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 관련 문제 작업 자세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rmination of working posture to be analyzed during MSDs evaluation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7 no.3, 2015년, pp.133 - 141  

노안나 (인하대학교 산업공학과) ,  최서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  박동현 (인하대학교 산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posture to be analyzed and tried to suggest guidelines for MSDs(Musculoskeletal Disorders) evaluation based on working posture. A total of 50 jobs from 3 different types of industries(electronics, hospitals, automobiles) were used for MS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동일 작업에 대하여 반복측정횟수에 따라 이 평가자의 ‘카운터 타임’에 대한 결정의 일관성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이제까지 대부분의 근골격계질환 위험도 평가에 있어서 있어온 평가자, 평가형식, 평가대상 작업의 특성을 고려치 않은 평가 방식에서 벗어나 전자업종, 병원 업종, 자동차 업종 등 주요 업종에서 작업자들의 근골격계 관련 위험도 평가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위험도 평가에 대한 올바른 접근 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계질환 관련 대표 공정들에 대한 평가 실험을 통하여 위험도 평가 시 보다 근본적인 문제로 제기 될 수 있는 평가 장면의 선정 방법에 따른 신뢰도에 대한 문제를 파악하고 이에 근거한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골격계질환의 특징은? 근골격계질환은 최근 국내 산업안전보건 분야에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으며 힘, 부적절한 자세, 반복, 압력, 진동과 추위 등 환경적 요인, 작업조직 등의 작업 관련 요인, 개인의 신체조건 및 질병 등의 개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골격계질환은 한 번 발생하면 장기간 병원 치료와 요양을 요하는 등 작업자 개인과 기업 측 모두에게 심각한 손실을 초래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1][2][3].
근골격계질환의 발병 요인은? 근골격계질환은 최근 국내 산업안전보건 분야에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으며 힘, 부적절한 자세, 반복, 압력, 진동과 추위 등 환경적 요인, 작업조직 등의 작업 관련 요인, 개인의 신체조건 및 질병 등의 개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근골격계질환은 한 번 발생하면 장기간 병원 치료와 요양을 요하는 등 작업자 개인과 기업 측 모두에게 심각한 손실을 초래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1][2][3].
평가시 작업 자세 측정을 캡쳐 방법에 따라 두 부분으로 분류하였는데, 무엇인가? 4) 각 실험 수행 시 평가자에게 위험 작업을 직접 캡쳐 하도록 하였으며, 평가 시 작업 자세 측정은 캡쳐 방법에 따라 크게 두 부분으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작업 전체에서 가장 열악하다고 판단되는 작업 자세를 선정하여 캡쳐하고 이에 대한 자세 평가를 수행하도록 하였으며, 두 번째 부분에서는 각 신체 부위별로 가장 열악하다고 판단되는 신체 부위를 개별작업자세로 선정하여 캡쳐하고 자세 평가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는 이 두 가지 방법들이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위험도 평가를 하는데 있어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하였다[Figure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MacLeod D(1999), "The office ergonomics kit", Lewis Publisher, New York. 

  2. Do-Hyung Kim, Kee-Hyun Park(2005), "Comparison of Posture Classification Schemes of OWAS, RULA and REB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0(2):127-132. 

  3. Won-Taek Kwak(2006), "A study on the variation in action levels of various MSD workload evluation tools,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4. Ministry of Labor (2004), "근골격계 질환예방 업무 편람". 노동부고시 제 2000-72호. 

  5. Yun-Keun Lee, Hee-Sok Park, Jung-Keun Park(2010), "Development of a Self-Administered Checklist for Evaluation of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Risk Factors in Construction Industry ",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9(5):811-818. 

  6. KOSHA CODE H-30-2008(2008), 근골격계 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지침 

  7. Kee, D, Karwowski, W(2007), "A comparison of three observational techniques for assessing postural loads in industry",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Safety and Ergonomics, 13(1):3-14. 

  8. Landis JR, Koch GG(1977),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International Biometric Society, 33(1):159-174. 

  9. Jung-Yong Kim,(2004), "Work hazards assessment techniques", Minyoungsa, Seoul. 

  10. Guangyan Li, Peter Buckle(1998), "A Practical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Risks -Quick Exposure Check (QEC)", Proceedings of the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society 42nd Annual Meeting, 2:1351-13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