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 소비자의 자기 이미지 추구가 의류 소비 가치 및 패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image Pursuit by Female Consumers on Clothing Purchase Value and Fashion Image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9 no.4, 2015년, pp.492 - 504  

윤두아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  이승희 (숙명여자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self-image pursuits by female consumers for clothing purchase values and fashion images as well as the role of age regulations as a measurement invariance. We surveyed 717 women aged 20-60 residing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city. The survey showed th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국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들의 의식적이고 차별화된 자기 이미지 추구가 의류 구매 행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함으로써, 예측 가능한 영역의 감성 마케팅 구축에 기초 데이터를 제공하고, 보다 효과적인 의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실제적인 도움을 제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무의식적 층위에서 유동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자기 이미지를 보완하기 위해 소비자가 뚜렷이 의식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소비 가치’를 중간항으로 설정하여 지향성으로서의 자기 이미지와 소비 가치가 어떤 상관성을 갖는지 살펴보기로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이름’에 근거한 상징계의 ‘자아 이상’으로서 타자의 시선을 적극적으로 의식하고 타자의 욕망을 욕망하는 자기 이미지는 ‘현실 지향 성’(실제적 자아)으로, 상상계의 거울 단계로서 ‘이상적자아’를 지향하면서 나르시시즘적 동일시를 꾀하는 자기 이미지는 ‘이상 지향성’(이상적 자아)으로 각각 정의 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자기 이미지 지향과 이미지 추구를 의복 소비 가치와 연결시키고, 이를 다시 패션 이미지와 관련시켜 그 상관성을 규명하는 데 주력하고자 한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소비자의 이미지 추구와 그에 따른 자기 이미지 관리는 의복 소비 선택과 직결되는 까닭에, 이러한 연구가 패션 마케팅 분야에 기여할 수 있는 측면은 생각보다 클 것으로 판단된다.
  • 따라서 자기 이미지를 중심으로 시장 세분화 전략을 포함하여 의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자기 이미지의 개념적 적용과 측정항목에 대해 보다 과학적이고 정교한 접근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정신분석학적 접근방법을 도입하고자 한다.
  • 이어 표현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매개 변수로 하여, 우아한 패션 이미지와 도회적 패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또한, 이들 세 항목 간의 상호 연관관계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연령을 고연령과 저연령으로 크게 이분하여 연령에 따라 자기 이미지 추구와 소비 가치, 패션 이미지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해 본다.
  • 본 연구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20~60대 여성을 대상으로 자기 이미지 추구가 의류 소비 가치 및 패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이 과정에서 측정동일성으로서 연령의 조절효과를 증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기 이미지 추구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정립하고, 정량적 조사방식을 선택하여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자기 이미지 추구가 의류 소비 가치 및 패션 이미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우선, 자기 이미지 추구가 의류 소비 가치인 표현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한다. 이어 표현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매개 변수로 하여, 우아한 패션 이미지와 도회적 패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자아의 기능과 역할, 그 중에서도 특히 “기대와 상상 속에 나타나는 미래의 행위와 관련된 개인적 준거를 제공”하는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자기 이미지(Self-image)’ 개념으로 확장시키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20~60대 여성을 대상으로 자기 이미지 추구가 의류 소비 가치 및 패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이 과정에서 측정동일성으로서 연령의 조절효과를 증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기 이미지 추구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정립하고, 정량적 조사방식을 선택하여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자기 이미지 추구가 의류 소비 가치 및 패션 이미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더 나아가 자기 이미지 추구가 의류 선호 가치 및 패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측정 동일성으로서 연령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우선, 자기 이미지 추구가 의류 소비 가치인 표현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한다. 이어 표현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매개 변수로 하여, 우아한 패션 이미지와 도회적 패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또한, 이들 세 항목 간의 상호 연관관계도 살펴본다.

