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리산 천연림의 유형 분류 및 천이지수 추정
Classification of Forest Types and Estimation of Succession Index in the Natural Forest of Jirisan(Mt.)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4 no.3, 2015년, pp.368 - 374  

임선미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 ,  김지홍 (강원대학교 산림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리산 일대 천연림에서 점표본법인 사분법에 의해서 수집한 식생자료를 바탕으로 cluster 분석법을 이용하여 산림형을 분류하였다. 연구 대상림은 신갈나무림형, 들메나무-거제수나무림형, 중생혼합림형, 구상나무림형, 서어나무림형, 졸참나무림형, 소나무림형, 굴참나무림형 등 8개의 산림형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8개의 산림형들의 천이 진행 정도를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각 산림형별로 천이지수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서어나무림형의 천이지수가 219.7로 산출되어 가장 높았고, 미미한 차이의 천이지수 218.3이 산출된 중생혼합림이 그 뒤를 이었으며, 소나무림형의 천이지수가 가장 낮았다. 산림형들의 천이지수와 종다양성지수와의 비례적인 관계는 찾기 어려웠다. 가정적으로, 천이지수가 높은 산림형은 극상림에 보다 가까이 근접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추정된 천이지수는 천이 단계를 가늠하는 절대적인 기준으로 삼을 수는 없지만, 산림형들 간에 천이 계열 상의 위치를 비교 평가할 수 있는 참고자료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 the basis of vegetation data by point quarter sampling method, the natural forest of Jirisan(Mt.) was classified into eight forest types by cluster analysis. They were Quercus mogolica forest type, Fraxinus mandshurica - Betula costata forest type, Mixed mesophytic forest type, Abies koreana fo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cluster 분석에 의해서 분류된 지리산 일대 천연림의 산림 유형별로 천이지수(succession index)를 추정하여 산림 유형 간의 천이 진행 정도를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어떤 특정한 산림을 구성하고 있는 수종들은 현존 천이 계열에 출현할 수 있는 생태·형태학적 특성을 지니고 생육하고 있다는 가정 아래, 이미 발표된 해당 산림 유형의 구성 수종별 극상지수(Kim, 1993; Lee, 2011; Kim et al.
  • , 2012)에 수종별로 산출된 상대밀도를 곱하여 표준화하였고, 이 값의 총합계치에 천이 진행 단계와 연관성이 있는 종다양성지수(Odum, 1969)를 곱하여 천이지수로 삼았다(Lim, 2015). 천이지수의 높고 낮음이 천이 계열의 진행 단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산림 유형 간의 천이 진행 정도를 비교 평가하는 것이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표이다.

