acid; ABA) 및 다양한 종류의 지베렐린(gibberellin; GA)을 생산한다고 보고되고 있다[3, 6, 7]. 지베렐린은 diterpenoid 복합체로서 종자발아, 줄기신장, 개화촉진, 과육성숙, 식물의 생장 등에 관여하며[8-10], 현재까지 136 종류의 지베렐린이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지베렐린은 생합성 과정의 중간 대사산물로 알려져 있고,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지베렐린은 소수에 불과하며 GA1, GA3, GA4 및 GA7 등이 보고되어 있다.
내생균류가 공생관계인 식물에게 주는 이점은 무엇입니까? 내생균류는 식물의 잎, 줄기, 뿌리 등 식물체의 다양한 부위에 분포하고 있다[1]. 특히, 이들은 식물의 정상적인 생육을 어렵게 하는 건조, 고온 및 염분 등의 생장저해조건들에 대해 저항성과 염내성 등의 특성을 부여하며[1-3] 생장촉진, 항균효과 및 면역활성에 영향을 미친다[1, 4, 5]. 이들 내생균류는 식물과 공생하면서 다양한 이차대사산물을 생산하며, 특히 식물생육발달에 관여하는 이차대사산물(secondary metablites)로써 식물호르몬으로 알려진 옥신(auxin; IAA)과 아브시스산(abscisic acid; ABA) 및 다양한 종류의 지베렐린(gibberellin; GA)을 생산한다고 보고되고 있다[3, 6, 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Redman RS, Sheehan KB, Stout RG, Rodriguez RJ, Henson JM. Thermotolerance generated by plant/fungal symbiosis. Science 2002;298:1581. 

  2. Rodriguez RJ, Redman RS, Henson JM. The role of fungal symbioses in the adaptation of plants to high stress environments. Mitigation Adapt Strateg Glob Chang 2004;9:261-72. 

  3. Rodriguez RJ, Henson J, Van Volkenburgh E, Hoy M, Wright L, Beckwith F, Kim YO, Redman RS. Stress tolerance in plants via habitat-adapted symbiosis. ISME J 2008;2:404-16. 

  4. Waller F, Achatz B, Baltruschat H, Fodor J, Becker K, Fischer M, Heier T, Huckelhoven R, Neumann C, von Wettstein D, et al. The endophytic fungus Piriformospora indica reprograms barley to salt-stress tolerance, disease resistance, and higher yield. Proc Natl Acad Sci USA 2005;102:13386-91. 

  5. You YH, Yoon H, Kang SM, Shin JH, Choo YS, Lee IJ, Lee JM, Kim JG. Fungal diversity and plant growth promotion of endophytic fungi from six halophytes in Suncheon Bay. J Microbiol Biotechnol 2012;22:1549-56. 

  6. Khan SA, Hamayun M, Yoon H, Kim HY, Suh SJ, Hwang SK, Kim JM, Lee IJ, Choo YS, Yoon UH, et al. Plant growth promotion and Penicillium citrinum. BMC Microbiol 2008;8:231. 

  7. Hamayun M, Khan SA, Ahmad N, Tang DS, Kang SM, Na CI, Sohn EY, Hwang YH, Shin DH, Lee BH, et al. Cladosporium sphaerospermum as a new plant growth-promoting endophyte from the roots of Glycine max (L.) Merr.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009;25:627-32. 

  8. Hedden P, Phillips AL. Gibberellin metabolism: new insights revealed by the genes. Trends Plant Sci 2000;5:523-30. 

  9. Choi WY, Sin KS, Lee IJ, Rhee IK, Lee JH, Kim JG. Isolation of gibberellin-producing Penicillium spp. from the root of Lindera obtusiloba and Vaccinium koreanum. Kor J Mycol 2004; 32:16-22. 

  10. Rim SO, Lee JH, Choi WY, Hwang SK, Suh SJ, Lee IJ, Rhee IK, Kim JG. Fusarium proliferatum KGL0401 as a new gibberellin-producing fungus. J Microbiol Biotechnol 2005;15:809-14. 

