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대생의 성격에 따른 구두 스타일의 감성과 선호도
Sensibility and Preference of Shoes Style According to Personal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8 no.3, 2015년, pp.81 - 92  

정소연 (인하대학교 의류학과) ,  이인희 (인하대학교 의류학과) ,  김지수 (인하대학교 의류학과) ,  나영주 (인하대학교 의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성격 유형과 연령별, 유행혁신성에 따른 구두 스타일 선호와 감성에 대해 연구한 것으로 실증적 연구를 통해 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편의표본 추출방식의 설문조사를 통한 연구를 하였으며 여대생 22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구두 스타일을 선정하기 위하여 구두 종류를 사전적 분류와 인터넷 검색을 이용하여 현 여대생들에게 착용이 적합한 총 8개 구두를 선정하였다. 성격유형은 MBTI 간략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감성척도는 선행연구를 통해 검증된 감성척도를 수정 보완하였으며 SPSS통계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구두 스타일에 따라 선호와 감성에는 유의한 차가 있었으며 대응분석 결과, 구두의 감성은 4~5가지로 묶일 수 있었다. 둘째, 여대생의 성격유형별로 몇 가지 구두에서 선호와 감성의 유의한 차가 있었다. 셋째, 유행 혁신성에 따른 구두의 선호와 감성의 유의한 차가 있었으며 구매횟수에 따른 구두의 선호도에 유의한 차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소비자의 특성 및 유행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구두시장에서 생산자, 소비자 모두에게 유용한 효과적인 정보 자료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motion and preference for shoes styles through empirical research, in accordance with personality type, age and fashion innovativeness of female students. This study was a survey research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of 224 college students. In ord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성격유형에 따른 구두스타일 선호와 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며 본 연구에서 조사하고자 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구두스타일에 따라 여대생은 어떤 감성과 선호도를 갖는지, 여대생의 성격 유형에 따라 구두스타일 선호와 감성은 어떻게 다른지, 마지막으로 여대생의 유행혁신성, 연령, 구매횟수 등에 따라 구두스타일의 선호와 감성은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성격유형에 따른 구두스타일 선호와 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며 본 연구에서 조사하고자 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구두스타일에 따라 여대생은 어떤 감성과 선호도를 갖는지, 여대생의 성격 유형에 따라 구두스타일 선호와 감성은 어떻게 다른지, 마지막으로 여대생의 유행혁신성, 연령, 구매횟수 등에 따라 구두스타일의 선호와 감성은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현재까지 성격유형에 따라서 구두 선호도가 다를 것을 조사하는 연구는 전무하므로 여대생들의 성격유형과 구두 스타일 선호도 및 감성의 상관성을 밝힐 필요가 있겠다. 유행에 민감하고 구두에 관심을 많이 갖고 있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그 성격유형을 조사하고자하며 여대생의 성격에 따른 구두 스타일 선호도와 감성을 분석하고 또 연령이나 유행혁신성 등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고자 한다. 의류학과 심리분야에서 디자인 및 스타일을 연구하는 쪽으로 접근을 시도해보는 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겠다.
  • 감각형의 사람은 사물, 사건, 사람을 눈에 보이는 그대로 시작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사실적 묘사에 뛰어나다. 직관기능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오관보다는 통찰, 소위 말하는 육감이나 영감에 의존하여, 구체적인 사실이나 사건보다는 이면에 감추어져 있는 의미, 관계 가능성 또는 비전을 보고자 한다. 이들은 세부적이고 구체적인 사실보다는 전체를 파악하고 본질적인 패턴을 이해하려고 애쓰며 미래의 성취와 변화, 다양성을 즐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BTI는 무엇인가?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는 Jung의 성격이론을 근거로 Catharine C. Briggs와 Isabel Briggs Myers 모녀가 각 개인의 성격적 특성을 20여 년간 관찰하고 개발하여 타당성을 입증하여 제작한 성격유형검사이다 (Myers & McCaulley, 1995). 즉 Jung이 제시했던 일반적인 태도유형(EI) 차원과 다양한 조건 속에서도 동일한 원리로 반응하는 두 가지 정신 기능(SN, TF)의 차원에 바탕을 두었으며, Jung이 표면화 하지 않은 판단(Judgement)과 인식(Perceiving)에 대한 태도 경향이 첨가되어 외향-내향(EI), 감각-직관(SN), 사고-감정(TF), 판단-인식(JP)이라는 네 가지 선호 지표로 결정된다(Kean et al.
사람들이 선호하는 의복이미지는 무엇이 반영된 결과인가? 사람들이 입고 있는 의복에서 전달되는 전반적인 느낌은 다양할 수 있는데, 그 사람 속에 내재하는 정보 수집방법과 판단에 대한 개인의 태도가 의복 생활양식으로 드러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결국 사람들이 선호하는 의복이미지는 의복에 대한 개인의 취향이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Oh, 2001). 최근 사람들은 의복에서 더 나아가 부속품으로 자신을 표현하며, 그것으로 다른 사람을 지각하고 평가한다.
구두를 볼때 감각형 성격보다 직관형 성격을 가진 사람들이 더 여성적이라고 느낀 이유는? 즉 감각형 성격을 가진 사람들보다 직관형 성격을 가진 사람들이 구두3을 볼 때 보다 여성적이라고 느끼는 경향이 있었으며, 선호도도 높은 경향이 있었다 [Table 4].이는 오감에 의지하는 감각형보다 육감에 의지하고 상상력이 풍부한 직관형(Choi, 2010)이 모카신의 착용자에 대한 상상을 더 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llport, G. W. (1961). Pattern and Growth in Personality. NY: Rinehart & Winston. 

