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모델링 기반의 풍력발전출력 예측 모델에 관한 연구
Study on Wind Power Prediction model based on Spatial Modeling 원문보기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v.1 no.1, 2015년, pp.163 - 168  

정솔영 (SangMyung University) ,  허진 (SangMyung University) ,  최영도 (KEPCO Research Institut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tegrate high wind generation resources into power grid, it is an essential to predict power outputs of wind generating resources. As wind farm outputs depend on natural wind resources that vary over space and time, spatial modeling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uch as latitude and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다양한 연구들에 의하면 크리깅을 이용한 추정 기법은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신뢰성의 예측 결과 도출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공간모델링은 지구통계학 분야에서 주로 활용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 제약을 받는 풍력발전원의 공간적 상관관계(spatial correlation) 특성을 분석하여 새로운 풍력단지의 출력예측에 공간모델링 기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시계열 기반의 예측 기법과 다른 공간모델링을 통한 풍력발전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지구통계학에서 주로 사용하는 공간모델링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공간모델링의 정의 및 적용방법, 베리오그램의 구현, 텍사스 지역 풍력발전단지의 실증 데이터를 이용한 모델적용을 수행 하였다. 풍력발전단지에 대한 출력 예측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단일 변수(풍력발전단지의 출력) 기반의 정규크리깅 기법을 적용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풍력발전단지의 위치 데이터와 출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공간 모델링에 적용하여, 시계열 기반의 예측 기법의 예측오차를 개선할 수 있는 공간 예측 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구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베리오그램을 계산하고, 공간 모델링의 대표적인 방법인 크리깅 기법을 구현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시계열 기반의 예측 기법과 다른 공간모델링을 통한 풍력발전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지구통계학에서 주로 사용하는 공간모델링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공간모델링의 정의 및 적용방법, 베리오그램의 구현, 텍사스 지역 풍력발전단지의 실증 데이터를 이용한 모델적용을 수행 하였다. 풍력발전단지에 대한 출력 예측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단일 변수(풍력발전단지의 출력) 기반의 정규크리깅 기법을 적용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텍사스 지역 풍력발전단지의 위치 데이터와 출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크리깅을 적용하기 위해 먼저 베리오그램을 통해 공간적인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정규 크리깅을 이용하여 풍력발전단지의 출력을 예측하였다.

가설 설정

  • 베리오그램 분석을 위하여, 먼저 10개 지역에 대한 위치정보(위도 및 경도)와 출력 데이터에 대한 DB를 구성하였다. Fig. 3은 텍사스 10개 지역에 대한 위치를 위도 경도에 따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며, 그림의 10개의 풍력발전단지 중 임의의 한 단지인 WF 3을 새로운 풍력발전 단지로 가정하고, 그 값을 예측하기 위한 베리오그램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간모델링(spatial modeling)의 대표적인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공간예측 기법이란 위도(latitude) 및 경도(longitude) 기반의 위치 데이터와 그 위치에 대한 속성(property)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존의 측정된 자료(measured data)의 상관관계 특성을 이용하여 새로운 지점의 자료 값(target data)을 예측하는 기법이다. 공간모델링(spatial modeling)의 대표적인 방법에는 결정론적 기법기반의 역거리가중치기법(Inverse Distance Distance, IDW)과 확률론적 기법기반의 크리깅(Kriging)이 있다. 크리깅 기법은 오염 물질 농도, 전자 과학 필드, 기공, 기질 형성의 두께 등 지구 과학과 엔지니어링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공간예측 기법은 무엇인가? 공간예측 기법이란 위도(latitude) 및 경도(longitude) 기반의 위치 데이터와 그 위치에 대한 속성(property)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존의 측정된 자료(measured data)의 상관관계 특성을 이용하여 새로운 지점의 자료 값(target data)을 예측하는 기법이다. 공간모델링(spatial modeling)의 대표적인 방법에는 결정론적 기법기반의 역거리가중치기법(Inverse Distance Distance, IDW)과 확률론적 기법기반의 크리깅(Kriging)이 있다.
공간모델링 기법을 이용할 때의 장점은 무엇인가? 공간예측 기법이 여러 연구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반면, 풍력발전의 출력 예측 연구에 공간예측 기법 적용된 연구 사례는 많지 않다. 특히 기존의 풍력발전 출력 예측 기법의 경우, 새로운 풍력발전단지 건설을 위해서는 기상관측소를 세우고 오랜 기간 축적된 풍속 데이터를 확보하여 예측 발전량을 산정해야 하는 단계를 거쳐야 하지만, 공간모델링을 이용한다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오랜기간 축적하지 않더라도 현재의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예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정솔영, 허진, 최영도, 이준신 "풍력발전출력의 상관관계 분석모형을 통한 공간예측 적용방안 연구", 대한전기학회 전력기술부문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15년 4월 

  2. 정솔영, 허진, 최영도, 윤기갑, 이준신, "풍력발전 공간예측을 위한 CDD(Correlation Decay Distance)", 대한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2015년 7월 

  3. 구보경, 허진, "풍력발전 예측모델 분석을 통한 공간기법 적용 방안 연구", 대한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2015년 7월 

  4. 박범준, 허진, "Fast Fourier Transform을 이용한 풍력발전의 출력 분석", 대한전기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2015년 7월 

  5. 구보경, 허진, "국내외 풍력발전 예측 모델 비교 분석", 전력 및 IT 제주컨퍼런스 논문집, 2015년 8월(ISSN 2005-0496 (학술발표 논문집/제30집) 

  6. 박범준, 허진, "PSD를 이용한 풍력발전 출력의 특성 분석", 전력 및 IT 제주컨퍼런스 논문집, 2015년 8월(ISSN 2005-0496 (학술발표 논문집/제30집) 

  7. 김동휘, "인천 송도지역 지층분포 추정을 위한 크리깅과 역거리가중치법의 적용",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6권 1호(2010년 1월), p. 5-19 

  8. 김동휘, "인천 송도국제도시 지층분포추정을 위한 크리깅 방법의 비교연구",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6권 5호(2010년 5월), p. 57-64 

  9. 정연호, "전기비저항 수직탐사 자료의 정규크리깅을 통한 충적층 분포도의 작성", 물리탐사 10권 3호(2007), p.211-218 

  10. 조홍래, 정종철, "강우자료에 대한 공간보간 기법의 적용",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Vol.14, No. 1, pp.29-41, April 2006 

  11. 최종근,"지구통계학", 시그마프레스, p79-p233, 2007 

  12. 김희정, "베리오그램 모델에 따른 크리깅 보간법의 정확성", 2007 

  13. 정솔영, 허진, 최영도, 이준신, "풍력발전출력의 상관관계 분석모형을 통한 공간예측 적용방안 연구", 2015년도 대한전기학회 전력기술부문회 전력계통연구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2015 

  14. 기훈, "통계학 개론", 자유아카데미, p287-317, 2009 

  15. Nynke Hofstra, Mark New, "Short Communication Spatial variability in correlation decay distance and influence on angular-distance weighting interpolation of daily precipitation over Europe",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1872-1880, 2009 

  16. P. J. Woolcock and R. C. Brown, "A review of cleaning technologies for biomass-derived syngas", Biomass and Bioenergy, Vol. 52, 2013, pp. 54-84. 

  17. W. Katzenstein, E. Fertig, and J. Apt, "The variability of interconnected wind plants," Int. J. of Energy Policy, vol. 38, no. 8, pp. 4400-4410,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