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막만 빈산소 해역의 퇴적물 산소소모율과 용존산소 고갈에 의한 황화수소 용출
Sediment Oxygen Consumption Rate and Hydrogen Sulfide Release by Dissolved Oxygen Depletion in Hypoxic Area of the Gamak Bay, Korea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7 no.3, 2015년, pp.293 - 302  

이태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주국제해양과학연구.지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막만 빈산소 해역에서 챔버 실험과 지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퇴적물 산소소모율과 퇴적물 특성을 파악하였다. 가막만 표층퇴적물의 유기탄소 함량은 만의 안쪽이 높고 바깥쪽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만의 안쪽 퇴적물에는 바깥쪽에 비해 상대적으로 육성기인 유기물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다. 빈산소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가막만 북부 내만의 시추퇴적물에 기록된 탄산칼슘 함량의 분포는 이 지역에서 과거 백 년 이전부터 빈산소가 발생하였음을 지시한다. 2010년과 2011년 2월, 5월, 8월 및 11월에 가막만 빈산소 해역에서 퇴적물 챔버 실험을 하였는데, 북부 내만에 위치한 정점 C3과 남부 외해 쪽에 위치한 정점 C17에서 퇴적물 산소소모율은 각각 $3.98-12.43mmol\;m^{-2}d^{-1}$, $3.28-8.18mmol\;m^{-2}d^{-1}$ 범위였다. 퇴적물 산소소모율은 수온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정점 C3과 정점 C17 에서 산소가 모두 고갈되어 저층이 무산소로 바뀌면 유독성의 황화수소 플럭스는 각각 $1.38mmol\;m^{-2}d^{-1}$, $1.3mmol\;m^{-2}d^{-1}$로 수층으로 용출되어 나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sediment oxygen consumption rates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 in hypoxic area of the Gamak Bay based on the chamber experiments and geochemical analyses. The organic carbon contents of surface sediment in the Gamak Bay showed that the inner bay area has high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퇴적물 챔버 실험으로 가막만 빈산소 수괴가 발생하는 지역에서 퇴적물이 소모하는 산소의 양을 측정하여 빈산소 수괴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빈산소가 지속되었을 때 퇴적물로부터 용출되는 황화수소 플럭스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 황화수소는 독성이 강하며 500 ppm 이상이면 생물에 큰 피해를 미치고, 1000 ppm 이상이면 폐사를 불러온다(Guidotti, 1994). 본 연구에서는 퇴적물 챔버 실험으로 가막만 빈산소 수괴가 발생하는 지역에서 퇴적물이 소모하는 산소의 양을 측정하여 빈산소 수괴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빈산소가 지속되었을 때 퇴적물로부터 용출되는 황화수소 플럭스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안역의 빈산소는 어디에서 발생하는가? 연안역의 빈산소(hypoxia)는 하구역, 용승이 일어나는 연안역 또는 강으로부터의 영양염 과다유입으로 인해 인위적 부영양화가 일어나는 해역에서 계절적으로 발생한다. 빈산소 수괴는 생지화학적 요인들에 의해 용존산소의 농도가 2 mg/L 이하로 낮아지는 현상으로 전 세계의 부영양화된 호소, 용승으로 인해 생산성이 높은 해역 및 반폐쇄형의 내만에서 주로 나타난다(Severdrup et al, 1972; Hanazato, 1997; Karim et al, 2002; Wu, 2002; Turner et al, 2005).
빈산소 수괴란? 연안역의 빈산소(hypoxia)는 하구역, 용승이 일어나는 연안역 또는 강으로부터의 영양염 과다유입으로 인해 인위적 부영양화가 일어나는 해역에서 계절적으로 발생한다. 빈산소 수괴는 생지화학적 요인들에 의해 용존산소의 농도가 2 mg/L 이하로 낮아지는 현상으로 전 세계의 부영양화된 호소, 용승으로 인해 생산성이 높은 해역 및 반폐쇄형의 내만에서 주로 나타난다(Severdrup et al, 1972; Hanazato, 1997; Karim et al, 2002; Wu, 2002; Turner et al, 2005). 저층으로의 유기물 유입량이 많고, 성층의 형성으로 해양 표층과 저층사이의 해수 유동이 차단되면 빈산소가 일어나기에 적합한 환경이 된다.
가막만의 형태 측면에서 특징은? 가막만은 한반도 남해안 중앙부에 위치하는 내만으로 반폐쇄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다. 남북방향 길이가 약 15 km, 동서 방향 길이는 약 9 km의 타원형으로 만 입구에는 크고 작은 섬들이 위치하고 있어 거의 폐쇄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다. 가막만의 중앙부는 수심 6-7 m 내외이며, 북쪽 내만은 9-10m로 오목한 분지 형태의 해저지형이 형성되어 있다(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lack, KD, Keimer, MCB, and Ezzi, IA (1995) The relationships between hydrodynamics,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sulfide produced by polluted sediments and fish health at several marine cage farms in Scotland and Ireland. J. of Applied Ichthyology, 12, pp. 10-15. 