  2. Choi, S. K. (2012). The consumer sensibility evaluation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and area-ratio of the stripe, and the necktie width.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5(2), 193-200. 

  3. Choi, J. Y. (2010). Psychological Testing. Seoul: Sigmapress. 

  4. Choi, S. K. (2007). Comparison of cosmetic impuse buying, personality characteristic and self-image of college women based on lifestyl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0(3), 419-431. 

  5. Kim, C. J. (1991). Fashion Dictionary. Seoul: Rasara academy Inc. 

  6. Hull, R. F. C. (1969). The Collected Works of C. G. Jung. Bollingec series. Princeton NJ: Princeton Univ. Press. 

  7. Kean, R. C., Mehlhoff, C., & Sorenson, R. (1988). Using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to assess student needs.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6(2), 37-42. 

  8. Kim, J. S., Choi, J. M., & Kwan, S. A. (2004). A study on the purchasing practices, wearing state and overall satisfaction with shoes fo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 Textiles, 28(2), 312-319. 

  9. Kwan, M. Y. (2002). Adult women's value & preference of dress shoes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unkuk University, Seoul. 

  10. Lee, I. J. (2000). Costume Social Psychology. Seoul: Suhaksa. 

  11. Lee, S. J. (2009). A study on the shoes buying behavior of consum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lothing & Textiles, 33(1), 175-175. 

  12. Lee, Y. J. (2012). Comparison of preferences for shoes according to 20s and 40s women’s fashion lifestyles and age.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4(2), 171-183. 

  13. Lim, J. Y., & Na, Y. J. (2004). Preference tendency to western images through advertising pictures.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7(4), 1-6. 

  14. Ma, Y. J. (2000). A study on evaluation of salesperson's service and purchase behavior related to customer's personality typ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5. Myers, I. B. (1990). A Study of Korean standardization of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Seoul: Korean Psychological Testing Institute. (J. T. Kim & H. S. Sim, Trans. 성격유형검사의 한국표준화에 관한 일 연구. 서울: 한국심리검사연구소). 

  16. Myers, I. B. & McCaulley, M. H. (1995). Theory, psychometrics application. Seoul: Korean Psychological Testing Institute. (J. T. Kim, H. S. Sim & S. B. Je, Trans. MBTI 개발과 활용. 서울: 한국심리검사연구소). 

  17. Nam, S. G. (1999). Consumer Psychology. Seoul: Hakjjisa. 

  18. Oh, H. J. (2001). The preferred clothing images and clothing behaviors on personality type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25(3), 606-616. 

  19. Park, K. J., & Na, Y. J. (2014). Sensibility according to blouse type and their best-fit color ton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7(2). 123-134. 

  20. Phares, E. J. (1984). Introduction to Personality. Seoul: Pakyoungsa. p.7 (S. K. Hong, Trans. "성격심리학", 서울: 박영사).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