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은퇴예정자의 은퇴설계가 개인의 삶의 질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심리적 위기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Retirement Planning on Quality of Life and Satisfaction -with Moderating Effects on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Sense of Crisi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10, 2015년, pp.570 - 586  

김선화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벤처경영학과) ,  임왕규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벤처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은퇴를 앞둔 은퇴예정자들의 은퇴설계가 개인의 삶의 질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 심리적 위기감의 조절효과 및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해보고, 은퇴설계가 국가의 사회적비용 절감에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으므로 은퇴설계의 사전교육과 은퇴준비에 대한 관심을 정착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은퇴를 앞둔 직장인을 대상으로, 총 350부의 자료를 배포하여 회수된 335명의 표본이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수 중 주택소유형태와 학력에 따라 총체적 만족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주택소유형태는 임대인 경우, 학력은 높을수록 총체적 만족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만족도에는 휴식으로의 전환이 부(-)의 영향, 출발에 대한 기대가 정(+)의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심리적 위기감의 조절효과는 없고 부정적 인생평가가 독립변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정보에는 휴식으로의 전환과 강요된 좌절은 정(+)의 영향을 미치며, 직업 불만족이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삶의 질 개선에는 은퇴설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심리적 위기감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middle-aged retirement planning on individual's quality of life and overall satisfaction,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and psychological sense of crisis, and the differences of measured variables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tireme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은퇴기는 어떤 시기인가? 은퇴와 가장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은 직업이며, 안정된 직업을 갖는다는 것은 일차적으로 생활에 필요한 소득을 획득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일의 보람을 느끼고 무언가 바람직한 일을 한다는 자존감을 높여주기도 한다[4]. 은퇴기는 자신의 인생을 행복하고 의미있게 마무리하기 위한 인생의 결실기이자 완성기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은퇴로 인한 여러 가지 사회적, 심리적, 신체적 변화를 겪게 되는 시기이다[5].
고령자고용촉진법에 따르면 중년기를 어떻게 정하고 있는가? 국내에서도 역시 다양하게 중년기를 구분하고 있는데, 정태연․전경숙[10]은 중년기를 40~60세 혹은 65세까지 포함하였다. 한편, 중년기는 중․고령자에 대한 관계 법령 및 조사기관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되는데, 「고령자고용촉진법」 에 따르면 50~54세를 ‘준 고령자’로, 55세 이상을 ‘고령자’로 정하고 있으며, 「노인복지법」 에 따르면‘노인’을 65세 이상으로 정하고 있다.
은퇴예정자들의 은퇴설계가 개인의 삶의 질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 심리적 위기감의 조절효과 및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해본 결과는? 조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은퇴를 앞둔 직장인을 대상으로, 총 350부의 자료를 배포하여 회수된 335명의 표본이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수 중 주택소유형태와 학력에 따라 총체적 만족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주택소유형태는 임대인 경우, 학력은 높을수록 총체적 만족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만족도에는 휴식으로의 전환이 부(-)의 영향, 출발에 대한 기대가 정(+)의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심리적 위기감의 조절효과는 없고 부정적 인생평가가 독립변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정보에는 휴식으로의 전환과 강요된 좌절은 정(+)의 영향을 미치며, 직업 불만족이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삶의 질 개선에는 은퇴설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심리적 위기감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김용진, 이기호, 30부터 준비하는 은퇴 후 30년, 비즈니스북, p.278, 2006. 

  2. 배문조, 전귀연, "은퇴에 대한 태도 및 은퇴준비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제42권, 제7호, pp.89-102, 2004. 

  3. M. Pearson and J. P. Martin, "Should we extend the role of private social black professionals", The Gerontologist Vol.29, No.1, pp.32-37, 2004. 

  4. 이영경, 한국노동시장의 구조와 직업안정제도의 기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5. F. J. loyd, S. N. Haynes, E. R. Doll, D. Winemiller, C. Lemsky, T. M. Burgy, and N. Heilman, "Assessing retirement satisfaction and perceptions of retirement experiences", Psychology and Aging, Vol.7, No.4, pp.609-621, 1992. 

  6. M. V. Leonesio, "The economic of retirement: A nontechnical guide", Social Securith Behavioral Development, Vol.16 No.2, pp.131-143, 1996. Elderly(New York: Academy Press, Inc). 

  7. A. L. Gustman and Steinmeier, Social security, pensions and retirement behavior within the family(Wokking Paper No.8772, Cambridge, MA:National Bureau of Econimic Research, 2002. 