가설 설정

  • , 2015). 산림 유형의 차이점은 발달 조건의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궁극적으로 생육하고 있는 구성 수종의 차이 때문일 것이다. 산림천이 초기 단계의 산림에는 일찍이 이주하며, 번식력이 강하고, 초기 생장은 빠르지만, 내음성이 약한 선구 수종들의 구성 비율이 높을 것이고, 천이 후기로 갈수록 더디지만 꾸준히 이주하며, 생장이 느리나, 내음성이 강한 극상림에 출현하는 수종들의 구성 비율이 높아지는 바, 이러한 식생 침입 순서는 관찰과 연구를 통하여 알려져 있다(Daubernmire, 1968; Whittaker, 1975; West et al.
  • 본 연구는 cluster 분석에 의해서 분류된 지리산 일대 천연림의 산림 유형별로 천이지수(succession index)를 추정하여 산림 유형 간의 천이 진행 정도를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어떤 특정한 산림을 구성하고 있는 수종들은 현존 천이 계열에 출현할 수 있는 생태·형태학적 특성을 지니고 생육하고 있다는 가정 아래, 이미 발표된 해당 산림 유형의 구성 수종별 극상지수(Kim, 1993; Lee, 2011; Kim et al., 2012)에 수종별로 산출된 상대밀도를 곱하여 표준화하였고, 이 값의 총합계치에 천이 진행 단계와 연관성이 있는 종다양성지수(Odum, 1969)를 곱하여 천이지수로 삼았다(Lim, 2015). 천이지수의 높고 낮음이 천이 계열의 진행 단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산림 유형 간의 천이 진행 정도를 비교 평가하는 것이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표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천이의 단계별 식생 침입 순서는 어떠한가? 산림 유형의 차이점은 발달 조건의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궁극적으로 생육하고 있는 구성 수종의 차이 때문일 것이다. 산림천이 초기 단계의 산림에는 일찍이 이주하며, 번식력이 강하고, 초기 생장은 빠르지만, 내음성이 약한 선구 수종들의 구성 비율이 높을 것이고, 천이 후기로 갈수록 더디지만 꾸준히 이주하며, 생장이 느리나, 내음성이 강한 극상림에 출현하는 수종들의 구성 비율이 높아지는 바, 이러한 식생 침입 순서는 관찰과 연구를 통하여 알려져 있다(Daubernmire, 1968; Whittaker, 1975; West et al., 1981; Shugart, 1984; Kim, 1993).
천이란 무엇인가? 시간이 흐름에 따른 변화는 자연생태계의 기본적인 속성이며, 장기적인 지질학적 변화부터 순간적인 변화까지 수많은 유형이 있을 것이다. 그 중에서도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의 시차적인 발달과 변화를 천이(succession)라고 한다. 천이 과정이 산림 식생에서 이루어지거나 산림 군집에서 일어날 때, 산림천이(forest succession)라고 한다.
산림천이의 요지는 무엇인가? 천이 과정이 산림 식생에서 이루어지거나 산림 군집에서 일어날 때, 산림천이(forest succession)라고 한다. 산림천이의 요지는 한 시점에서의 산림형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점차 다른 산림형으로 변화하여 궁극적으로 주위 환경과 조화를 이룸으로써 변화가 없는 극상림(climax forest)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산림형 변화의 핵심은 현재의 구성 수종이 다른 수종으로 대체되는 현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arbour, M.G. and Billings, W.D. 1988. North American Terrestrial Veget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434. 

  2. Barbour, M.G., Burk, J.H., and Pitts, W.D. 1987. Terrestrial Plant Ecology. pp. 159-167. 

  3. Braun, E.L. 1950. Deciduous Forest of Eastern North America. Blakiston, Philadelphia. pp. 596. 

  4. Brower, J.E. and Zar, J.H.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publishers. Iowa, USA. pp. 194. 

  5. Chung, S.H. 2015.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Cover Types in Natural Forests of the Baekdudaegan, South Korea. Ph.D Dissertation, Department of Forest Managemen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6. Curtis, J.T. and Mcintosh, R.P.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ical Society of America 32(3): 476-498. 

  7. Daubernmire, R. 1968. Plant Communities. Harper & Row. New York. pp. 300. 

  8. European Environment Agency. 2006. European Forest Types; Categories and types for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reporting and policy. EEA Technical Report No 9/2006. pp. 111. 

  9. Everitt. B. 1973. Cluster analysis.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USA. 

  10. Hartigan, J.A. 1975. Clustering algorithms. Jhon Wiley & Sons, Inc. New York, USA. 

  11. Horn H.S. 1971. The Adaptive Geometry of Tre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New Jersey, pp. 144. 

  12. Kim, J.H. 1992. Analysis of successional trend by transition matrix model in the mixed broadleaved-Abies forest of Mt. Odae. Th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2(4): 325-336. 

  13. Kim, J.H. 1993. The Estimation of Climax Index for Broadleaved Tree Species by Analysis of Ecomorphological Properties. The Journal of Forest Science 82(2): 176-187. 

