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백로류 집단번식지의 식물사회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ve Composition Among Plants in the Heronries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4 no.5, 2015년, pp.499 - 515  

안경환 (국립환경과학원) ,  임정철 (국립환경과학원) ,  한창욱 (야생동물연합) ,  이윤경 (국립생태원) ,  조항수 (국립환경과학원) ,  서재화 (국립생물자원관) ,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 ,  신영규 (국립환경과학원) ,  김명진 (국립환경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백로류 집단번식지를 구성하는 식물사회의 특성과 변화를 이해하고 기초 생태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현장조사는 100개 이상의 둥지가 있는 전국 25개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백로류 집단번식지의 식물군락은 8개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17종의 귀화식물을 포함하여 총 60과 129속 167종이 확인되었다. 진단종으로서 호광성이면서 부영양화 또는 산성화된 입지에 내성을 가지는 미국자리공, 쇠무릎, 닭의장풀 등의 기여도가 높았으며, 일년생식물의 구성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입지적으로는 서식지의 0.5km 이내에 선호하는 취식공간 (논, 하천 등의 습지)이 분포하고, 주로 동향인 산지사면에 위치하였다. 집단서식지의 식물사회는 유형별 입지 환경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특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전반적으로 토양 오염 지역, 수관이 개방된 지역 또는 교란이 빈번한 지역 등과 유사한 식물상을 가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phyt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providing basic ecology informations based for heronries. We investigated the 25 heronries sites to have more than a hundred nests in the country. The vegetations of heronries were arranged 8 plant communiti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 2009; 이두표 등, 2007; 문형태와 조삼래,1996)들은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거나 환경과 식물사회에 대한 해석이 분리되어 실질적인 대안 또는 대책을 위한 정보 제공에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광역적인 지역을 대상으로 백로류의 집단번식 이후 식물사회의 종조성과 구조 변화에 대한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중·장기적인 번식지 관리방안에 대한기초 정보를 마련하고, 나아가서, 인간 활동과 백로류들의 집단번식 활동에서 발생하는 문제 해결을 위한보전 및 복원계획의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로는 무엇인가? 백로는 예로부터 풍년과 청렴을 상징하는 길조의 이미지를 가지는 여름철새로서, 우리나라에 도래하는 것으로 기록된 백로과 조류는 9속 18종이다(한국조류학회, 2009). 주로 얕은 물에서 섭식활동을 하여 동물성 먹이를 취하며,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 습지 생태계의 건강성을 대표하는 수환경의 생물지표(bioindicator)로 활용되기도 한다(Mckilligan,2005; Erwin and Custer, 2000).
백로과 조류 중, 국내에서 집단번식을 하는 종은? 주로 얕은 물에서 섭식활동을 하여 동물성 먹이를 취하며,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 습지 생태계의 건강성을 대표하는 수환경의 생물지표(bioindicator)로 활용되기도 한다(Mckilligan,2005; Erwin and Custer, 2000). 백로과 조류 가운데 국내에서 집단번식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종들은 해오라기(Nycticorax nycticorax), 흰날개해오라기(Ardeola bacchus), 황로(Bubulcus ibis), 왜가리(Ardea cinerea), 중대백로(Ardea alba), 중백로(Egretta intermedia), 쇠백로(Egretta garzetta),흑로(Egretta sacra), 노랑부리백로(Egretta eulophotes)등으로(이윤경 등, 2012a) 일부 번식지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천연기념물센터, 2014).
백로의 특징과 중요성은? 백로는 예로부터 풍년과 청렴을 상징하는 길조의 이미지를 가지는 여름철새로서, 우리나라에 도래하는 것으로 기록된 백로과 조류는 9속 18종이다(한국조류학회, 2009). 주로 얕은 물에서 섭식활동을 하여 동물성 먹이를 취하며,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 습지 생태계의 건강성을 대표하는 수환경의 생물지표(bioindicator)로 활용되기도 한다(Mckilligan,2005; Erwin and Custer, 2000). 백로과 조류 가운데 국내에서 집단번식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종들은 해오라기(Nycticorax nycticorax), 흰날개해오라기(Ardeola bacchus), 황로(Bubulcus ibis), 왜가리(Ardea cinerea), 중대백로(Ardea alba), 중백로(Egretta intermedia), 쇠백로(Egretta garzetta),흑로(Egretta sacra), 노랑부리백로(Egretta eulophotes)등으로(이윤경 등, 2012a) 일부 번식지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천연기념물센터,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강대석, 성기준, 여운상, 정용현, 이석모. 2008. 낙동강 중.하류 지역의 수변 특성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학회지, 17(3), 189-200.(Kang DS, Sumg KJ, Yeo US, Chung UH, Lee SM. 2008. Riparian area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7(2), 189-200.) 