가설 설정

  • 가설 H1: 자기 이미지 추구는 의류 소비 가치에 정 (+)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H2: 의류 소비 가치는 패션 이미지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H3: 자기 이미지 추구는 패션 이미지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H4: 자기 이미지 추구, 의류 소비 가치, 패션 이미지의 관계는 둘 이상 집단을 분석하는 연령대 간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자기 이미지 추구, 의류 소비 가치, 그리고 패션 이미지의 관계는 둘 이상의 집단으로 나눈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자기 이미지 추구가 의류 소비 가치 및 패션 이미지 관계에서 연령이 일정한 조절효과를 할 것으로 가정하고, 현실 지향적, 이상 지향적, 표현적 가치, 사회적 가치, 우아한 이미지, 도회적 이미지의 관계는 둘 이상 집단으로 구분된 연령대 간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여 검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비 가치는 어떻게 정의될 수 있는가? 소비 가치는 제품 사용에 대한 내재적 가치로서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판매자들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가치이므로 제품이나 서비스의 획득으로 발생하는 혜택과 그에 따른 희생 혹은 비용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나 판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Zeithaml, 1988). 소비 가치를 더욱 본격적이고 체계적으로 연구했던 Sheth et al.
자기 이미지가 어떤 지향성을 갖는다고 볼 수 있는데, 이를 뒷받침할 근거는 무엇인가? Armstrong(1999/2002)에 따르면 인간의 심적 과정을 통과한 이미지는 일정한 지향적 상태를 지닌다. 그렇기 때문에 자기 이미지 역시 어떤 지향성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라깡(Lacan)은 인간의 심리구조를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을 더욱 발전시킨 라깡(Lacan)은 인간의 심리구조를 3개의 위상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Evans, 1996/2004). 그것은 바로 실재계(The real), 상상계(The imaginary), 상징계(The symbolic)이다. 실재계는 실제로 존재하는 것이지만 인간의 언어로는 표현되기 힘든 영역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Armstrong, M. (2002). The mind-body problem: An opinionated introduction (J. W. Ha, Trans.). Seoul: Chul Hak and Hyun Sil. (Original work published 1999) 

  2. Chang, M. S. (2012). A study of responses to brands based on fashion collabora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3. Cho, Y. J. (2003). Segments of female apparel market based on difference real-self image and ideal-self 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5(5), 503-510. 

  4. Choi, K. A., Ko, M. K., & Chung, S. J. (2011). Middle aged women's buying behavior according to their lifesty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4), 385-395. 

  5. Choi, S. H. (1993). The effect of emotional response to clothing products on attitude form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6. Choo, T. G., & Park, H. H. (2013). The effect of consumption value on attitude and repurchase intention of secondhand fashion goods-The moderating role of self-confidence in fashion coordin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4), 618-630. doi:10.5850/JKSCT.2013.37.4.618 

  7. Chung, I. H., & Rhee, E. Y. (1992). A study on a clothing images: Their constructing factors and evaluative dimens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6(4), 379-391. 

  8. Chung, I. H., & Rhee, E. Y. (1996). Clothing and self-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0(1), 207-217. 

  9. Chung, S. I., & Kim, Y. I. (2014). Fashion image types and design factors for middle-aged Korean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5), 91-107. 

  10. Evans, D. (2004). An introductory dictionary of lacanian psychoanalysis (J. J. Kim, Trans.). Gayang: In-Gan-Sa-Rang. (Original work published 1996) 

  11. Han, E. J. (2008). Individual and avatar images in virtual real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2. Han, H. J., & Kim, M. S. (2002). Relating consumption values to pre-purchase decision making of appare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6), 853-864. 

  13. Han, S. J., Yang, L., & Kim, M. S. (2002). A study on the clothing buying behavior according to lifestyle type of women in their 50's and 60'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0(5), 504-517. 

  14. Jang, E. Y., & Lee, S. J. (1994). A study on a clothing purchase process model using images of clothing merchandi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8(5), 749-764. 

  15. Jeon, Y. S., & Han, M. S. (1998). A study on self-image and clothing-purchasing-behavior of adolescenc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6(1), 94-109. 

  16. Ji, H. J. (2002). Image making. Busan: Pufs. Pufs Publishing House. 

  17. Joo, S. H. (2003). A study of sensibility index through analysis of woman's fashion trend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8. Kim, E. J. (2010). A study on the lifestyle and consumption behavior of unmarried female consumers who have care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9. Kim, H. J. (2008). A study on the appearance involvement and clothing consumption value depending on narcissis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 Kim, H. S., Lee, J. Y., & Lee, Y. H. (2012). Fashion image preference, pursued image and self-image satisfaction of businessmen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2(1), 1-13. doi:10.7233/jksc.2012.62.1.001 

  21. Kim, H. Y., & Kim, Y. I. (2014). analysis of taste of middleaged korean men based on self-image and fashion sty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8), 37-54. 

  22. Kim, H. Y., Hahn, S. W., Hong, Y. J., & Kim, Y. I. (2014). Fashion image classification of senior women based on the fashion style, preference color, and self-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3), 142-154. 

  23. Kim, J. S., & Lee, S. J. (2008). A study on the shopping orientation, related to the cognitive age and the types of lifestyle of the female consumers in the elderly generation (Part I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11), 1726-1738. 

  24. Kim, J. Y., & Lee, K. H. (2012). Effects of brand-self image congruence on attitudes toward children's wear brands-Focus on children's image, actual image and ideal 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11), 1137-1147. doi:10.5850/JKSCT.2012.36.11.1137 

  25. Kim, K. H. (2009). Men's purchase pattern of fashion products according to their pursued self-image and fashion life sty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26. Kim, S. H. (1998). A study on the structure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s and the relation between clothing consumption values and, clothing involvement and fashion leadership.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7. Kim, Y. J., & Lee, K. H. (1997). A study on the visual evaluation about combination of contrary clothing image. Joum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1(8), 1297-1306. 

