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림과학분야의 산림특용자원식물의 연구 - 한국임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Research on Non-Timber Forest Plants - Based on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from 1962 to 2013 -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4 no.3, 2015년, pp.337 - 351  

이현석 (강원대학교 임학과) ,  이재선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안찬훈 (강원대학교 임학과) ,  이정훈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임학회지(1962년의 1권부터 2013년 102권 4호)에 게재된 산림특용자원식물 논문에서 대상식물을 식 음용식물, 약용식물, 사료식물, 조경식물, 섬유식물, 산업용 식물, 밀원식물, 바이오에너지/환경정화 식물, 염료/도료 및 희귀 멸종위기 특산식물로 분류하고, 그 연구내용에 따라 입지환경, 생태, 생리, 번식, 조림(무육과 재배 포함), 유전 육종, 분류(또는 식별), 병 충해와 방제, 동물피해와 방제, 성분분석과 추출물, 식생 또는 자생지 정보, 생물공학, 경영과 경제, 휴양 및 산림치유 및 총설로 구분하였다. 총 2,433편의 논문 중에서 특용자원식물 관련 논문은 611편으로 25.1%를 나타내었다. 연구내용에서 보면, 조림분야의 논문이 14.9%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는 생리, 번식, 분류 및 유전 육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식물의 이용 목적에 따라서는 식 음용으로 이용된 식물이 26.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산업용, 바이오에너지/환경정화, 조경, 약용과 희귀 멸종위기 특산식물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게재된 식물 중 연구빈도가 가장 높은 식물은 포플러류(62편)였으며, 밤나무, 잣나무, 아까시나무, 은행나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분야, 내용 및 대상식물 결과 등을 종합하여 보면, 1) 산림 내 생물자원에 대한 자원적 가치 인식 제고, 2) 산림과학분야 다양한 영역에서의 생산, 경영 및 이용에 관한 연구, 3) 식물정보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타 과학 및 산업 분야의 흐름에 부응 및 4) 전통 식물 발굴 등이 산림특용자원식물 분야의 연구에서 깊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from Volume 1 (1962) to Volume 102 (2013), were investigated for the research trend analysis about forest plants for special purposes, i.e., edible plants, medicinal plants, feed resources, landscape plants, fiber plants, industrial us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국제적 및 국내적으로 식물자원에 대한 인식변화와 학문과 산업분야에서도 산림식물에 대한 연구와 이용의 방향이 바뀌고 있다는 점을 중시하고, 목재의 생산과 이용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 산림과학과 달리 비목재적 임산물(non-timber forest plants, NTFP)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조사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하여, 한국임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의 대상 산림식물과 내용을 검토하여 비교함으로써 이 분야의 연구와 산업에 기본적이며 총합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임학회지는 1962년 1권이 발간되었으며 2013년까지 102권 4호가 발간되었다.
  •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각 연구분야에 대한 충분한 논의와 검토를 통하여 연구가 집중된 주력 분야를 더욱 경쟁력 있게 하는 동시에 취약분야의 연구를 활성화시키는 공동의 노력이 요구된다. 분석대상이 한국임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으로 한정되었기 때문에 분석결과를 산림식물의 비목재적 이용에 관한 총체로 단정하기는 어려우나 산림과학 분야 연구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몇 가지 방향을 본 조사와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표적인 섬유식물에는 무엇이 있는가? 대표적인 섬유식물로는 닥나무와 뽕나무 등을 들 수 있으며, 본 조사에서는 닥나무만을 찾을 수 있었다.
2015년 국가표준식물목록에 포함된 자생식물은 몇 종이 등록되어 있는가? , 2003).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2015년 기준 양치식물, 겉씨식물과 속씨식물에서 자생식물로 179과 917속 4,172종, 재배식물로 224과 1,432속 9,938종과 귀화식물이 40과 175속 321종이 등록되어 있다(Table 1). 재배식물은 자생식물에 비하여 많은 분류군이 등록되어 있으며, 등록된 외래종은 양치식물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생물다양성협약 이전에 생물유전자원은 어떻게 인식되고 이용하였는가?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이 1992년 리우 유엔환경개발회의(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UNCED)에서 채택된 이후로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물자원의 이용에 관한 권리가 중요한 연구 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 협약 이전에는 생물유전자원은 인류 공동의 자원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유전자원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용하고 이득을 취할 수 있었지만(Lee et al., 2012), 이제는 각 국가가 보유한 생물을 에너지나 식량자원처럼 자원으로서 인식하고 가치를 인정하여 보호하려는 노력이 강화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lslev, H., Knudsen, T.R., Byg, A., Kronborg, M., and Grandez, C. 2010. Traditional knowledge, use, and management of Aphandra natalia (Arecaceae) in Amazonian Peru. Economic Botany 64(1): 55-67. 