  2. 강진호, 유영섭, 김동일, 이외석, 김성희. 1997. Priming, 온도 및 광질이 미국자리공 종자의 발아에 이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41(2), 153-159.(Kang JH, Ryu YS, Kim DI, Lee OS, Kim SH. 1997. Effect of priming, temperature and light quality on germination of pokeweed (Phytolacca americana) seed, The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42(2), 153-159.) 

  3. 길봉섭, 김영식, 이승엽, 김두영. 1991. 잣나무의 천연화학물질이 다른 식물에 미치는 독성작용, 한국생태학회지, 14(2), 149-157.(Kil BS, Kim DY, Kim YS, Lee SY. 1991. Phytotoxic effects of naturally occurring chemicals from Pinus koraiensis on experimental species. Korean Journal of Ecology, 14(2), 149-157.) 

  4. 김성열. 2008. 대구 안산일대 산지식생에 대한 군락분류, 계명대학교 석사학위.(Kim SY. 2008. The vegetation of the mt. Ap-san in Daegu, MA dissertation, University of Kiemyung, Daegu.) 

  5. 김정수, 구태희. 2008. 왜가리(Ardea cinerea)의 번식생태, 한국조류학회지, 15(1), 27-37.(Kim JS, Koo TH. 2008. Breeding ecology of grey herons (Ardea cinerea) in Korea, Korean Journal of Ornithology, 15(1), 27-37.) 

  6. 김종원, 이율경. 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와 평가방법, 월드사이언스.(Kim JW, Manyko YI.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ean Journal of Ecology, 17, 391-413.) 

  7. 김태희. 2002. 대기오염이 소나무 화분의 생명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Kim TH. 2002. Effects of air pollution on pine pollen viability, MA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8. 김헌규. 1969. 백로의 생태, 한국생활과학연구원논총, 2, 69-81.(Kim HK. 1969. Biology of gray heron and egrets, Journal of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Better Living, 2, 69-81.) 

  9. 남미숙. 1997. 백로와 왜가리의 집단번식에 의한 일본잎갈나무림의 토양 및 초본층구조의 변화,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Nam MS. 1997. Changes of soil properties and herb layer composition in Larix leptolepis by group breeding of herons, MA dissertation, University of Kongju, Kongju.) 

  10. 남화경. 1996. 경북 지역의 벼경작지식생에 대한 군락분류 및 군락생태학적 특성, 계명대학교 석사학위.(Nam HK. 1996. Syntaxonomical and syn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ce-field vegetation in Kyungpook province, MA dissertation, University of Keimyung, Daegu) 

  11. 문형태, 남미숙, 조삼래. 1996. 백로와 왜가리 집단번식에 의한 삼림토양 및 초본층 구조의 변화, 한국임학회지, 85(3), 506-512.(Mun HT, Nam MS, Cho SR. 1996. Changes of forest soil and herb layer composition by group breeding of heron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5(3), 506-512.) 

  12. 문형태, 조삼래. 1996. 백로와 왜가리 집단번식이 소나무군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학회지, 19(1), 47-53.(Mun HT, Cho SR. 1996. Effects of group breeding of herons of pine community, Korean Journal of Ecology, 19(1), 47-53.) 

  13.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 일조각.(Park SH. 1995. Colored illusrations of nation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14. 박수현. 2001.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 보유편, 일조각.(Park SH. 2001. Colored illusrations of nationlized plants of Korea: Appendix, Ilchokak.) 

  15. 박용목, 박범진, 최기룡. 1999. 미국자리공의 근권토양산성도의 변화, 한국생태학회지, 22(1), 7-11.(Park YM, Park BJ, Choi KR. 1999. pH changes in the rhizosphere soil of pokeberry, Korean Journal of Ecology, 22(1), 7-11.) 

  16. 박재현, 김기홍, 이석배. 2013. 남강댐 수변구역 버드나무류 군락의 식생분석 및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102(2), 161-169.(Park JH, Kim KH, Lee SB. 2013.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plant, soil physical and chemical of Salix spp. on the environment of Namgang dam reservoir,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02(2), 161-169.) 

  17. 안경환. 2004. 대구지역의 노상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Ahn KH. 2004.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road bed vegetation in Daegu area, MA dissertation, University of Keimyung, Daegu.) 

  18. 안경환, 김종원. 2005. 대구지역 노상식물군락의 분류와 분포 특성, 한국생태학회지, 28(1), 31-36.(Ahn KH, Kim JW. 2005.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roadbed plant communities in Daegu,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28(1), 31-36.) 