  14. Kim, J.H. 2002. Community Ecological View of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in Korea. pp. 93-104. In. D.W. Lee (ed), Ecology of Korea. Bumwoo Publ. Co., Seoul, Korea. 

  15. Kim, J.H., Chung, S.H., and Lee, J.M. 2012. The Development of Climax Index by Analysis of Eco-morphological Characters for Major Decioduous Tree Species. The Journal of Forest Science 28(4): 199-204. 

  16. Kim, J.H., Jin, G., and Chung, S.H. 2015. Stand development patterns of forest cover types in the natural forests of northern Baekdudaegan in South Korea, Journal of Forest Research, DOI 10.1007/s11676-015-0044-x (Published online). 

  17. Kimmins, J.P. 2004. Forest ecology: A foundation for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ethics in forestry. 3rd edition. Pearson Prentice Hall. New Jersey. pp. 611. 

  18. Korea Forest Service. 2014. The Final Report, The Baekdudaegan Mountains Forest Biodiversity R&D Cente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p. 1147. 

  19. Korean National Parks Authority. 2011. The Research of natural resources for Jirisan Korea National Park. Korea. pp. 146. 

  20. Lee, H.S. 2011. The Estimation of Climax Index for Deciduous Tree Species by Ecomorphological Factors (in Korean). MS Thesis. Department of Forest Management,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p. 66. 

  21. Lee, J.M., Hwang, K.M., and Kim, J.H. 2014.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by Cluster analysis in the Natural Forest of the Southern Region of Baekdudaegan Mountatins. The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03(1): 12-22. 

  22. Lee, K.J., Han, S.S., Kim, J.H., and Kim, Y.S. 1999. Forest Ecology. Hyangmoonsa, Korea. pp. 395. 

  23. Lim, S.M. 2015. The Estimation of Succession Index for Forest Cover Types in the Natural Forest of Jirisan. Thesis, Mater of Agriculture. Department of Forest Managemen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p. 65. 

  24. Ludwig, J.A., and Reynolds, J.F. 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USA. pp. 125-144. 

  25. Odum, E.P. 1969. The strategy of ecosystem development. Science 164: 262-270. 

  26. Odum, E.P. and Barrett, G.W. 2005. Fundamentals of Ecology (5th ed.). Thomson Inc. pp. 598. 

  27. Oliver, C.D. and B.C. Larson, 1996. Forest Stand Dynamics. John Wiley & Sons, Inc. pp. 520. 

  28. Orloci, L. 1967. An agglomerative methods for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ies. Journal of Ecology 55: 193-206. 

  29. Shugart, H.H. 1984. A Theory of Forest Dynamics. The ecological Implication of Forest Succession Models. Springer-Verlag. New York. pp. 278. 

  30. Suh, M.H. and Lee, D.K. 1998. Stand structure and regeneration of Quercus mongolica forest in Kore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06: 27-34. 

  31. The Korean Associat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1993. A Report on the Scientific Survey of the northern Part of Mt. Chiri (1992). The Report of the KACN, No. 31. pp. 240. 

  32. Vankat J.L. 1979. The Natural Vegetation of North America.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261. 

  33. Wells P.V. 1976. A climax index for broadlaf forest; an Ndimentional ecomorphological models of succession. Central Hardwood Conference Proceeding, pp. 131-176. 

  34. West, D.C., Shugart, H.H., and Botkin, D.B. (ed.). 1981. Forest Succession; Concept and Application. Springer-Verlag. New York. pp. 517. 

  35. Whittaker, R.H. 1975. Communities and Ecosystem. 2nd ed. Macmillan. New York. pp. 385. 

  36. Willianson, M., K.H. Gaston, and W.M. Lonsdale. 2001. The species-area relationship does not have an asymptote!. Journal of Biogeography 28: 827-830. 

  37. Yang, H.M., Kang. S.K., and Kim. J.H. 2001. Selection of desirable species and estimation of composition ratio in a natural deciduous forest. The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0: 465-47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