  2. Brooks, KM, and Mahnken, CVM (2003) Interactions of Atlantic salmon in the Pacific northwest environment II. Organic wastes. Fishery Research, 62, 255-293. 

  3. Cho, CH (1991) Mariculture and eutrophication in Jinhae Bay, Korea. Marine Pollution Bu1letin, 23, pp. 275-279. 

  4. Folk, RL (1954) The distribution between grain size and mineral conposition in sedimentary rock nomenclature. J. of Geology, 62, pp. 334-359. 

  5. Gray, JS, Wu, RS and Or, YY (2002) Effects of hypoxia and organic enrichment on the coastal marine environment.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238, pp. 249-279. 

  6. Guidotti, TL (1994) Occupational exposure to hydrogen sulfide in the sour gas industry: Some unresolved issues.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66(3), pp. 153-160. 

  7. Hanazato, T (1997) Development of low-oxygen layer in lake and its effect on zooplankton communities. Korean J. of Limnology, 30, pp. 246-256. 

  8. Hong, JS (1987) Summer oxygen deficiency and benthic biomass in the Chinhae Bay system, Korea. J.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22, pp. 246-256. [Korean Literature] 

  9. Jeng, WL and Han, BC (1996) Coprostanol in a sediment core from the anoxic Tan-Shui Estuary, Taiwan.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42, pp. 727-735. 

  10. Karim, MR, Sekine, M and Ukita, M (2002) Simulation of eutrophication and associated occurrence of hypoxia and anoxic condition in a coastal bay in Japan. Marine Pollution Bu1letin, 45, pp. 280-285. 

  11. Karim, MR, Sekine, M, Higuchi, T, Higuchi, Imai, T and Ukita, M (2003) Simulation of fish behavior and mortality in hypoxic water in an enclosed bay. Ecological Modeling, 159, pp. 27-42. 

  12. Keimer, MCB, Black, KD, Lussot, D, Bullock, AM and Ezzi, IA (1995) The effects of chronic and acute exposure to hydrogen sulfide on Atlantic salmon (salmo solar L.). Aquaculture, 135, pp. 311-327. 

  13. Kim, DW, Cho, GO, Yu, JH, Lee, WC and Cho, HS (2010) Monthly variations of riverine pollutant loading to Gamak Bay.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pp. 127. [Korean Literature] 

  14. Kim, HG (1990) Characteristics of flagellate red tid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Masan Bay. Bulletin of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cy, 43, pp. 1-40. [Korean Literature] 

  15. Kim, SR, Lee, GS, Choi, DL, Kim, DC, Lee, TH and Seo, YK (2014) Development of the Holocene Sediments in Gamak Bay of the South Sea, Korea. J. of Korean Society Oceanography, 19(2), pp. 131-146. [Korean Literature] 

  16. Kim, SY, Jun, SH, Lee, YS, Lee, YH and Kim, BM (2011) Characteristics of phosphate flux at the sediment-water interface in Gamak Bay during the hypoxic water mass. J. of Environmental Science, 20(9), pp. 1069-1078. [Korean Literature] 

  17. Korea Oceanography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KORDI) (2012) Ecological Responses in the Hypoxic Condition in Southern Coast of Korea for Ecosystem Management. BSPE98661-10046-3, Korea Oceanography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18. Milby, TH and Baselt, RC (1999) Hydrogen sulfide poisoning: clarification of some controversial issues. American J. of Industrial Medicine, 35, pp. 192-195. 

