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분구조 조정에 의한 평창지역 천연 활엽수림의 이단림 조성 방안
Method of Establishing Two-Storied Forests in Natural Deciduous Forests by Stand Structure Adjustment in Pyeongchang Area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4 no.3, 2015년, pp.427 - 433  

성주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이영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박고은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  신만용 (국민대학교 산림환경시스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지역의 천연 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임분구조 조정에 의한 이단림 조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단림 시범지를 선정한 후 $30m{\times}30m$의 고정표본점을 3반복으로 설치하고 정밀 임분조사를 실시하였다. 임분조사 자료에 근거하여 이단림 시범지의 시업전 임분통계량과 임분구조를 추정하고, 이단작업의 특성에 맞는 시업방안에 따라 시업후의 임분통계량과 임분구조의 변화를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해 예측하였다. 시업전의 임분 현황을 분석한 결과 목표임분형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임분구조의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해 예측한 시업후의 임분 현황을 보면 시업후에도 목표임분형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시업후 상층목의 임목본수는 ha당 170본으로 이단림의 기준에 부합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하층의 임목본수는 이단림의 기준과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교목치수의 진계를 통해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수하식재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시업후의 임분 현황을 고려하면 이단림 상층목의 목표 임목축적은 ha당 $150m^3$가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를 달성하려면 20년 정도가 소요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단림 조성을 위해서는 앞으로 5년 간격의 임분조사를 통해 시간 경과에 따른 임분구조의 변화를 파악하고, 필요할 경우 이단림 유도를 위한 추가적인 조치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method of establishing two-storied forests by the adjustment of stand structures in natural deciduous forests of Pyeongchang area. Three permanent sampling plots of 0.09 ha were established in study site and some tree variables were measured in each sampling p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군 가리왕산 일대의 국유림경영 시범계획구에 분포하는 천연 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이단림 조성을 위한 임분구조 조정방안을 제시하여 산림 생태 계경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단림 시범지를 선정한 후, 시범지 내에 30 m×30 m의 고정표본점을 3반복으로 설치하고 정밀 임분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지역 천연 활엽수림을 대상으로 임분구조 조정을 통해 이단림 조성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이단림 시범지를 조성하고 정밀 임분조사 자료를 통해 얻어진 자료와 이단림 시업방안에 근거한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시업전후의 임분통계량과 임분구조를 추정하여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단림을 조성하기 위해 시업후 임분통 계량, 직경생장률, 수고곡선식, 그리고 교목치수 분포 현황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목표임분형을 설정하고 목표임 분형 달성을 위한 임분구조 조정 방안을 수립하였다. 목표임분형의 설정에서는 이단림으로 조성되었을 경우 보유해야 할 상층과 하층의 임목본수 및 임목축적 그리고 이단림 조성에 소요되는 기간인 정리기를 제시하였다.
  • 목표임분형의 설정에서는 이단림으로 조성되었을 경우 보유해야 할 상층과 하층의 임목본수 및 임목축적 그리고 이단림 조성에 소요되는 기간인 정리기를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설정된 목표임분형을 달성하기 위해 해당 임분의 추가적인 조사와 동일한 모니터링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현재의 임분구조를 조정하여 이단림으로 유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단작업이란? 이단작업은 임분의 수직구조에서 중층에 분포하는 임목들을 인위적으로 제거하여 상층과 하층의 두 개의 층으로 분리하는 작업방법이다. 이단림의 임분구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직구조를 상층과 하층으로 분리한 후, 상층의 본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Eastern Regional Office of Korea Forest Service, 2003).
천연 활엽수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산림은 자원으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에 대한 재평가를 통해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산림경영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해 목재생산 중심의 단순 동령림보다는 수종구성이 다양하고 자원으로서 잠재적 가치가 높은 천연 활엽수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996). 하지만 우리나라 산림의 27%를 차지하고 있는 천연 활엽수림의 경우 그동안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임분밀도가 높고 생장이 저조하며 수형급도 불량한 상태여서 적절한 관리체계의 구축이 필요한 상태이다(Yim, 2001).
이단림에서 상층부 임목이 갖는 장점은 무엇인가? 이단림으로 조성된 임분은 상층 임목을 수확한 후에도 하층의 후계림이 존재하기 때문에 개벌에 의한 피해를 줄일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산림 생태계경영에 부합하는 작업방법이다. 이와 동시에 상층부 임목은 충분한 생육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고급 대경재의 생산에 유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천연 활엽수림을 이단림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작업 전후 및 시간 경과에 따른 임분 구조 변화 양상을 구명하는 연구가 우선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합리적 시업 방안의 도출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rbatzis, A.A. and Burkhart, H.E. 1992. An evaluation of sampling methods and model forms for estimating height-diameter relationships in loblolly pine plantation. Forest Science 38(1): 192-198. 

  2. Aubry, K.B., Halpern, C.B., and Maguire, D.A. 2004. Ecological effects of variable retention harvests in the north-western United States: the DEMO study. Forest Snow Landscape Research 78(1): 119-137. 

  3. Baek, J.H. 2005.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suitable stand density by silivicultural systems over time for natural deciduous forests in Pyungchang area.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pp. 63. 

  4. Eastern Regional Office of Korea Forest Service. 2002. Practical application research on eco-friendly silvicultural techniques and development of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techniques in natural deciduous forests (III). pp. 202. 

  5. Eastern Regional Office of Korea Forest Service. 2003. Practical application research on eco-friendly silvicultural techniques and development of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techniques in natural deciduous forests (IV). pp. 206. 

  6. Eastern Regional Office of Korea Forest Service. 2009. Practical application research on eco-friendly silvicultural techniques and development of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techniques in natural deciduous forests (x). pp. 337. 

  7. Evans, J. 1997. Siviculture of hardwoods in Great Britain. Forestry 70(4): 309-314. 

  8. Forestry Tasmania. 2009. A new silviculture for Tasmania's public forests: a review of the variable retention program. pp. 107. 

  9. Kim, G.D. 1992. Forest measurements. Hyangmum Book Co. pp. 275. 

  10.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996. National resource inventory reports for deciduous species. KFRI Research Report No. 122. pp. 508. 

  11.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4. Development of practical management methods for national forests applied by different silvicultural systems in Mt. Gariwang(2). 109p. 

  12. Korea Forest Service. 1990. A forest practice-university cooperative study on the modernization of national forest management (I). pp. 5-10. 

  13. Korea Forest Service. 1998. A forest practice-university cooperative study on the modernization of national forest management (IX). pp. 427. 

  14. Korea Forest Service. 1999. A forest practice-university cooperative study on the modernization of national forest management (X). pp. 500. 

  15. Mitchell, S.J. and Beese, W.J. 2002. The retention system: reconciling variable retention with the principles of silvicultural systems. The Forestry Chronicle 78(3): 397-403. 

  16. Oliver, C.D. and Larson, B.C. 1990. Forest stand dynamics. McGraw-Hill, Inc. pp. 467. 

  17. Prodan, M. 1965. Holzmesslehre. J.D. Sauerlander's Verlag, Frankfurt am Main, pp. 644. 

  18. Shin, M.Y. and Oh, J.S. 1999. Development of a computer program for stand spatial structure analysis. The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8(3): 389-399. 

  19. Wolf, A. 2005. Fifty year record of change in tree spatial patterns within a mixed deciduous forest.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15: 212-223. 

  20. Yim, J.S. 2001 A study on the environment-friendly management methods by site types for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n Pyungchang in Gangwon Province.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pp. 6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