  19. 오영주, 이인용, 박재읍, 오세문, 김창석. 2008. 환삼덩굴 서식지의 식물군락 변화, 한국잡초학회지, 28(1), 15-19.(Oh YJ, Lee IY, Park JE, Oh SM, Kim CS. 2008. Plant community change in the habitat of Humulus japonicus.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28(1), 15-19.) 

  20. 유태철, 김주호. 1994. 수도권지역에서 토양의 산성화에 의한 리기다소나무의 생장 감소, 한국생태학회지, 17(3), 287-297.(Rhyu TC, Kim JH. 1994. Growth decline of pitch pine caused by soil acidific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17(3), 287-297.) 

  21. 이도형. 2004. 토양산성화에 따른 소나무(Pinus desiflora Sieb, et Zucc.)의 뿌리 적응성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 93(1), 50-58.(Lee DH. 2004. Root adaptation of Pinus desiflora Sieb, et Zucc. in the differently acidified forest soil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3(1), 50-58.) 

  22. 이두표, 김상진, 황인천, 임동욱. 2007. 전라남도 냉이의 백로류 집단번식지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2), 186-191.(Lee DP, Kim SJ, Hwang IC, Lim DO. 2007. The characteristics of mixed heronries in Jeollanam-do, Th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1(2), 186-191.) 

  23. 이우철. 1996a.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Lee WC. 1996a. Sat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24. 이우철. 1996b. 한국식물명고(I), 아카데미서적. (Lee WC. 1996b. Lineamenta florae Koreae (I), Academy Press.) 

  25. 이윤경, 김동원, 장병순, 유승화, 김창회, 강종현, 권인기, 류지은, 서재화, 서민환, 박진영. 2012a. 번식기동안 백로과 조류의 종별 취식지 이용, 한국조류학회, 19(2), 141-149.(Lee YK, Kim DW, Jang BS, Yoo SH, Kim CH, Kang JH, Kwon IK, Ryu JE, Suh JH, Seo MH, Park JY. 2012a. The use of feeding habitats of five species of herons during the breeding season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Ornithology, 19(2), 141-149.) 

  26. 이윤경, 김동원, 장병순, 유승화, 김창회, 박진영, 강종현, 이진원, 권인기, 권혁수, 류지은, 안경환, 신현철, 서민환, 김명진. 2012b. 한국의 백로와 왜가리, 국립환경과학원. (Lee YK, Kim DW, Jang BS, Kim CH, Park JY, Kang JH, Kwon IK, Kwon HS, Ryu JE, Ahn KW, Shin HC, Seo MH, Kim MJ. 2012b. Egrets and heron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7. 이율경. 2004. 우리나라 하천식생의 군락분류 및 군락생태, 계명대학교 박사학위.(Lee YK. 2004. Syntaxonomy and synecology of the riparian vegetation in South Korea.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Keimyung, Daegu.) 

  28. 이은진. 1998. 대구.경북 지역의 밭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Lee EJ. 1998. Phytosociological study of dry field vegetation in Kyoungpook province, MA dissertation, University of Keimyung, Daegu.) 

  29. 이종운, 전재인. 1996. 귀화식물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의 적응환경용인. 생명과학회지, 6(2), 87-93.(Ri CU, Chun J. 1996. Adapted environmental factors for a neophyte pokeweed (Phytolacca americana),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6(2), 87-93.) 

  30. 이창복. 2014.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Lee CB. 2014. Colo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31. 이창석, 이안나. 2003. 한국에서 수분수지의 생태적 중요성과 대기오염 및 토양 산성화로 인한 식물의 수분스트레스 증대 효과, 한국생태학회지, 26(3), 143-150.(Lee CS, Lee AN. 2003. Ecological importance of water budget abd synergistic effects of water stress of plants due to ari pollution and soil acidificat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Ecology, 26(3), 143-150.) 

  32. 이혜정, 이정환, 오경환. 1995. 여천공단 주변의 삼림식생 구조와 토양환경, 경상대학교 환경보전연구소보, 3, 57-77.(Lee HJ, Lee JH, Oh KH. 1995. Vegetation structure of forest and soil environment in the vicinity of Yeocheon industrial complex, Journal of Institut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Pro.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3, 57-77.) 

  33. 정훈. 2004. 백로류의 번식저략과 사회행동,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Chung H. 2004. Breeding strategies and social behaviour of Ardeidae, Ph. D dissertation, Univeristy of Kyung Hee, Yongin.) 

  34. 천연기념물센터. 2015. http://www.nhc.go.kr/naturalweb/main/Index.do?mnKO_01.(2015.3.5.).(National heritage center. 2015. http://www.nhc.go.kr/naturalweb/main/Index.do?mnKO_01 (Accessed 5 March 2015).) 