  11. Khan SA, Hamayun M, Kim HY, Yoon HJ, Seo JC, Choo YS, Lee IJ, Kim SD, Rhee IK, Kim JG. A new strain of Arthrinium phaeospermum isolated from Carex kobomugi Ohwi is capable of gibberellin production. Biotechnol Lett 2009;31:283-7. 

  12. You YH, Kwak TW, Kang SM, Lee MC, Kim JG. Aspergillus clavatus Y2H0002 as a new endophytic fungal strain producing gibberellins isolated from Nymphoides peltata in fresh water. Mycobiology 2015;43:87-91. 

  13. You YH, Yoon H, Kang SM, Woo JR, Choo YS, Lee IJ, Shin JH, Kim JG. Cadophora malorum Cs-8-1 as a new fungal strain producing gibberellins isolated from Calystegia soldanella. J Basic Microbiol 2013;53:630-4. 

  14. Khan AL, Hamayun M, Kang SM, Kim YH, Jung HY, Lee JH, Lee IJ. Endophytic fungal association via gibberellins and indole acetic acid can improve plant growth under abiotic stress: an example of Paecilomyces formosus LHL10. BMC Microbiol 2012;12:3. 

  15. Hamayun M, Khan SA, Khan AL, Rehman G, Sohn EY, Shah AA, Kim SK, Joo GJ, Lee IJ. Phoma herbarum as a new gibberellin-producing and plant growth-promoting fungus. J Microbiol Biotechnol 2009;19:1244-9. 

  16. Hasan HA. Gibberellin and auxin production plant root fungi and their biosynthesis under salinity-calcium interaction. Rostl Vyroba 2002;48:101-6. 

  17. Yamada A, Ogura T, Degawa Y, Ohmasa M. Isolation of Tricholoma matsutake and T. bakamatsutake cultures from fieldcollected ectomycorrhizas. Mycoscience 2001;42:43-50. 

  18. You YH, Park JM, Han KS, Park JH, Kim JG. Comparative analysis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dominant hydrophytes in Junam and Dongpan wetland. Kor J Mycol 2015;43: 92-8. 

  19. White TJ, Bruns TD, Lee SB, Taylor JW.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Innis MA, Gelfand DH, Sninsky JJ, editors.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San Diego: Academic Press; 1990. p. 315-22. 

  20. Glass NL, Donaldson GC. Development of primer sets designed for use with the PCR to amplify conserved genes from filamentous ascomycetes. Appl Environ Microbiol 1995;61: 1323-30. 

  21. Tamura K, Stecher G, Peterson D, Filipski A, Kumar S.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6.0. Mol Biol Evol 2013;30:2725-9. 

  22. Visagie CM, Hirooka Y, Tanney JB, Whitfield E, Mwange K, Meijer M, Amend AS, Seifert KA, Samson RA. Aspergillus, Penicillium and Talaromyces isolated from house dust samples collected around the world. Stud Mycol 2014;78:63-139. 

  23. Rim SO, You YH, Yoon H, Kim YE, Lee JH, Kang MS, Kim C, Seu YB, Kim JG. Characterization of gibberellin biosynthetic gene cluster from Fusarium proliferatum. J Microbiol Biotechnol 2013;23:623-9. 

  24. Kang SJ, Kang JS, Chung DH. The effects of mixed culture with Aspergillus flavus, Aspergillus niger and Penicillium griseofulvum on aflatoxin and patulin production. J Food Hyg Saf 2001;16:206-11. 

  25. Park ES, Bae IK, Kim HJ, Lee SE. Novel regulation of aflatoxin B1 biosynthesis in Aspergillus flavus by piperonal. Nat Prod Res 2015;14:1-4. 

  26. Yin HB, Chen CH, Kollanoor-Johny A, Darre MJ, Venkitanarayanan K. Controlling Aspergillus flavus and Aspergillus parasiticus growth and aflatoxin production in poultry feed using carvacrol and trans-cinnamaldehyde. Poult Sci 2015;94:2183-9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