  28. Koo, J. Y. (2000). The effect of consumer's situational selfimage and brand-image to the brand-choice. Scientific Research, 13(6), 307-328. 

  29. Lee, E. Y. (1998). A study of modern art and fashion trend image: Based on after 1995 fashion trend.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6(3), 88-99. 

  30. Lee, J. J. (1999). Differences in festival image by segmented market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23(1), 228-245. 

  31. Lee, J. S. (2010). The preferred factor on study of visual merchandising of department women clothing bran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32. Lee, M. G. (2002). Self and self-consciousness. Seoul: Sowha. 

  33. Lee, M. H., & Kim, H. J. (1998). Self-image and clothing behavior of college 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38, 323-336. 

  34. Lee, S. H., & Lim, S. J. (2003). A study on market segmentation through clothes imag preferences and benefit (Part 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1), 100-110. 

  35. Lim, K. B. (2007). The influences of consumers' value systems on pursued clothing images and consumption vali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5(5), 810-824. 

  36. Lippmann, W. (1962). Public opinion. New York, NY: The Macmillan Company. 

  37. Min, D. W. (1999). Symbolic consumption of clothing: A qualitative approac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8. Moon, H. K., & Choo, H. J. (2008). The effects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s on ambivalent clothing consuming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2), 1-14. 

  39. Mun, M. A., & Park, H. S. (2000). A study on the self-image and clothing preference image of male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5), 748-759. 

  40. Park, H. H., Ku, Y. S., & Koo, D. M. (2007). The influence of consumer's shopping values on the evaluations of fashion product attributes and brand re-purchase intention-Focused on the moderating role of price lev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2), 236-246. 

  41. Park, H. J., & Yoo, T. S. (2012).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variables among cothes consumption value, need for uniqueness, use information sources related to importance of apparel product attributes and store attribut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8), 802-813. doi:10.5850/JKSCT.2012.36.8.802 

  42. Park, E. J. (1992). Effects of situational variables on clothing purchase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43. Park, J. Y., Choi, I. H., & Jang, K. S. (2001). The influence of self-congruity between brand personality and self-image on attitude toward brand. Asia Marketing Journal, 3(2), 92-114. 

  44. Paik, S. Y. (2000). The effect of adolescent's consumption values on the clothing products evalu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45. Paik, S. Y., & Lee, S. J. (2000). The effect of adolescents consumption values on the clothing products 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n of Costume, 50(6), 59-72. 

  46. Ryoo, S. H., & Kim, B. Y. (2001). The effect of women's selfimage on image evaluation and selection in clothing styl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9(5), 734-746. 

  47. Ryou, E. J. (1997). Clothing evaluation processes based on means-end chain theo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48. Ryu, H. J., & Hong, K. H. (2001). The study of self-image and shopping orientation by fema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8), 1367-1377. 

  49. Samuels, A., Shorter, B., & Plaut, F. (2000). A critical dictionart of jungian analysis (H. S. Min, Trans.). Seoul: Dongmunseon. (Original work published 1986) 

  50. Sheth, J. N., Newman, B. I., & Gross, B. L. (1991). Why we buy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2(2), 159-170. 

  51. Shin, S. Y., & Park, J. O. (1999). The clothing purchase tendency of the department patronage consumers according to shopping orientation,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and self-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3(6), 841-852. 

  52. Shim, J. H. (2006). A study on clothing image evaluation and preference according to self-image classification of the middle-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11), 1608-1617. 

  53. Wee, H. J., & Sohn, H. S. (2001). A study on self-image of the eldery wome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5(2), 117-127. 

  54. Yoon, D. A. (2007). Study on social relationship ego gram of women of age 20-40 and the relationships of image making-self marke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55. Yoon, D. A., & Lee, S. H. (2014). 이미지평가 성격이 의복소비 가치 및 추구감성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mage-evaluation ego on clothing purchase value and pursued sensibility image].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Business, Fall Conference, Korea, 131-132. 

  56. Yoon, D. A., & Lee, S. J. (2009). 20-40대 여성의 대인관계 Ego gram과 이미지메이킹-셀프마케팅의 관계 연구 [A study on relations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egogram of women in their 20s to 40s and image makingself-marking]. Proceedings of the Koreas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Fall Conference, Korea, 170-171. 

  57. Youn, S. N., Park, J. Y., & Lee, K. H. (2011). Social self image and avatar image in the virtual world: Focus on ideal-self image and actual-self 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1(9), 1-14. 

  58. Zeithaml, V. A. (1988). Consumer perceptions of price, quality and value: A means-end model and synthesis of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52(3), 2-22. 

  59. Zizek, S. (2005). The ticklish subject: the absent centre of political ontology (S. M. Lee, Trans.). Seoul: b. (Original work published 199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