  8. 변화순, 이미정, 김지경, 하현정, 중년기 퇴직남성 부부의 갈등과 적응,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9. 이희윤, 박정윤, "기혼중년남성의 가족탄력성이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6권, 제2호, pp.169-192, 2011. 

  10. 정태연, 전경숙, "성인의 발달-무엇이 중요한가?:자신의 삶에 대한 중년기 사람들의 평가", 한국심리학회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70-71, 2007. 

  11. 이상엽, "은퇴예정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심리 적 안녕감과 은퇴 설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교정부학보, 제15권, 제3호, pp.145-176, 2011. 

  12. P. B. Warr and R. Payne, "Experience of strain and pleasure among British adualt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16, pp.1691-1697, 1982. 

  13. A. Ando and F. Modigliani, "The life cycle hypothesis of saving: Aggregate implication and tests", American Economic Review, Vol.53, pp.55-84, 1963. 

  14. R. C. Atchley, "A continuity theory of normal aging", The Gerontologist, Vol.29, No.2, pp.183-190, 1989. 

  15. G. A. Hornstein and S. Wapner, "Models of Experiencing and Adapting to Retirement", Interantional Aging and Human Development, Vol.21, No.4, pp.291-315, 1985. 

  16. S. Gee and J. Baillie, "Happy ever after? An exploration of retirement expectations", Educational Gerontology, Vol.25, No.2, pp.109-128, 1999. 

  17. T. Keith Welle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The birth of Vietnam, 1983. 

  18. 김기찬, 교사의 은퇴후 재사회화 결정 요인, 한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34-52, 2013. 

  19. I. M. Marks and M. Gelder, "Different ages of onset in varieties of phobia",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Vol.123, pp.218-221, 1996. 

  20. 정미경, 이규미, "한국노인 상실감 척도 구성 및 타당도 검증에 관한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치료, 제21권, 제2호, pp.397-416, 2009. 

  21. F. Herzberg, work and the Nature of Man Cleveland, Ohio: word Publishing Co. 1966. 

  22. R. W. Rice, "Organization Work and the Overall Quality of Life", Applied Social Psychlolgy Annual, Vol.5, pp.155-178, 1984. 

  23. L. A. Stewart and A. C. King,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Quality of Life in Older Populations, in R. P. Abeles, et al.(ed.), Aging and Quality of Life(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94. 

  24. 소진광, "삶의 질 개념과 도시 정책적 함의", 지역사회개발연구, 제23권, 제1호, 1998. 

  25. Yue Ware, A Continuation of Tang Gold and Silver Wares, 1991. 

  26. B. C. Liu, Quality of Life Indicators in U.S. Metropolitan Areas:A Statistical Analysis(New York: Praeger), 1976. 

  27. E. Diener and R. A. Emmons, "The Independ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7, 1984. 

  28. D. Evans, "Enhancing Quality of Life in the Population at Large",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33, 1994. 

  29. T. R. Parmenter,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N, M. Bray (ed.),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Mental Retardation(New York: Academic Press), 1994. 

  30. F. M. Andrews, Research on the Quality of Life(Ann Arbor, MI.: University of Michigan,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1986. 

  31. A. Inkels, "Industrialization, Modernization of the Quality of Life",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arative Sociology, Vol.34, 1993. 

  32. 최옥금,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은퇴과정에 관한 연구: 생애주된 일자리와 가교일자리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제31권, 제1호, pp.15-31, 2011. 

  33. 홍혜영, 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인 노화에 미치는 영향, 서울: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34. 주용국, "'노인다움' 노화 지원을 위한 상담.교육 모형의 개발", 상담학연구, 제10권, 제1호, pp.17-42, 2009. 

  35. 변루나, 김영숙, 현택수, "베이비붐 세대 은퇴 후 사회참여 지원정책에 관한 한.일 비교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4호, pp.315-344, 2011. 

  36. 조추용, "노인이 가족에게 기대하는 부양 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Vol.24, pp.71-99, 2004. 

  37. 곽정국, "노인일자리 사업과 지역사회 자원봉사 활동이 노인의 생애주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사회복지지원학회지, 제5권, 제1호, pp.233-249, 2010. 

  38. O. Neuteruk, C. H. Price. "Retired women and volunteering: The good, the bed, and the unrecognized", Journal of Women & Aging, Vol.23, No.2, pp.99-112, 2011. 

  39. 박상복, 전문직 은퇴자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요구 분석: 역량, 학습 및 사회활동 참여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40. 김진영, 장년직장인의 성공적 은퇴설계를 위한 정책과제 : 울산광역시 북구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