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기용매에 의한 실리카 나노입자의 응집조절과 비불소계 자기조립박막을 이용한 초발수 표면 제조
Preparation of Superhydrophobic Surfaces Using Agglomeration Control of Silica Nanoparticles by Organic Solvent and Non-fluoride Self-assembled Monolayers 원문보기

접착 및 계면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v.16 no.3, 2015년, pp.116 - 121  

김태윤 (부산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정진 (부산대학교 고분자공학과) ,  정일두 (부산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발수성 재료로 쓰이고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불소계 실란을 대체하기 위해 octadecyltrichlorosilane (OTS)을 사용하였다. 코팅층의 기계적 접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무기바인더를 산 촉매 하에서 졸-겔 반응에 의해 분산시켜 합성하였다. 합성된 실리카 나노입자는 나노크기의 거칠기를 제공하기 때문에 초소수성을 쉽게 얻기 어려우므로 유기용매에 의한 입자의 응집을 유도하였다. 실리카 나노입자의 적절한 크기 선택에 따라 OTS를 사용해서 표면을 소수화 시킨 후 유기용매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초소수성의 표면을 얻었고 극도의 물 반발 거동이 zero sliding angle과 함께 관찰되었다. 이러한 초소수성은 용매와의 혼합과 상관없이 유전상수가 25보다 작은 값을 가졌으며 용매 내에서 입자의 응집을 통해 유도된 초소수성 표면을 제조하는 것이 저유전상수 값에 대한 지표가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octadecyltrichlorosilane (OTS) has been used to replace fluoro-silanes which are much more expensive than OTS. In order to improve the mechanical and adhesive properties of coating layers, inorganic binders were separately synthesized based on sol-gel reaction in acidic condition. S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실리카 나노 입자를 코팅하는 경우 나노 수준의 표면 거칠기만 형성되기 때문에 초발수 특성 구현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입자응집을 유도할 수 있는 저극성 유기용매를 이용함으로써 추가적인 마이크로 크기의 응집패턴을 형성시키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chloroform 투입으로 실리카 졸/바인더 코팅액의 응집을 유도하고 그에 따른 접촉각 변화를 측정하였다.
  • Al 표면뿐 아니라 glass의 접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입자크기가 각각 다른 실리카를 합성하여 표면 거칠기를 부여하였다. 또한 무기바인더를 제조하여 실리카 입자와 입자사이, 입자와 glass 표면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으며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sol-gel 반응을 이용한 실리카 입자 및 무기바인더 합성을 위해 Sigma-Aldrich사의 TEOS, 메탄올, 암모니아수, formic acid, 그리고 증류수가 사용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2가지 단계의 목적으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겨울철 착빙설로 인한 송전선 오염 및 파손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전선의 재료인 알루미늄에 초발수 코팅을 하여 착빙설 및 오손으로부터 송전선로를 보호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하게 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발수 표면이란? 흔히 물과의 접촉각이 90° 이하일 때를 친수성, 90°이상인 경우를 소수성을 가진다라고 하며 150° 이상의 접촉각과 미끄럼각(sliding angle)이 10° 이하일 때를 초발수 표면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소수적 성질을 나타내는 발수 표면을 구현할 때에는 두 가지 접근방법이 있는데, 낮은 표면에너지를 가지는 소재를 이용하는 화학적 접근법과 소재표면에 표면 거칠기를 부여하여 액체와 소재간의 접촉면을 줄이는 구조적 방법이 있다.
발수 표면을 구현하는 2가지 접근 방법은? 흔히 물과의 접촉각이 90° 이하일 때를 친수성, 90°이상인 경우를 소수성을 가진다라고 하며 150° 이상의 접촉각과 미끄럼각(sliding angle)이 10° 이하일 때를 초발수 표면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소수적 성질을 나타내는 발수 표면을 구현할 때에는 두 가지 접근방법이 있는데, 낮은 표면에너지를 가지는 소재를 이용하는 화학적 접근법과 소재표면에 표면 거칠기를 부여하여 액체와 소재간의 접촉면을 줄이는 구조적 방법이 있다. 화학적 접근법 중 하나로 낮은 표면에너지를 가지는 불소기(fluorine) 소재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초발수성 표면은 무엇에 착안하여 개발되었는가? 초발수성 표면에 대한 이론적 토대는 Wenzel, Cassie 그리고 Baxter에 의해 정립되었으며, 1991년 독일 Bonn 대학의 Wilhemly Barthlott 교수에 의해 연잎의 표면이 초발수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비가 올 때 빗방울이 연 잎에 맺혀 있다가 바람에 의해 물방울이 굴러 떨어지며 먼지와 이물질이 씻겨 내린다는 사실을 밝혀냈다[12-14].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초발수 표면들은 연잎 효과(Lotus effect)라 불리는 것처럼 물방울이 잎 표면에 접촉할 시 물방울로 맺혀 조금만 기울여도 굴러 떨어지는 연꽃잎에서 착안하여 기술적으로 개발되었다. 소금쟁이와 도마뱀의 발바닥, 나비와 잠자리의 날개 등 자연에서 관찰할 수 있으며 이들의 접촉각은 150° 이상의 표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물과의 반발력이 심해 초발수 현상이 나타나며 자가세정 능력을 가지게 된다[15-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 D. Han, C. P. Leo, and S. P. Chai, Applied Surface Science, 258 (2012). 

  2. H. Wang, L. Tang, X. Wu, W. Dai, and Y. Qiu, Applied Surface Science, 253, 8818 (2007). 

  3. A. V. Rao, S. S. Latthe, D. Y. Nadargi, H. Hrashima, and V. Ganesan,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332, 484 (2009). 

  4. Y. K. Kang, E. M. Kwak, and I. Chung,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15, 151 (2014). 

  5. H. S. Lim, KIC News, 5, 11 (2012). 

  6. C. Neinhuis and W. Barthlott,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4, 9 (2003). 

  7. Y. W Jung, J. W. Park, I. Kim, and C. S. Ha,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6, 1 (2005). 

  8. H. M. Shang, Y. W, S. J. Limmer, T. P. Chou, K. Takahashi, and G. Z. Cao, Thin Solid Films, 472, 37 (2007). 

  9. W. Barthlott and C. Neinhuis, Planta, 202, 1 (1997). 

  10. X. F. Gao and L. Jiang, Nature, 432, 36 (2004). 

  11. T. Wagner, C. Neinhuis, and W. Barthlott, Acta Zool., 77, 213 (1996). 

  12. W. Lee, M. K. Jin, W. C. Yoo, and J. K. Lee, Langmuir, 20, 7665 (2004). 

  13. R. N. Wenzel, Ind. Eng. Chem., 28, 988 (1936). 

  14. A. B. D. Cassie and S. Baxter, Trans. Faraday Soc., 40, 546 (1944). 

  15. A. R. Parker and C. R. Lawrence, Nature, 414, 33 (2001). 

  16. R. Wang, K. Hashimoto, A. Fujishima, M. Chikuni, E. Kojima, A. Kitamura, M. Shimohigoshi, and T. Watanabe, Adv. Mater., 10, 135 (1998). 

  17. C. Qian, C. Guanghua, F. Yan, and R. Luquan, J. Bion. Eng., 1, 249 (2004). 

  18. C. Neinhuis and W. Barthlott, Ann. Bot., 79, 667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