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만과 만성질환이 의료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패널분석
A Panel Study on the Effect of Obesity and the Chronic Diseases on the Health Care Expenditures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5 no.3, 2015년, pp.152 - 161  

김상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정보분석부) ,  사공진 (한양대학교 경제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analyze the determinants of obesity and the chronic diseases using the Korea Health Panel data. Also we analyze the effect of obesity and the chronic diseases on the health care expenditures. Through this study, to reduce the health care expenditures, we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 that migh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현황분석으로 비만에 의한 사회경제적 비용과 만성질환의 현황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비만, 만성질환 및 의료비의 결정요인에 대한 기존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비만, 만성질환 및 의료비의 결정요인에 대한 패널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추정하기로 한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가 주로 수행했듯이 비만과 만성질환, 의료비 결정요인을 독립적으로, 횡단면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지 않고 비만이 만성질환에 영향을 주고 또한 비만과 만성질환이 의료비에 미치는 상호의존관계를 패널연립방정식모형을 설정하여 추정함으로써 그들 간의 동태적인 효과를 분석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의료비 지출에 영향을 주는 횡단적, 동태적 결정요인과 아울러 비만과 만성질환의 결정요인도 추출해 냄으로써 보건의료정책 수립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해 내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보건의료이용실태와 의료비 지출수준 및 건강행태 등에 관한 기초자료인 한국의료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비만 및 만성질환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아울러 비만과 만성질환이 의료비 지출의 주요한 결정요인임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비만과 만성질환의 발생 및 발병을 억제하고 의료비 지출을 절감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본 연구는 보건의료이용실태와 의료비 지출수준 및 건강행태 등에 관한 기초자료인 한국의료패널자료를 이용하여 비만 및 만성질환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아울러 비만과 만성질환이 의료비 지출의 주요한 결정요인임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비만과 만성질환의 발생 및 발병을 억제하고 의료비 지출을 절감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은 각종 질병을 유발함으로써 의료이용을 증가시키고 이는 곧 의료비 지출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는데 그에 대한 근거는? 2011년 비만에 의한 건강보험 급여비 지출은 약 2조7,000억 원으로 2007년 약 1조9,000억 원에 비하여 42% 증가하였으며, 이는 2011년 건강보험 전체 진료비의 약 6%에 해당하는 수준이고 비만 관련 질환의 진료비 중 22.31%를 점하고 있다. 또한 비만 관련 질환의 진료비 지출 규모로는 2011년 12조638억 원으로 2007년 8조 3,145억 원에 비해 45.09% 증가하였다[6]. 이처럼 비만은 각종 질병을 유발함으로써 의료이용을 증가시키고 이는 곧 의료비 지출의 증가로 이어진다.
우리나라의 경우 체질량지수가 얼마 이상이면 비만군에 속하는가? 비만이란 체내에 지방이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쌓인 경우를 말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가 25 이상이면 비만군에 속한다[1]. 우리나라는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국가 중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비만율을 보이고는 있지만, 성인비만 유병률이 1998년 26.
비만이란? 비만이란 체내에 지방이 필요 이상으로 과도하게 쌓인 경우를 말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가 25 이상이면 비만군에 속한다[1]. 우리나라는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국가 중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비만율을 보이고는 있지만, 성인비만 유병률이 1998년 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nowing obesity.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health statistics of 2011.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3. Joo NS, Park YW, Park TS, Shin GH, Park RW, Kim BT. Medical cost and hospital visit by obesity and central obesity. Korean J Obes 2008;17(2):91-98. 

  4.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Press release: joint publication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of 2013 [Internet].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4 [cited 2015 Apr 3]. Available from: http://www.nhis.or.kr/menu/retriveMenuSet.xx?menuIdD4000. 

  5.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If you get fat, life expectancy go down [Internet]. Seoul: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9 [cited 2015 Apr 3]. Available from http://www.kosso.or.kr/general/. 

  6. Lee SM, Yoon YD, Hyeon KR, Lee EM. A study on charges on health-related risk factors for health security financial resources.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12.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chronic disease management system.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8. Jeong BG, Moon OR, Kim NS, Kang JH, Yoon TH, Lee SY, et al. Socioeconomic costs of obesity for Korean adults. Korean J Prev Med 2002;35(1):1-12. 

  9. Jung YH, Ko SJ, Lim HJ. The socioeconomic cost of adolescent obesity. Health Soc Welf Rev 2010;30(1):195-219. DOI: http://dx.doi.org/10.15709/hswr.2010.30.1.195. 

  10. Lee SC. SERI: the socioeconomic threat and opportunity of the obesity. Seoul: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2012. 

  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ational health statistics of 2009.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12. Villanueva T. European nations launch tax attack on unhealthy foods. CMAJ 2011;183:E1229-30. DOI: http://dx.doi.org/10.1503/cmaj.109-4031. 

  13.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Manual: HIRA trend of policy.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12. 

  14. Statistics Korea. Cause of death statistics. Daejeon: Statistics Korea; 2013. 

  15.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Medical expense statistical indicator 2013.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14. 

  16. Oh YH, Oh JJ, Ji YG. Research report: the status of chronic disease and managemen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1. 

  17. Cho YH. A study on the related factors and status of body mass index in rural elderly. J Korean Gerontol Soc 2007;27(4):897-912. 

  18. Jang HS, Choi JH.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age and BMI of male workers in Daegu.Gyeongbuk reg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7;36(3):318-326. DOI: http://dx.doi.org/10.3746/jkfn.2007.36.3.318. 

  19. Hong SH. An empirical analysis of causality relationship between quitting smoking and obesity. Korean J Health Econ Policy 2011;17(1):127-144. 

  20. Park HA, Cho JJ. Economic activities and socioeconomic status of morbidly obese Korean adults. Korean J Obes 2011;20(4):210-218. DOI: http://dx.doi.org/10.7570/kjo.2011.20.4.210. 

  21. Kwon SM, Joo JM, Kim SR. Determinants of health care expenditure per case for outpatient care. Korean J Health Econ Policy 2009;15(2):46-63. 

  22. Cawley J, Meyerhoefer C. The medical care costs of obesity: an instrumental variables approach. J Health Econ 2012;31:219-30. DOI: http://dx.doi.org/10.1016/j.jhealeco.2011.10.003. 

  23. Kim JG. Equity in the delivery of health care in Korea: focused on analysis by age groups. Korean Soc Sec Stud 2011;27(3):91-122. 

  24. Bae MK, Lee WK, Song CH, Lee KM, Jung SP. The factors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 of adults. J Korean Acad Fam Med 1999;20(7):906-916. 

  25. Sohn HS, Chun JH, Lee JT, Jeong KW, Kim SJ, Urm SH, et al. The status of quit-smoking, abstinence and exercise of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in a hospital.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2001;18(3):89-102. 

  26. Son M. The relationship of social class and health behaviors with morbidity in Korea. Korean J Prev Med 2002;35(1):57-64. 

  27. Choi JM, Kim CB. Obesity management and scientific evidence. J Korean Med Assoc 2011;54(3):250-265. DOI: http://dx.doi.org/10.5124/jkma.2011.54.3.250. 

  28. Kim MH, Kim SH. A study on factors causing the burden of medical expenses to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Korean J Soc Welf 2002;48:270-298 . 

  29. Jeong HS, Jeong WS. Factors influencing household expenditure on health care. Korean J Health Econ Policy 2007;13(2):97-117. 

  30. Park HA, Song KY.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individual's health care expenditure. Seoul Univ J Nurs 1994;8(1):41-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