  35. 최기룡, 박범진, 박용목. 2009. 광조건이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 L.)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잡초, 29(1), 83-88.(Choi KR, Park BJ, Park YM. 2009. The effect of light regimes on pokeberry (Phytolacca americana L.) growth, Korean Journal of Weed Sci. 29(1), 83-88.) 

  36. 최유성, 유정철. 2009. 백로과 조류의 둥지수종 유형 선호도,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9(1), 43-46.(Choi US, Lyu JC. 2009. Nesting vegetation preferences of tree-nesting Ardeida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Conference.) 

  37. 한국조류학회. 2009. 한국의 조류 목록, 한림원주식회사, p.132.(The Ornithological society of Korea. 2009. Checklist of the birds of Korea, Hanrimwon, Seoul, p.132.) 

  38. Beaver DL, RG Osborn, TW Custer. 1980. Nestsite and colony characteristics of wading birds in selected atlantic coast colonies, The Wilson Bulletin, 92(2), 200-220. 

  39. Becking RW. 1957. The Zurich-Montpellier school of phytosociology, The Botanical Review, 23(7), 411-488. 

  40. Braun-Blanquet J. 1965. Plant Sociology. The Study of Plant Communities (Transl. by G.D. Fuller and H.S. Conard), New York. 

  41. Chou CH, Yang CM. 1982. Allelopathic research of subtropical vegetation in Taiwan II. comparative exclusion of understory by Phyllostachys edulis and Cryptomeria japonica, Journal of Chemical Ecology, 8(12), 1489-1507. 

  42. Custer TW, Osbron. 1978. Feeding habitat use by colonially-breeding herons, egrets, and ibises in North Carolina, The Auk, 95, 733-743. 

  43. Edwin RM, Spendelow JA. 1991. Colonial wading birds herons and egrets (In 'Habitat requirements for Chesapeake bay living resources; 2nd Ed.), BiblioGov, p.19_1-19_14. 

  44. Erwin RM, Custer TW. 2000. Herons as indicators (In Kushlan J. A. and K. Hafner. "Heron conservation"), Academic Press, San Diego, p.311-330. 

  45. Grant KR, Watson J. 1995. Controlling nuisance egrets and herons rookeries in Oklahoma, Great Plains Wildlife Damage Control Workshop proceedings, 435, 32-33. 

  46. Grime JP. 1977. Evidence for the existence of three primary strategies in plants and its relevance to ecological and evolutionary theory, The American Naturalist, 111(982), 1169-1194. 

  47. Jakucs P. 1991. Eutrophication in forest ecosystems (In Esser G. and D. Overdieck., "Modern ecology: Basic and applied aspects"), Elsevier, pp.571-578. 

  48. James PG, Woodward S, Hunter ML, Hutchinson AE. 1987. Determinants of great blue heron colony distribution in coastal marine, The Auk, pp.38-46. 

  49. Kang JH, Lee SG, Choi BJ, Oh HS, Kim NC. 2009. The study of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heron and egret sites protected by natural monument, Korean Journal of Ornithology, 16(1), 37-46. 

  50. Kim JW, Manyko YI.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Far East, Korean Journal of Ecology, 17, 391-413. 

  51. Mckilligan N. 2005. Herons, egrets and bitterns: Their biology and conservation in Australia (Australian natural history series), CSIRO, p.18. 

  52. Mettic J, Lavy T, Shulman B, Dilday R. 1998. Searching for allelochemicals in rice that control ducksalad (In 'allelopathy in rice' -Ed. M, Oldfsdotter), IRRI, pp.81-98. 

  53. Mueller-Dombois D, Ellenberg H.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New York: John Willy & Sons. 

  54. Park SR, Kim KY, Chung H, Choi YS, Sung HC. 2011. Vertical nest stratification and breeding success in a six mixed-species heronry in Taeseong, Chungbuk, Korea. Animal cells and systems, 15(1), 85-89. 

  55. Podani J. 2001. Syn-Tax 2000: Computer program for data analysis in ecological and systematics. Budapest, Scientia Publishing. 

  56. Raunkiaer C. 1934. Life form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57. Telfair RC, Thompson BC, Tschirhart L. 2000. Nuisance heronries in Texas: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2nd Ed., Texas Parks & Wildlife, pp.1-6. 

  58. Weseloh DV, Brown RT. 1971. Plant distribution within a heron rookery, American Midland Naturalist, 86(1), 57-64. 

  59. Westhoff V, E van der Maarel. 1973. The Braun-Blanquet approach. Ed. R. H. Whittaker.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communities. Dr. W Junk by Publisher. Hague. pp.167-726. 

  60. Shizu R, Yoshinori M, Nobuyuki K, Susumu O. 2009. Effects of colony nesting of great blue heron (Ardea herodias) on vegetation composition and soil nutrient concentration on Southeastern Vancouver Island, HortResearch, 63, 61-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