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용객 모니터링을 통한 홍릉숲 관리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Plan of Hongneung Forest Based on Visitor Monitoring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104 no.3, 2015년, pp.443 - 453  

최가영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김통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922년 임업시험장으로 조성된 홍릉숲은 한국 임업연구의 요람이면서 도시민에게 휴식의 장소를 제공하는 도시숲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홍릉숲을 대상으로 이용객 모니터링을 통해 효율적인 홍릉숲 관리방안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위해 주말 홍릉숲을 방문한 7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이용객 연령대는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으며 홍릉숲 인근지역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았다. 또한 휴양목적으로 방문하는 비중이 높았으며, 홍릉숲을 시험림보다는 쉼터로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용객들은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향후 홍릉숲 보전을 위한 적극 홍보와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홍릉숲의 관리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홍릉숲이 시험림과 도시숲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서는 숲 해설 프로그램의 확대와 홍보를 통해 홍릉숲의 가치와 중요성을 더욱 적극적으로 알려 이용객들의 인식을 제고하여야 한다. 둘째, 주말 이용객을 대상으로 모니터링 수행을 통해 수요를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용객 관리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홍릉숲의 엄격한 자원보전과 만족스러운 휴양기회 제공이라는 사회적 수요를 조화롭게 달성할 수 있도록 이용객 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자원과 서비스 관리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1922, Hongneung forest was established to support the study of Korean forestry. Nowadays the forest also plays a role as urban forest which provides a green space for local people. This paper proposes the better management plan of Hongneung forest based on visitor monitoring. On-site surveys wi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홍릉숲 이용객 모니터링을 수행하여보다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홍릉숲은 현재 자연자원 보전이라는 시험연구림으로서의 기능과 도시민의 녹지이용이라는 사회적 요구를 동시에 충족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 본 연구는 그동안 시험연구림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던 홍릉숲을 도시숲이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하여 이용객의 특성과 이용행태 및 만족도를 분석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홍릉숲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3년도 정책목표인 1인당 생활권 도시숲 면적 확대를 달성하기 위해 세운 도시림 기본계획의 5대 전략은 무엇인가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산림청에서는 2013년 산림복지종합계획(KFS, 2013a)을 통해 1인당 생활권 도시숲 면적 확대를 주요 정책 목표 중 하나로 설정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2013년도 개정된 도시림 기본계획에는 녹색네트워크 구축, 녹색공간 확대, 녹색공간의 질 향상, 도시녹화운동 전개, 녹색공간의 조성이용관리를 위한 기반 구축 등의 5대 전략이 수립되었다. 특히 녹색공간 확대에 있어서는 녹색쌈지숲, 생활환경숲, 산림공원 조성,랜드마크형 도시숲 조성 이외에도 도시 내 국유림을 도시 숲으로 조성하여 원거리 휴양시설을 찾을 수 없는 국민들에게 녹색쉼터로 제공하고자 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KFS,2013b).
홍릉숲은 어떤 장소인가요? 홍릉숲은 1922년 조성된 우리나라 최초의 시험림으로서 총 157과 2,035종의 식물유전자원을 소장하고 있으며,다양한 임업연구가 수행되고 있는 임업연구의 요람이자 서울시 외곽의 거대 녹지를 연결시켜주는 징검다리 녹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KFRI, 2014). 1993년부터는 대국민 서비스의 일환으로 평일 사전예약을 통해 생태학습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주말에는 일반인에게 개방되어 환경교육 및 휴양 및 여가의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주말 개방은 1993년 일요일 개방을 시작으로 2008년부터는 토요일 개방까지 확대되었다.
도시 내 녹색공간의 이점은 무엇인가요? 6%가 도시에 거주하고 있어 일상생활에서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도시근교 생활권을 중심으로 한 ‘생활권 녹지공간’ 및 ‘녹색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시 내 녹색공간은 기후변화 완화, 대기의 질적 개선,소음저감, 열섬현상 저감 등 도시가 가진 환경부하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다 줄 뿐만 아니라 심미적 환경 개선, 정서안정 등 사회경제적 측면에 있어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KFRI, 2012). 이처럼 도시숲은 도시 내 대표적인 녹색공간으로서 그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tauri, Jose Antonio, Miguel Angel Bravo, and Asuncion Ruiz. 2000. Visitors' landscape preferences as a tool for management of recreational use in natural areas: A case study in Sierra de Guadarrama (Madrid, Spain). Landscape Research 25(1): 49-62. 

  2. Chhetri, Prem, Colin Arrowsmith, and Mervyn Jackson. 2004. Determining hiking experiences in nature-based tourist destinations. Tourism Management 25(1): 31-43. 

  3. Glyptis, S. 1991. Countryside Recreation. Longman in association with the Institute of Leisure and Amenity Management, Harlow, Essex. 

  4. Gomez-Limon, F. Javier and JoseV de Lucio. 1995. Recreational activities and loss of diversity in grasslands in Alta Manzanares Natural Park, Spain. Biological Conservation 74(2): 99-105. 

  5. Han, S.Y., Lee, S.H., and Kim, Y.P., 2010. A study on management activation of private recreational forest.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4(2): 25-31. 