  19. Munari, C, Modugno, S, Ghion, F, Castaldelli, G, Fano, EA, Rossi, R and Mistri, M (2003) Recovery of the macrobenthic community in the Valli di Comacchio, northern Adriatic Sea, Italy. Oceanologica Acta, 26, pp. 67-75. 

  20. Lee, KH and Cho, KD (1990) Distribution of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Gamak Bay. Korean J. of Fisheries Aquatic Science, 23, pp. 25-39. [Korean Literature] 

  21. Lee, MC and Chang, SD (1982) Tidal exchange of sea water in Gamag Bay. JJ.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7, pp. 12-18 

  22. Lee, T, Hyun, JH, Mok, JS and Kim, D (2008) Organic carbon accumulation and sulfate reduction rates in slope and basin sediments of the Ulleung Basin, East/Japan Sea. Geo- Marine Letters, 28(2), pp. 153-159 

  23. Lee, T, Kim, D, Khim, BK and Choi, DL (2010) Organic carbon cycling in the Ulleung Basin sediments, East Sea. Ocean and Polar Research, 32(2), pp. 145-156. [Korean Literature] 

  24. Lim, HS, Diaz, RJ, Hong, JS and Schaffner, LC (2006) Hypoxia and benthic community recovery in Korean coastal waters. Marine Pollution Bulletin, 52, pp. 1517-1526. 

  25. Pereira, PMF, Black, KD, McLusky, DS and Nickell, TD (2004) Recovery of sediments after cessation of marine fish farm production. Aquaculture, 235, pp. 315-330. 

  26. Prahl, FG, Ertel, JR, Goni, MA, Sparrow, MA and Eversmeyer, B (1994) Terrestrial organic-carbon contributions to sediments on the Washington Margin.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58(14) pp. 3035-3048. 

  27. Posamentier, HW, Jervey, MT and Vail, PR (1988) Eustatic controls on clastic deposition I -Conceptual framework. In Wilgus, CK, Hastings, BS, Kendall, CG, Posamentier, HW, Ross, CA and Van Wagoner, JC (Eds.), Sea-level changes - An Ingrated Approach. Society of Economic Paleontologists and Mineralogists Special Publication, 42, pp. 109-124. 

  28. Severdroup, HU, Johnson, MW and Fleming, RH (1972) The Oceans. Pren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N.J. 

  29. Shin, HC (1995)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in Kamak Bay, southern coast of Korea. J. of Korean Society Oceanography, 30, pp. 250-261. [Korean Literature] 

  30. Shin, HH, Park, JS, Kim, YO, Baek, SH, Lim, D and Yoon, YH (2012) Dinoflagellate cyst production and flux in Gamak Bay, Korea: A sediment trap study. Marine Micropaleontology, 94, pp. 72-79. 

  31. Smith, J and Shackley, SE (2006) Effects of the closure of a major sewage outfall on sublittoral, soft sediment benthic communities. Marine Pollution Bulletin, 52, pp. 645-658. 

  32. Terner, RE, Rabalais, NN, Swenson, EM, Kasprzak, M and Romaire, T (2005) Summer hypoxiz, Northern Gulf of Mexico and its prediction from 1978 to 1995. Marine Environmental Research, 59, pp. 65-77. 

  33. Vail, PR (1977) Seismic stratigraphy and global changes of sea level(a series of papers), In: Payton, CE (ed), Seismic stratigraphy-application to hydrocarbon exploration, American Association of Petroleum Geologists Memoirs, 26, pp. 49-212. 

  34. Wu, R.S.S. (1982) Periodic defaunation and recovery in a subtropical epibenthic community, in relation to organic pollution. J.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64, 253-269. 

  35. Wu, RSS (2002) Hypoxia: from molecular responses to ecosystem response. Marine Pollution Bulletin, 45, pp. 35-45. 

  36. Yoon, JS (1998) A Study on the upwelling phenomena of anoxic bottom water (blue tide phenomena) in the coastal areas. J.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 Society, 7(3), pp. 291-299 [Korean Literature] 

  37. Yoon, SP, Kim, YJ, Jung, RH, Moon, CH, Hong, SJ, Lee, WC and Park JS (2008) Benthic environments and macrobenthic polychaete community structure in the winter of 2005-2006 in Gamak Bay, Korea. J. of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3(1), pp. 67-82.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