  2. Barsh, R.L. 2001. Who steals indigenous knowldege?. In: Proceedings of the Annual Meeting (Americ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The American Society of International Law 2001: 153-161. 

  3. Cho, G. T., Kim H. S., Baek H. J., Lee S. Y., Yoon M. S., Ko H. C., and Kim C. K. 2010. Plant genetic resources management system of United Stat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22(4): 376-382. 

  4. Cho, M.Y. 1989. Color Korea illustrated forest plant book. Academy book. pp. 21-472. 

  5. Donovan, D.G., and Puri, R.K. 2004. Learning from traditional knowledge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Penan Benalui and the autecology of Aquilaria in Indonesian Borneo. Ecology and Society 9(3): 3-25. 

  6. Huber, F.K., Ineichen, R., Yang, Y., and Weckerle, C.S. 2010. Livelihood and conservation aspects of non-wood forest product collection in the Shaxi valley, southwest China. Economic Botany 64(3): 189-204. 

  7. Im, H.T., Hong, H.H., Son, H.D., Park, M.S., Nam, B.M., Kwon, B.K., Lee, C.H., and Chung, G.Y. 2011. The usage of regional folk plants in Gyeongsangnam-do.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4(4): 419-429. 

  8. Jeong, H.R., Kwon, H.J., Choi, K., Chung, J.M., and Moon, H.S. 2014. Traditional knowledge on the regional folk plants in inland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7(4): 309-325. 

  9. Kim, E.J. and Jun, E.J. 2012. A study on plans to enhance R&D efficiency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national R&D strategy focusing on agricultural bioresources.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15(2): 277-298. 

  10. Kim, H.J., Lee, D.J., Ku, J.J., Choi, K., Park, K.W., Kang, S.H., Moon, C., and Lee, P.J. 2013. Anti-inflammatory effect of extracts from folk plants in Ulleung island.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6(2): 169-177. 

  11. Kim, J.S., Lee, K.E., and Yu, S.H. 1991. Landscape architecture dendrology. Hyangmunsa 115-443. 

  12. Koo, Y.B., and Yeo, J.K. 2003. The status and prospect of popular research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 Bioenergy 22(2): 1-17. 

  13. Korea Forest Service. 2013. KPKI (Korean Plant Names Index). http://www.nature.go.kr/newkfsweb/kfs/idx/SubIndex.do?orgIdekpni&mnENG_10. (2013. 07. 22) 

  14. Lee, C.B. 1982. Korea illustrated plant book. Hyangmunsa. pp. 1-791. 

  15. Lee, G.G., Kim, J.S., and Jung, H.Y. 2011. Considerations of countermeasure tasks in the fields of forest and forestry in Korea through case study on "the nagoya protocol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 Sharing)".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3): 522-534. 

  16. Lee, H.S., Lee, S.Y., Baek, H.J., Jeong, E.G., Kim, C.K. and Kim, Y.G. 2012. Research papers : Social Science; International trends and implication on access to plant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 sharing (ABS).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24(2): 106-115. 

  17. Lee, Y.M. and Kim, H. 2007. Database model for Korea plant name index.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7(3): 309-321. 

  18. Shin, Y.H., Km, H.J., Jeong, H.S., Ku, J.J., Choi, K., Park, K.W., and Kang, S.H. 2011. The folk plants in southern region of Chungcheongbuk-do,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6(1): 90-102. 

  19. Song, J.M., Yang, H.S., Sun, B.Y., Kim, C.H., Do, S.G., Kim, Y.J., and Song, G. 2012. A study on the plants used as temple food in Jeju island.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5(4): 465-472. 

  20. Yi, J.S., Kim, C.W., Bae, C.H., Song, J.M., Kang, H.J., Hwang, S.I. and Moon, H.K. 2003. A study on researchs of resourceplants for special use or purpose - Based on the article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Forestry -. Journal of Forest Science 19: 85-98. 

  21. Yoon, Y.H., Lee, J., Lee, G.S., Kim, Y.M., Ji, H.S., and Kim, T.H. 2011. Present and prospect of plant genomices in Japan.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23(5): 560-569. 

  22. Yuk, C.S. 1989. Color Korea medicinal illustrated plant book. Academybook. pp. 14-5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