  6. Hammitt, William E., David N. Cole, and Christopher A. Monz. 2015. Wildland recreation: ecology and management. John Wiley & Sons. 

  7. Hammitt, William E., and Michael E. Patterson. 1993. Use Patterns and Solitude Preferences of Shelter Campers in Great Smoky Mountains National, USA.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38(1): 43-53. 

  8. Hur, G.T. and Kim, D.H. 2004. A study on the visiting satisfaction and improvable measure of winter season's visitors in the recreation forest under the Northern National Forest Office. Korean Journal of Forest Economics 12(2): 48-57. 

  9. Jeon, M. and Sim, K.W. 2010. The effects of recreation forest visitors' satisfaction on loyalty: A case of 33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9(8): 961-969. 

  10. Jubenville, A. and Twight, B.W. 1993. Hazard management. Outdoor recreation management. State College. pp. 277-288. 

  11. Kang, K.R. 2012. A study on efficient operation of recreation forests in Chungbuk basrd on level of user's satisfactio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6(1): 1-11. 

  12. Kang, M.H. and Kim, S.I. 1997. Park managers' perceptions of national parks users' visit motivation and attitudes toward management policie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0): 88-89. 

  13. Kim, B.S. 2011. IPA analysis on the users' attitude of national recreation forest service program: Forest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ulture program.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20(6): 721-728. 

  14. Kim, C.W., Yoon, H.J., and Lee, T.S. 2007.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national recreation forest: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1(4): 101-119. 

  15. Kim, I.J. 2008. A study on the selection attributes of natural recreation fore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Korea. 

  16. Kim, K.D., Han, S.Y., and Choi, K. 2004. The analysis of visitors' revisit factors in recreational forest.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8(2): 47-53. 

  17. KFRI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2. Carbon sink, Urban Forest. pp.220. 

  18. KFRI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3. Valuation of non-market forest resources. pp.96. 

  19. KFRI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4. Long-term plan for development of Hongneung forest. pp.91. 

  20. KFS (Korea Forest Service). 2011. Plan for urban forest 2013-2017. pp.74. 

  21. KFS (Korea Forest Service). 2013a. Plan for forest welfare. pp. 78. 

  22. KFS (Korea Forest Service). 2013b. Plan for urban forest(modified). pp.74. 

  23. KFS (Korea Forest Service). 2014.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pp.496. 

  24. Lee, C.M. and Kwon, T.S. 2012. Characterization of the butterfly community of a fragmented urban forest, Hongneung Forest.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51(4): 317-323. 

  25. Lee, Y.H. and Kim, K.W. 2011. Visitors' behavior and needs of national recreational fores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eople Plants Environment 14(4): 245-252. 

  26. Marion, Jeffrey L. and Scott E. Reid. Minimising visitor impacts to protected areas: The efficacy of low impact education programmes. Journal of Sustainable Tourism 15(1): 5-27. 

  27. Noh, J.H. and Han, E.J. 2012. Market segmentation of recreation forest visitors by choice attributes. Journal of Tourism & Leisure 24(4): 421-440. 

  28. Park, W.K., Byun, W.H., Kim, G.W., and Yoon, Y.C. 2008. A comparative study of representative interviews and on-site interviews for visiting patterns in urban forests. Korean Forest Society 2008(0): 23-25. 

  29. Petrosillo, I., Zurlini G, Corliano M.E., Zaccarelli N., and Dadamo, M. 2007. Tourist perception of recreational environment and management in a marine protected are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9(1): 29-37. 

  30. Pierskalla, Chad, D., Dorothy H. Anderson, and David W. Lime. 2000. Examining leisure event opportunities of Isle Royale National Park: Bridging the gap between social process and spatial form. Wilderness science in a time of change conference. Vol. 5. 

  31. Pouta, Eija, Tuija Sievanen, and Marjo Neuvonen. 2004. Profiling recreational users of national parks, national hiking areas and wilderness areas in Finland. Policies, methods and tools for visitor management.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visitor flows in recreational and protected areas. 

  32. Rauhala, Jere, Joel Erkkonen, and Heikki Iisalo. 2002. Standardisation of visitor counting-Experiences from Finland.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visitor flows in recreational and protected areas. Conference proceedings. Institute for Landscape Architecture and Landscape Management. Vienna. 

  33. Schmitz, Maria F., Itziar De Aranzabal, and Francisco D. Pineda. 2007. Spatial analysis of visitor preferences in the outdoor recreational niche of Mediterranean cultural landscapes. Environmental Conservation 34(4): 300-312. 

  34. UNEP(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1995. Environmental Codes of Conduct for Tourism. UNEP/IE, Technical Report No. 29. 

  35. Virden, Randy J., and Richard Schreyer. 1988. Recreation specialization as an indicator of environmental preference. Environment and Behavior 20(6): 721-739. 

  36. Yeon, P.S. and Shin, W.S. 2001. Measuring outdoor recreational motivations of national park and recreational forest users. Korean Journal for Forest Recreation 5(3): 59-66. 

  37. Yoon, J.H. and Kim, S.J. 2003. Behavior of the forest recreation users. Journal of Tourism Sciences 27(3): 61-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